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ppropriate strain of Bacillus spp. derived from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s was selected for fermentation of black rice bran, and the fermented bran’s nutritional components were analyzed. Among 18 isolated Bacillus spp. strains, the five (KU3, KU24, KU28, KU611, and KU612) that exhibited both amylolytic and proteolytic activities were selected for fermentation. Among these, Bacillus sp. KU3 showed notable dual enzymatic activity. During fermentation in black rice bran medium, Bacillus sp. KU3 increased from 5.83 to 7.83 Log CFU/mL after 24 h. The KU3 strain was identified as Bacillus subtilis using an API 50 CHB kit and 16S rRNA sequencing. Black rice bran (4% w/v) was fermented with B. subtilis KU3 at 37°C, 150 rpm for 24 h. Following fermentation, the main component of the fermented black rice bran was carbohydrate (77.13%). An increase in ash content was observed, while other nutritional component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 subtilis KU3 is a viable strain for black rice bran fermentation.
To understand long-term variations of Sea Surface Temperature (SST) in inshore and offshore waters of Jeju Island in Korea, long-term data of the shore stations (1924~2009) and the network of serial oceanographic observations (1968~2008) under th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Korea were analyzed. The SST in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has increased by 1.94oC for the last 86 years. The SST in offshore waters has increased by 1.17oC for the last 41 years. The SST has risen by 0.26oC in inshore and 1.78oC in offshore waters of Jeju Island in summer season. The SST has increased by 4.75oC in inshore and 1.13oC in offshore waters in winter season. Therefore, the annual amplitude of SST has diminished in the waters of JeJu Island between summer and winter season. We speculated that SST increase was driven by the global warming and heated fresh water from the Yangtze River. On the other side, long-term variation of SST in the waters of Jeju Island was quantified by using NOAA/AVHRR satellite data from 1990 to 2008.
응급의료는 부정적 영향요인을 다량 내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발전을 거듭해오고 있다. 보건복지부나 대한응급의학회에서는 이러한 부정적 영향요인의 해소를 위해 응급 실 과밀화와 비응급환자의 조절을 위한 한국형 중증도 분류체계와 같은 정책을 지속적 으로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장 속에서 일하는 의료진의 응급의료에 대한 정체 성은 공적으로 거론되지 않는 분위기였다. 이는 전문직으로써 소명감을 중요시하는 문 화와 공공연한 사실을 공론화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국내 의료계의 풍토가 큰 몫을 차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의료진의 업무에 대한 정체성은 전문 직관과 연결되 어, 소진, 이직으로 이어지므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정체성의 규명은 당면한 현실을 재인식하게 하고, 그 속의 자아를 재구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는 응급실 의료진 10인을 대상으로 생생한 응급의료의 정체성에 대한 담론을 듣고자 내러티브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응급의료진들은 시대가 요구하는 응급의료의 왜 곡, 수혜자와 제공자간의 딜레마, 국가 차원의 총합적 단계의 조정력 부족과 같은 부정 적 문제 개선을 중심 정체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의료진의 부권주의적 성향 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의료진들이 응급의료에 대해 긍정적인 개선의지가 뚜렷 하다는 것으로 파악되며 추후 여러 병원의 다각적인 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