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eavy metal contamination from abandoned mines presents long-term risks to soil ecosystems by altering physicochemical conditions and limiting microbial functions. To investigate these effects, we analyzed soils from the Deoksan Pb-Zn abandoned mine in Korea using community-level physiological profiling (CLPP) with Biolog EcoPlateTM.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ree contaminated sites and one uncontaminated control, and we assessed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heavy metal concentrations, and microbial substrate utilization patterns over a 7-day incubation period.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site-specific differences in soil chemistry, with Zn and Pb concentrations exceeding ecological safety thresholds near the mine adit. Average well color development (AWCD) increased over time across all sites, but functional trajectories differed: highly contaminated soils exhibited prolonged increases, while low-contamination soils plateaued earlier. Substrate utilization patterns shifted over time, with carbohydrates and carboxylic acids dominating in the early incubation phase, while phosphorylated chemicals became more prominent in later stages. Multiple regression and relative importance analyses identified Cd, Pb, and Zn as key regulators of substrate utilization, with phosphorylated chemicals showing strong negative correlations (R 2>0.95).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heavy metal stress not only decreases overall microbial activity but also disrupts specific metabolic pathways. The utilization of phosphorylated chemicals emerged as a particularly sensitive functional indicator, underscoring its potential for ecological risk assessment and soil health monitoring in contaminated sites.
        4,000원
        3.
        202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진발생 시, 건물은 작게는 손상에서 크게는 붕괴까지 이어지므로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지진의 위험성에 대비하여 건물의 내진성능평가가 필요하다. 현재 내진성능평가 기법의 경우 개별 건물을 대상으로 하기에 많은 시간이 투자되어야 한다. 따라서, 지역규모의 건물들을 대상으로 하는 내진성능평가 기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RC 주거형 건물의 내진 성능을 평가하고 보강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비선형 Shear Spring을 가진 단자유도모델을 구축하였다. 구조물의 비선형 응답을 모사 하기 위한 비선형 Shear Spring은 T-SR-μ를 매개변수로 정의된다. 해당모델에 100개의 PEER 지진을 적용하여, 최대층간변위비 응답 으로 건물의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제안기법의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세모델과 비교하였을 때, 두 모델 모두 건물의 내진성 능을 같은 수준으로 판단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제안된 방식이 실제 건물의 내진성능을 예측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4,000원
        4.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고농도의 초미세먼지 발생 빈도 증가와 함께 그 전구물질인 NH3와 관련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NH3 배출에 있어 농업의 기여율이 높은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비료 사용이 농경지 대기 중 NH3 농도에 장기간 미치는 영향에 관련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동식 NH3 확산형 포집기를 활용해 11개월 간 농경지 대기 중 NH3 농도를 관측하였다. 그 결과 비료 살포 직후 한 달 동안 NH3 배출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후 여름철 기온 상승으로 NH3 휘발이 촉진되어 대기 중 농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54일간의 지속적인 강우로 인하여 대기 중 높은 암모니아 농도는 관측되지 않았다. 그 후 NH3 농도는 가을과 겨울을 거치면서 점차 감소하였다. 비료의 영향력이 감쇠한 시점 이후에는 기온이 감소할수록, 그리고 강수량이 증가할수록 NH3 농도는 감소하는 것을 상관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해 보면, 국내 NH3 배출량에서 비료의 기여율을 연구하는 데 있어 비료 살포 직후 최소 한 달 동안은 집중적으로 살펴보아야 할 것이며, 현장 연구 시 강수량과 무강우 일수 등의 기상 정보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