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17.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관내 유두상 점액 종양은 담관내에서 흔히 발견되며, 최근에는 전암성 병변으로 인식되어 왔다. 담관내 상피세포의 유듀상 성장과 점액생성 및 그로 인한 간내담관의 확장을 특징으로 한다. 수술적 절제가 악성 변화를 막기 위한 최선의 방법이다. 담관내 유두상 점액 종양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수술이외의 치료에 대한 보고는 많지 않다. 우리는 75세 여자 환자가 우연히 담관내 유두상 점액 종양으로 진단 받고 아르곤 플라즈마 응고소작술로 성공적 치료를 받은 경우를 보고한다. 환자의 나이와 동반질환 등을 고려하여 수술 적 절제보다는 아르곤 플라즈마 응고소작술을 시행하였고, 치료 4주 후 시행한 경피 경간 담도내시경에서 잔여종양의 증거는 없었다.
        5,100원
        2.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육성된 거베라 ‘Saebom’, ‘Songsongee’ 그리고 ‘Sugar Pink’ 등 3품종을 이용 하여 LED와 cytokinin이 기내 유묘의 생장 및 형태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MS 기본배지에 BAP 0, 1.0, 2.0, 4.0mg·L-1와 kinetin 1.0, 2.0, 4.0 mg·L-1 각각에 NAA 0.2 mg·L-1를 혼용하 고, LED는 적색, 청색, 혼합(적색+청색) 및 형광등으 로 하여 배양 6주 후 기내 유묘의 생육을 조사하였다. 3품종 모두 신초 생육에서 신초장은 대조구인 형광등 보다는 적색광 처리구에서 길어지는 경향이었으며 엽 신은 작아지고 엽병은 가늘어지는 형태를 보였다. 특히 BAP에서의 신초는 대부분 로제트 타입으로 생육하였다. 신초수는 형광등과 혼합광 처리구의 BAP 4.0 mg·L-1 에서 가장 많았고, BAP가 kinetin보다 신초수 증가에 더 효과적이었으나 투명화율이 높게 나타났다. 뿌리의 생육은 3품종 모두 모든 광원에서 cytokinin 무처리구 에서 양호하였다. 또한 생체중과 건물중 그리고 엽면적 값은 혼합광 처리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엽록소 함량은 ‘Songsongee’ 품종을 제외하고는 청색광 처리 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3품종 모두 조사된 모든 광원 에서 kinetin이 BAP보다 더 높은 엽록소 함량을 보였 다. 투명화율의 경우는 모든 광원에서 BAP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kinetin 처리구 에서는 투명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4,000원
        3.
        200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ollen grain is a unique tricellular structure suitable for the delivery of the sperm cells to the ovule. All nutrients required for microspore and pollen cell growth are derived by passage through the anther locule and secretion by the tapetum lining. During later stages the tapetum degenerates but contributes to produce pigments, waxes, lipids and proteins which form the pollen coat and function in signaling between male (pollen) and female (pistil) tissues. The development of both normal pollen and tapetum is necessary for the fertilization processes in rice and would be exploited for the induction of male-sterility which is very useful to improve economic value of crops. We aredeveloping new approaches using a conditional male-sterility for the F1 hybrid seed production in rice. The conventional three parental systems for F1 hybrid seed production requirethe following three lines: male-sterile line, maintainer line, and restorer line. In this system, a critical requirement is to maintain the male-sterile inbred lines. Here we suggest molecular approaches, in which the engineered male-sterile plants are generated by regulating endogenous hormonal balance through the loss-of-function of genes. We can expect the male-sterility can be restored by exogenous applications of hormones such as gibberellin or jasmonic acid. Based on two parental systems, we will address the answer onfollowing question: how can we maintain a male-sterile line producing 100% male-sterile progenies without a maintainer? This work was supported by grants from Crop Functional Genomics Center of the 21C Frontier Program (CG1517), Republic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