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장내 미생물 군집은 소화 과정, 면역 시스템, 질병 발생 등 숙주의 다양한 면에 광범위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요 장내 미생물 종은 숙주의 생리 기능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고 발표된 바 있다. 곤충의 장내 미생물 군집에 관한 연구가 최근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들 연구는 주로 장내 미생물 군집과 기생충, 병원체 간의 상호작용, 종간의 신호 전달 네트워크, 먹이의 소화 과정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Illumina MiSeq을 활용하여 16S rRNA 유전자의 V1부터 V9 영역 중 선택된 특정 부분을 대상으로 짧은 서열 정보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PacBio HiFi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16S rRNA의 전장 분석이 가능할 수 있게 되었다. 이번 연구는 장수말벌(Vespa mandarinia)의 해부를 통해 gut과 carcass 부분을 분리한 뒤, 각 샘플을 Illumina MiSeq과 PacBio HiFi 기술을 활용하여 미생물 군집 간의 차이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Haemaphysalis longicornis는 사람과 동물에게 여러 심각한 병원체를 전달하는 주요 매개체로, 한반도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H. longicornis는 Rickettsia spp., Borrelia spp., Francisella spp., Coxiella spp., 그리고 중증열성혈소판 감소증후군 바이러스 (SFTS virus) 등을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 서식하는 H. longicornis의 미생물 군집과 관련된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한반도 내 다양한 지역에서 채집된 H. longicornis의 미생물군집 다양성을 지역별, 성장 단계 및 성별에 따라 분석하였다. 2019년 6월부터 7월까지 질병관리청 권역별기후변화매개체감시거점센터 16개 지역에서 채집한 H. longicornis의 16S rRNA 유전자 V3-V4 영역을 PCR로 증폭 후 Illumina MiSeq 플랫폼으로 시퀀싱하였다. Qiime2를 활용한 미생물 다양성 분석을 통해 총 46개의 샘플에서 1,754,418개의 non-chimeric reads를 얻었으며, 평균 126개 의 operating taxonmic unit (OTU) 을 식별하여 총 1,398개의 OTU를 확인하였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Coxiella spp.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Coxiella endosymbiont는 가장 높은 우점도를 보이며, Coxiella burnetii와 계통 발생 학적으로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분석된 결과는 각 지역의 H. longicornis 미생물군집 데이터 베이스 구축에 활용되었으며, 이를 통해 지역별 미생물군집의 특이성을 식별할 수 있게 하였다. 이는 한반도의 H. longicornis에 의한 질병 전파 연구와 이를 통한 공중보건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3.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글로벌 경기침체기의 중국기업도 혁신이 필요한 상황에 처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기업체를 대상으로 조직문화와 임파워먼트 및 조직구성원의 변화 개방성의 상황적 관계를 실증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은 설문조사 방식으로 수행되었으며 구조방정식 모델을 적용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하여 외향적 문화(시장지향적 문화)를 구축하는 것이 개인의 변화에 ​​대한 개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접근 방식임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경영자들은 구성원의 본질적인 변화 동기를 개선하여 혁신을 촉진하고 조직에 혁신가치와 시장성과 중심의 관리 및 평가기조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시장지향적 문화 조성을 위해서는 구성원에 대한 임파워먼트가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권한 부여를 통해 개인의 변화에 ​​대한 적극성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일찍이 Erstad (1997)가 제안한 권한부여 및 조직변화 모델의 타당성을 확인한 것이다. 아울러 경영자는 팀워크 지원(Cook, 1994), 정보 공유 및 학습을 통해 구성원의 임파워먼트를 촉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권한부여 전략은 구성원들이 변화의 대상을 이해하도록 하고 변화의 도전에 대처할 수 있는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환경중시 조직문화와 변화에 대한 개방성 사이에 권한부여가 매개변수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