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1

        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곤충호텔은 곤충이 서식할 수 있도록 인위적으로 만든 구조 물로서 정원이나 텃밭 등 다양한 곳에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식생유형, 재료, 설치 방식 등에 따른 곤충 유입 효과에 대한 검증은 부족하며, 국가 또는 지역에 따른 곤충의 종류와 생육환 경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곤충호텔에 대한 국내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립수목원을 대상으로 구체적 인 식생유형 및 재료에 따른 유입 곤충 특성을 확인하고, 국내 실정에 맞는 효과적인 곤충호텔 설치 및 관리방안에 대한 기준 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구는 세 가지 식생유형(초지, 침엽수 림, 활엽수림)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식생의 조사구에 두 가지 재료(참나무, 잣나무)를 활용한 곤충호텔을 설치하였다. 조사는 2년동안(2022~2023) 진행되었으며, 매년 4~9월까지 주 1회 씩(총 48회) 곤충호텔의 유입 곤충을 직접 채집하였다. 곤충호 텔에서 채집된 곤충은 총 9목 46과 129종 3,057개체로, 2022 년에는 7목 34과 85종 1,750개체, 2023년에는 8목 35과 77종 1,307개체가 출현하였다. 연도별로 비교하면 1차년도에 유입 된 곤충의 개체수가 2차년도 보다 약 1.3배 많았고, 재료의 부식 에 따른 곤충의 구성도 달라졌다. 식생유형에 따라 구분하면 기간에 상관없이 활엽수림에서 유입 곤충이 가장 많았고, 침엽 수림에서 가장 적었다. 또한 재료에 따른 구분에서는 참나무가 잣나무보다 유입 곤충이 많았다. 참나무의 경우 유입 곤충의 연도별 차이가 적은 반면, 잣나무는 1년차에 비해 2년차에 약 2.3배 줄었다. 상관분석과 계층적 군집분석을 통한 곤충의 유입 특성은 식생유형보다는 재료의 영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고, 식생유형만 비교했을 경우 초지에 비해 활엽수림과 침엽수림의 유사성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생물 다양성 증진을 목적으로 곤 충호텔을 설치하고자 한다면 초지나 활엽수림에 참나무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잣나무 재료를 이용한다면 1년 주기로 재료 교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특정 재료를 선호 하는 곤충의 기주특이성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재료를 같이 사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향후 이를 기반으로 전시원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곤충호텔 모델 개발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4,300원
        2.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립수목원 전시원의 지속가능하고 친환경적인 관리를 위하 여 유기물 멀칭재 처리에 대한 잡초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대표적 잡초인 쑥군락과 바랭이군락을 대상으로 고정방형구 (1×1㎡)를 3반복 설치하였다. 처리구의 유기물 멀칭재는 5가지 재료로 활엽수 우드칩, 침엽수 바크, 갈참나무 낙엽, 메타세쿼이 아 낙엽, 칠엽수 과피를 사용하였다. 멀칭재 중에서 갈참나무 낙엽, 활엽수 우드칩, 칠엽수 과피가 비교적 잡초 억제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갈참나무 낙엽은 지중 온도를 낮게 유지 하는 효과가 상대적으로 좋았기 때문에 토양의 보습 효과가 뛰 어날 것으로 판단된다. 유기물 멀칭재 처리는 일년생식물의 발 생은 억제하고, 지중식물 및 반지중식물의 생육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었다. 멀칭재의 무게보다 재료에 의한 빛 차단 면적이 잡초를 억제하는 주된 요인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국립수목원 전시원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관리 방안 수립 에 활용될 것이며, 향후 잡초의 발생 시기에 따른 멀칭 시기 및 유기물 멀칭재의 유지 관리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4,300원
        3.
        202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simulate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and Raman spectroscopy were utilized to differentiate the carbon nanoribbons (CNRs) and carbon nanobelts (CNBs) with different edges. CNRs, characterized by linear, extended π-conjugated systems, and CNBs, featuring closed-loop, cyclic structures, exhibit distinct bandgaps influenced by edge configuration and molecular structure. CNBs generally possess smaller bandgaps than GNRs due to enhanced π-conjugation and electron delocalization in their curved structures. Specifically, the bandgaps of zigzag-edged GNRs and CNBs are smaller than those of their armchair-edged counterparts. These differences in electronic states cause shifts in the position of the C1s XPS peaks. ANR and ANB exhibit lower binding energies (BEs) compared to ZNR and ZNB. The peak position differences, which are 1.3 eV between ZNR and ANR and 0.5 eV between ZNB and ANB, highlight how edge configuration can differentiate structures within the same ribbon or belt type. While ZNR and ZNB have nearly identical peak positions, rendering them hard to distinguish, the 0.9 eV difference between ANR and ANB allows for clear differentiation. In ZNR and ZNB, strong bands from C–H bending and C–C stretching were observed, with slight differences in band positions allowing for structural differentiation. In ANR and ANB, the Kekulé vibration band was most intense, appearing at lower wavenumbers in ANB. Additionally, ANB showed unique C–C stretching bands at 1483 and 1581 cm− 1, which were barely observed in ANR. This study lays the groundwork for future spectroscopic analysis of GNRs and CNBs.
        4,000원
        10.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립수목원 내 전문전시원에 발생한 이입식물을 대상으로 2015년부터 2023년까지 이입식물 분포조사를 시행 하였다. 그 결과 자생식물 299종, 귀화식물 49종, 재배식물 13 종 총 63과 214속 361종이 조사되었다. 국화과가 63종으로 가장 많았고, 벼과, 사초과 순으로 발생하였다. 이입식물의 이입 경로를 분석하기 위하여 광릉숲에 분포하는 식물상과 비교 분석 한 결과 309종이 광릉숲에 분포하는 식물로 확인되었으며, 전 문전시원 내 식재 식물이 확산된 경우가 17종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귀화식물 49종을 원산지별로 구분하면 유럽과 북아메리카가 69.4%, 이입 시기별 1기와 3기의 비율이 90%를 차지하였 다. 귀화식물의 귀화도 분포 등급을 적용한 결과 4등급 이상이 면서 이입 시기가 3기인 식물 9종은 빠르게 확산할 우려가 큰 식물이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국립수목원에 어느 정도 귀화식물이 분포하는지를 가늠하는 도시화지수를 산출한 결과 15.0%로 나타났으며, 환경부 지정 생태계교란 야생식물 중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애기수영, 미국쑥부쟁이가 출현하였 다. 이입식물은 자생식물군락과 전문전시원 내 관람로에 침입하 여 세력권을 확장하고 우점하는 경향이 있어 각각의 생태적 특 성을 고려한 제거 방법이 필요하다.
        4,200원
        11.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how 15 weeks of Tai Chi training affected attention and brain waves. Thirty-six university students (mean age = 24.27 years; SD = ±1.054)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Participants practiced form postures from the first section of form 85 of the traditional Yang style of Tai Chi Chuan. The Frankfurt Attention Inventory (FAIR) was used to assess each participant’s level of attention. The sensorimotor rhythm (SMR) power analysis demonstrated that participants in the Tai Chi group show higher SMR power than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showed that Tai Chi Chuan increases theta and alpha waves by relaxing the body and mind, as well as through soft and slow movement and deep breathing. It reduces fast beta waves, which stabilizes the brain and improves attention. FAIR results showed that 15 weeks of Tai Chi training improved selective ability, control index, and persistence index.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ai Chi is an exercise that helps improve attention.
        4,000원
        13.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evelopment of thermoelectric (TE) materials to replace Bi2Te3 alloys is emerging as a hot issue with the potential for wider practical applications. In particular, layered Zintl-phase materials, which can appropriately control carrier and phonon transport behaviors, are being considered as promising candidates. However, limited data have been reported on the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metal-Sb materials that can be transformed into layered materials through the insertion of cations. In this study, we synthesized FeSb and MnSb, which are used as base materials for advanced thermoelectric materials. They were confirmed as single-phase materials by analyzing X-ray diffraction patterns. Based on electrical conductivity, the Seebeck coefficient, and thermal conductivity of both materials characterized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the zT values of MnSb and FeSb were calculated to be 0.00119 and 0.00026, respectively. These properties provide a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layered Zintl-phase materials with alkali/alkaline earth metal insertions.
        4,000원
        14.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is study focused on reproductive traits in Hanwoo cattle, specifically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gestation length and birth weight. Methods: The records of 1,540 cows calved at the Hanwoo Research Institute from 2015 to 2023 were examined. This study analyzed two populations, linebreeding Hanwoo (LBH) and general Hanwoo (GH), with all cows undergoing estrus synchronization and artificial insemination. The R software was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opulations and analyze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each trait.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gestation length for LBH was 283.28 ± 5.93 days, which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at of the GH, which had an average of 285.63 ± 6.21 days (p < 0.001). The average birth weight of LBH calves was 25.10 ± 3.69 kg, significantly lighter than GH calves, which weighed 27.26 ± 4.11 kg on average (p < 0.001).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station length of LBH based on dam parity, year, and season of calving.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ased on calf sex. For LBH, birth weigh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dam parity, year of calving, and sex of the calf, but not the season of calving. In GH, gestation length varied with dam parity and calving season, but not with calving year or calf sex. The GH birth weight showed differences based on dam parity, year of calving, and calf sex, but not the season of calving. Conclusions: Reproductive traits in the Hanwoo cattle industry are economically vital but are heavily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due to their low heritability. An accurate evaluation of the genetic potential of these traits requires an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predicting the potential for genetic improvement in the gestation length and birth weight of Hanwoo cattle.
        4,000원
        19.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광릉 숲의 곤충상 조사는 193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광릉 숲의 경로조사법에 의한 나비상 모니터링 연구는 1998년부터 2023년까지 지속되었다. 26년 동안 총 223회 조사를 실시한 결과 118종, 20,181개체가 확인되었다. 봄철 출현하는 나비중 8종(노랑나비, 대만흰나비, 먹부전나비, 멧팔랑나비, 쇳빛부전나비, 애호랑나비, 큰줄흰나 비, 흰줄표범나비)은 첫 출현일이 빨라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평균 5.2일 빨라졌다. 조사된 나비중에서 큰줄흰나 비, 뿔나비, 남방부전나비 순서로 많은 개체수가 확인되었으며, 연 출현 빈도는 큰줄흰나비가 26회로 가장 많았다. 확인된 나비의 분포, 서식지, 식성에 따라 분류한 결과 분포는 북방계 27%, 남방계 14%이며, 서식지는 산림 경계 36%, 산림 내부 33%, 초지 30% 그리고 식성은 다식성 8%, 단식성 42%, 협식성 51%로 이루어진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기후변화 따른 나비류 생활주기 변화 여부를 검토하여 지구온난화 지표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20.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ree species belonging to two families of minute-sized spiders, viz, Theridiosoma fulvum (Araneae: Theridiosomatidae), Microdipoena ogatai and Microdipoena shenyang (Araneae: Mysmenidae), were discover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Previously T. fulvum and M. ogatai were known to distribute only in Japan, M. shenyang only in China. All former records of Microdipoena jobi from Korea are misidentifications of M. shenyang. Detailed descriptions and photographs of three species are provided.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