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Zhong Hua Zi Jing is Chinese teaching material promoted nationwide and overseas for the purpose of “fast literacy and early reading”, which covers Level 4 Chinese characters specified in the HSK exam outline. Its content includes knowledge of fifty major categories, including astronomy, geography, human relations, history, and the like. Therefore, this study is based on Xu Tongqiang’s sinogram-based theory. This paper proposes a teaching plan using the Zhong Hua Zi Jing in teaching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in order to achieves positive results in vocabulary and Chinese character learning. A survey was first conducted on Korean students in years three and four of the Chinese language major to demonstrate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s included in Zhong Hua Zi Jing, and to elucidate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s Zhong Hua Zi Jing. Then, the necessity and specific solutions of using Zhong Hua Zi Jing to teach vocabulary mainly based on Chinese characters was explored.
        4,800원
        2.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주관량은 언어의 주관성이 양범주에 반영된 개념이다. 한중 두 언어의 주관량에 대한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도달’, ‘미달’, ‘초과’ 등의 공간 개념이 주관량을 설명하 는데 상당한 유사성이 있음이 밝혀졌다. 그런데, 한중 두 언어에서 '연속'의 개념을 나타내는 많은 표현들도 사실 주관량(주관대량)의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연속 표현은 대체로 동사 앞에서 부사어로 사용되는데, 이는 다시 직접적인 방 식과 간접적인 방식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직접 ‘연속’의 의미를 나타내는 어휘를 통해 표현하는 방식이고, 후자는 ‘중단’의 의미를 부정함으로써 반대로 ‘연 속’의 의미를 나타내는 방식이다. 두 방식의 어휘들은 한중 두 언어에서 모두 상당히 다양하게 존재한다. 연속 표현이 주관대량을 나타내는 데에는 [연속-많음]이라는 지 향적 은유와 연속 표현으로 인한 사건, 행위들의 밀도 증가를 원인으로 생각할 수 있다.
        5,500원
        3.
        202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untries in the Chinese character cultural sphere share the Chinese Zodiac that assigns twelve animals to each year a person is born based on the order of arrival, so-called Tti. The twelve animals reflect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human life and are regarded as more special than other animals. Thus, the animals are used in idiomatic expressions as a vehicle to more properly describe human feelings and thought. This study therefore analyzed the semantic features of the twelve animals to explore the Chinese perception about the animals. The study result can be summarized as below: The representative semantic features of the twelve animals are as follows: [Villain], [Thief], [Misdeed], [Harmful], and [Heinous] for Rat; [Big] for Ox; [Villain], [Ferocious], [Cruel], [Heinous], [Foe], [Causing Fear], [Causing Risk], [Harmful], [Aggressor], and [Predator] for Tiger; [Agile] and [Quick] for Rabbit; [Emperor], [King], [High Status], [Authority], and [General] for Dragon; [Villain], [Aggressor], [Greedy], [Cunning], [Heinous], and [Vicious] for Snake; [War] and [Military] for Horse; [Weak], [Sacrifice], and [Dangerous Situation] for Sheep; [Nominal] for Monkey; [Small], [Slight], [Trifling], and [Useless] for Rooster; [Shabby], [Vulgar], [Bad], and [Foolish] for Dog; and [Shabby], [Vulgar], and [Wicked] for Pig. The negative semantic features were dominant in all animals except the dragon, which is consistent with a tendency that the animals are generally used to emphasize the negative aspects of a person. The semantic features of the animals are also presented in various domains of action, psychology, personality, morality, size, episode, speed, status, position, geographical features, attitude, shape, living, means, situation, etc.
        5,500원
        4.
        2022.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omestic ethical issues and discussions related to the COVID-19 pandemic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various policies and systems to solve ethical issues related to the COVID-19 pandemic. A total of 28 documents included in this study are domestic literature conducted or published in 2020 and 2021, immediately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and domestic academic papers or thesis papers including 'Corona OR Covid OR corona' and 'Ethics OR morality' were searched throughout the paper. According to the literature analysis, a total of six topics were found: ethics theory needed in the COVID-19 pandemic, citizens' rights, research ethics such as COVID-19 vaccine development, COVID-19 ethical behavior and experience research, medical resources and vaccine distribution in the COVID-19 pandemic. Since numerous ethical issues are involved in newly created policies and institutions in the process of responding to the COVID-19 pandemic, it has been shown that these ethical discussions are essential to create policies and institutions in reality, not stay at the theoretical level.
        4,000원
        5.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 부모의 놀이에 대한 인식과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을 알아보고,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에 따라 놀이 인식이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 부모 600명을 대상으로 놀이 인식 질문지, 양육 효능감 척도, 양육행동 척도,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최종 회수된 설문지 490부로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결과는 첫째, 부모의 아동 및 놀이 관련 직업 여부에 따른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놀이 시 태도에 따른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놀이 즐거움과 중요도 는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놀이 어려움 여부에 따른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결론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부모의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에 따른 놀이인식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향후의 연구에서는 학령전기 아동부모의 놀이 인식을 위한 교육 등을 포함한 연구들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4,000원
        6.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한중 미각어 ‘쓰다’, ‘苦’ 계열 어휘를 대상으로 의미 확장 및 개념화 양상에 대해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1차적으로는 사전에 기술된 의미 항목을 대조하고 이를 바탕으로 말뭉치 자료 분석을 통하여 실제 언어생활에서 사용되는 풍성한 표현 양상을 미각, 후각, 시각, 청각, 감정 및 태도, 일·사건, 사람, 날씨 영역 등으로 분류하였다. 더 나아가 이러한 어휘의 의미 구성 과정에 대해 Fauconnier & Turner(1997)에서 제시된 인지언어학의 핵심이론인 개념적 혼성 이론을 이용하여 각 의미의 혼성공간 및 발현구조에 대해 묘사하였다. 이러한 어휘의 의미 확장 과정은 신체적 경험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데 쓴맛에 대한 우리의 부정적 느낌에 대한 경험이 의미 확장 양상에서도 대부분 부정적 가치로 나타났다. 이처럼 어휘의 의미 확장은 인간의 체험에 근거하며, 또한 개별 언어의 문화적 차이로 인하여 서로 다른 특수성이 존재함을 밝혔다.
        5,800원
        7.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terial diversity based on the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analysis of PCR-amplified 16S rRNA gene sequences was determined for soil samples from two abandoned mine sites and the corresponding enrichment cultures using soil sample a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