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4.
        2002.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a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mino acids supplemented with culture medium on development of porcine embryos cultured in vitro. Cumulus oocyte complexes (COCs) were cultured in the maturation medium containing hormones (0.5/ LH, 0.5/ FSH and 1/ estradiol-17) for 20-22 h at 39 in an atmosphere of 5% COin air. Subsequently, COCs were cultured in hormone-free maturation medium for 20-22 h. After maturation for 40-44h, oocytes were removed cumulus cells by pipetting and cultured with epididymal sperm for 5 h in the mTBM. Embryos obtained were divided in 4 groups (1) cultured in NCSU 23 containing 0.4% BSA to blastocyst stage(Control), (2) essential amino acids (EA), (3) non-essential amino acids (NA), (4) mixture of essential and non essential amino acid (EA+NA). All treated groups(2-4) were used a glucose free NCSU 23 medium supplemented with pyruvate (0.33 mM), lactate (4.5 mM) to morula stage. From morula to blastocyst stage embryos of all treated groups were cultured in NCSU 23 containing 0.4% BSA. The rates of cleaved oocytes at 48 h after IVF were from 82% to 88% in the groups of control, EA, NA and EA+NA, respectively. The in vitro developmental rates into blastocysts in the groups of EA and EA+NA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of group of control (35.1, 35.4 vs. 19.4%, respectively), however, no significant (P<0.05) between control and NA. In conclusion, supplemented with essential amino acid or mixture of essential and non essential amino acid in the culture medium at morula stage increased the rate of development to blastocyst on in vitro produced porcine embryos.
        5.
        198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팔당호밀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중북부 지방에서 월동전 청초 이용후 종실을 생산할 수 있는지를 검토코저, 춘천, 수원, 화성 및 청주에서 2개년 동안 실시하였다. 파종기는 각 지역 모두 4파종시기로서, 청초예취는 월동직전 1회 예취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월동전 예취시 초장, m2 당 경수 및 청초수량은 조기파종인 9월 11 일 파종에서 가장 크고 많았으며, 만기파종인 10월 11 일 파종에서 가장 적었는데, 춘천의 9월 11 일 파종에서 청초수량이 10a당 1.803kg으로서 가장 많았다. 2. 청초수량의 기여정도는 주로 초장 및 경수에 의하여 좌우되는데 경수보다는 초장의 기여도가 더 크게 영향하였다. 3. 예취에 의하여 월동중 냉해의 피해를 받았으며, 또한 출수기가 늦고, 초장도 감소되었다. 4. 수량구성형질중 m2 9당 수수만이 예취별에 따라 고도의 유의성 있었으며, 타형질들은 파종기 및 예취구분간에 변이가 적었다. 5. 종실수량은 무예취구에서 많았으며 예취구와의 차이는 45kg/10a로서, 예취구의 간장 및 월동률저하는 종자수양을 감소시켰다. 또한 수양구성요소중 m2 당 수수는 종자생산에 가장 크게 영향하였다. 6. 청초수량이 많은 조파의 종실수량은 청초예취 및 무예취구간에 변이가 적고 절대수량이 많아 적절한 재배관리에 의하여 축산농가에서 월동전 청초이용후 종실을 생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