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6

        1.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Excessively high concentration of sodium ion causednutrient deficiency and significantly decrease growth.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limiting concentration range of sodium ion in the soil of ginseng field. Methods and Results : The growth of the ginseng cultivar Chunpoong reduced with increase in salinity, and the rate of growth reduction was higher in shoots than that of roots. Particularly, ginseng plants cultivated at high level of nitrate nitrogen or sodium may suffer delayed development and stunted growth. Chlorophyll damage occurred on the leaves of ginseng planted in relatively high levels (> 0.2 c㏖+/㎏) of sodium ion, as determined by the fluorescence reaction. The incidence of physiological disorder in ginseng cultivated at 249 sites was correlated with the concentration of sodium ion in the soils. About 74% of ginseng fields in which physiological disorders occurred had concentrations of sodium ion in soil greater than 0.2 c㏖+/㎏. In contrast, the concentration of sodium ions at 51 of 85 sites where no damage occurred was relatively (0.05 c㏖+/㎏- 0.15 c +/㎏). Conclusions : The concentration of sodium ion in soil of ginseng field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levels optimum (≤ 0.15), permissible allowance (0.15 - 0.2) and excessive (> 0.2).
        2.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Quantitative trait locus (QTL) mapping is a highly effective approach for studying genetically complex forms of plant shattering. With QTLs mapping, the shattering loci can be described. SSR marker is based on the imformation of Simple Sequence Repeat and easy to analyze using PCR and has high reproducibility. For analyzing QTLs associated with shattering, we selected 219 SSR markers from 254 SSR markers and used them for implementing Mapmaker(Ver. 3.0) and Mapchart(Ver. 2.2). Mapmaker help to calculate distances between each markers and Mapchart is a program for drawing Genetic map. This Genetic map of rice (Oryza sativa L.) covering 2082.4 cM with 9.5 cM between makers in the Kosambi function has been constructed using 120 F1 DH plants from a single cross between the indica variety Chungchung and the japonica variety Nagdong.
        3.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관행의 교배육종과 DNA 마커를 이용한 MAS의 접목을 통하여 벼멸구 저항성과 관련된 단점을 보완하고, 효율적으로 도열병, 줄무늬잎마름병, 흰잎마름병, 벼멸구, 끝동매미충 저항성이 집적된 복합내병충성 우량계통을 육성하고자 수행하였다. 교배모본으로는 완전미율이 높고, 끝동매미충에 저항성인 '남평'과 단간이면서 흰잎마름병에 저항성인 '주남'을 반복친으로 사용하였고, 벼멸구저항성 유전자 Bph1을 가지고 있지만 간장이 크고 재배안전성이 미흡한
        6.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수집된 인삼 자원 중에서 작물학적 특성이 우수하다고 조사된 54점(6~7년 근)을 대상으로 UPOV 조사 기준에 따라 주요 형태적인 특성들을 조사한 결과 경수는 1~4개 범위로 1개인 것이 42.6%이고, 2개인 것이 38.6%로 경수가 1~2개인 것이 전체 81.2%로 나타났으며, 경수가 5개인 것은 없었다. 장엽수는 3~6엽 범위로 5엽이 55.6%였고 4엽인 것은 25.9%였다. 경색은 자색계열이 전체 81.5%로 자색이 46.3%, 연자
        9.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자포니카형인 '낙동'과 통일형인 '삼강' 조합의 DH 집단을 이용하여 식미를 결정하는 특성 중 하나인 호응집성과 미립의 이화학적 특성인 천립중, 장폭비, 아밀로즈 함량, 단백질 함량, 지질 함량 및 전분 함량 간 상관관계를 검정하였다. 또한 호응집성의 QTL을 분석하고, 각 QTL에 속하는 DNA marker와 DH 집단의 호응집성 및 품종별 호응집성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삼강/낙동' DH 집단의 호응집성 범위는 35~94 mm로 비교
        10.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멸구 저항성 유전자의 mapping, 벼멸구 저항성 관련 QTL 분석, 주요 농업형질과 벼멸구 저항성과의 관계 분석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 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벼멸구 저항성을 가진 통일형 벼인 '삼강'과 자포니카형 벼인 '낙동'을 교배하여 양성된 F_1의 약을 배양하여 육성된 120 DH 계통을 유전자 지도 작성을 위한 mapping 재료로 이용 하였다. Maker 검정에서 양친에 다양성을 나타낸 SSR 73, STS 89개 등 총 162
        13.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giant embryonic rice and functional rice food are preferred by more consumers, which ar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embryo has high concentrations of essential amino acids, fatty acids, and vitamins relative to other parts of rice grains. In this report, the heredity and stability of giant embryo mutations in successive generations were analyzed regarding a giant embryonic line, 'P47', induced by T-DNA insertion and a F2 population from a cross between 'P47' and 'Junam'. The mutant lines with increases of 1.5, 1.7 and 1.8 times on embryo length, width and 100-embryo weight to those of the control showed stable inheritance across three generations. The continuous frequency distributions of embryo size in the F2 population showed that the embryo size is a quantitative trait of polygene controlled. In addition, wide range of transgressive segregations of six traits affecting embryo size confirmed exchange of genetic materials and recombination between genes controlling embryo size. Five giant embryo mutant lines selected from the F2 population will be used for artificial selection and improvement of giant embryonic varieties.
        17.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포니카형 품종에서 벼멸구 저항성 육종의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삼강벼'/'낙동벼' BC5F5 세대의 여교잡집단(SNBIL)에서 개발된 DNA marker RM28493에 대하여 활용성을 검토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벼멸구 저항성 유전자 Bph1의 근동질 유전자 계통인 SNBIL61과 감수성인 주남벼가 교배된 약배양 집단에서 RM28493은 벼멸구 저항성 생물검정 성적과 일치하였다. 2. RM28493은 다양한 유전자원에서 벼멸구 저항성 유전자인 B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