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무용을 기반으로 한 연극과 사진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 프 로그램 참여가 성인 발달장애인의 자율성, 자기표현, 사회적 행동에 미치 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G시 인재평생교육진흥원과 A대학교가 협업하여 진행한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특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 발달 장애인 1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양적연구와 수업 관찰 및 면담조사 등의 질적 연구를 병행한 혼합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무용 기반 연극과 사진을 활용한 문화예술 프로그램이 성인 발달장애인의 자율성, 자기표현, 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첫째, ‘참여 정도’, ‘적극적인 표 현과 반응’, ‘창작 활동의 적극성’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며 스스로 결정하 고 행동하는 자율성이 향상되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둘째, ‘표현 거부’와 ‘소극적인 표현’에서 점차 ‘적극적인 표현’, ‘망설임 없는 표현’, ‘자유로운 표 현’ 으로 변화되는 모습을 통해 자기표현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셋째, 상대방 행동에 ‘적극적인 반응’과 ‘경청’하는 태도를 보였고, ‘적극적인 팀 활동’, ‘협동 심’, ‘양보’, ‘배려’, ‘자신의 감정 통제’ 등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장애인의 자율성, 자기표현, 사 회적 행동 촉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을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교량의 시공기술 발달에 따른 다양한 교량의 건설과 교통량의 증가에 따른 내구성 및 유지보수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면서, 이와 같은 요구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신축이음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최근 기후온난화로 인한 여름철 도로 블로우업 현상에 기인한 신축이음장치의 하자가 최근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신축이음장치는 교량형식 및 제원, 교통량, 보수, 교체성 및 강설량 등에 따라 점차 다양해지고 기술이 집약화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모든면에서 완벽한 신축이음장치는 없으며, 각 형식에 따라 장단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강재형 신축이음장치가 아닌 저온·고온에 성능에 우수 한 탄성아스팔트 바인더 혼합물에 응력분산을 통한 균열에 효과적인 신축보강재를 복합 구성하여 프리캐스트방식으로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 적용 빠른 시간내 시공이 가능하도록 신축이음장치를 제작하여 이를 연구·평가하고자 한다
The sex differentiation of fishes occurs under the control of genetic and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DM-domain containing genes are novel zinc finger transcription factors and play key roles in sex determination. In order to isolate the wrasse DMRT (wDMRT) cDNA from the protogynous wrasse (Halichoeres tenuispinnis), the wrasse testis cDNA library was screened using the P-labeled PCR products, which were amplified with the degenerate primers from conserved DM-domain regions of several DMRT genes. Among a few positives obtained through screening, the full length wDMRT cDNA of 2.9kb size encoding a predicted 300 amino acid residues was isolated. The sequence analysis exhibited 60%, 43% sequence identity with rainbow trout and tilapia DMRT1, respectively. RT-PCR assay showed that wDMRT was expressed specifically in male testis. Also, wDMRT gene was strongly expressed in May during reproductive season, when the reproductivity of wrasse is most active. This results suggested that wDMRT gene function in testis differentiation The conserved DM-domain regions were amplified using PCR from DMRT genes of several species among Labridae, and their sequences were determined. The sequence of DM-domain region of Halichoeres. tenuispinis was identical to those of Pseudolabrus japonicus, Pteragogus flagellifera, and showed 94% identity with that of Halichoeres poecioptrer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