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2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수온이 상승하는 추세이며, 그에 따른 수계 내 유기물의 농도 증가에 따라 정수 처리 과정에서의 소독부산물 생성량 역시 상승하고 있다. 이 중 총트리할로메탄(Trihalomethanes, THMs)은 발암물질로 분류되며, 먹는 물 수질 기준이 0.1 mg/L로 설정되어 있다. 소독부산물 생성량 증가와 취수원에서의 수질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됨에 따라 안정적 수돗물 공급을 위한 대책이 필요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여름철 경기도와 경상북도 지역의 수도꼭지에서 THMs 농도를 모니터링 하였다. 또한, 과거 THMs 측정 자료와 더불어 다양한 자료를 비교ㆍ분석하여 THMs 농도 변화의 원인을 파악했다. 그 결과, 조사 지역들의 THMs 생성에는 원수의 종류, 그로 인한 용존유기탄소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클로로필-a 인자와 더불어 계절적 요인들 중 기온과 강우량이 종합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선형 회귀분석을 통해 용존유기탄소와 THMs간의 상관관계가 높으며 수돗물의 용존유기탄소 농도가 2.7 mg/L 이상일 경우 THMs 농도가 법정 먹는 물 수질 기준을 초과할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여름철 강우가 집중되는 시기와 갈수기 THMs 관리를 위해 원수의 유기물 농도를 관리하는 노력이 필수적임을 확인하였다. 해당 결과는 정수장에서의 유기물 농도 관리를 통해 THMs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하며, 앞으로 먹는 물 수질 기준과 정수장 운영 관리에 용존유기탄소 수질 항목을 추가하는 방안의 검토가 필요하다 판단된다.
        4,500원
        7.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안경렌즈의 주변부를 통해 볼 때 주시각도 증가에 따른 굴절력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방법 : (+)렌즈에서 주시각도 증가에 따른 굴절력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렌즈미터의 렌즈받침부 상단에서 25 mm 아래 지점을 중심으로 렌즈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정해진 주시각도만큼 렌즈의 광축이 기울어진 상태로 굴절력을 측정하였으며, 주시각도 증가에 따른 두께 및 정점간 거리의 변화에 의한 굴절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과 : 주시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렌즈의 두께는 얇아지고 정점간 거리는 멀어진다. 기준굴절력 +6.00 D, 주시각도 30゚일 때 두께변화에 의한 교정굴절력의 변화는 0.03 D 이하로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주시각도의 증가에 따라 정점간 거리도 멀어지게 되며, 과교정 상태가 되지 않도록 (+)굴절력이 감소하여야 한다. 그러나 측정된 굴절력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착용자에게 굴절력이 가중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가장 큰 영향은 보이는 것은 비점수차에 의한 굴절력의 변화이며, 주시각도 15゚이상에서 최소굴절력과 원주굴절력의 증가 로 착용자들은 불편함을 느낄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 : 안경렌즈의 주변부를 사용할 때 정점간 거리의 변화에 따른 굴절변화와 비점수차에 의한 원주굴절력의 변화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안면각의 조정으로 렌즈의 주변부를 통해 볼 때 지각적 변화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4,200원
        8.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안경렌즈의 주변부를 통해서 주시할 때 발생하는 굴절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방법: 렌즈의 주변부를 통해 봤을 때 굴절력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렌즈미터의 렌즈 받침부(lens support)로부터 25mm아래에 있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주시각도만큼 렌즈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렌즈미터로 굴절력을 측정하였으며, 광학중심부와 주변부에서 측정한 굴절력과 비교하였다. 또한 주시각도에 따른 두께의 변화와 정점간 거리의 변화가 굴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결과: 주시각도가 커짐에 따라 시선이 지나가는 렌즈의 두께는 증가하지만 교정굴절력에 큰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니었다. 주시각도가 증가하면 정점간 거리도 증가하게 되며 추가 (-)굴절력이 필요하다. 주시각도가 30゚이내일 때 추가 굴절력은 –0.1D이하이다. 주시각도가 증가할 때 최소굴절력(구면굴절력)은 기준굴절력과 대체로 큰 차이가 없었다. 원주굴절력은 주시각도 10゚정도까지는 거의 발생되지 않았으나 주시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주변시에서 비점수차 등의 수차에 의한 굴절력의 변화는 렌즈의 사용 환경과 취급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4,500원
        9.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가입한 (±)구면렌즈 굴절력에 대응하는 조절력의 변화를 비교하여 렌즈의 적응효과를 알아보았다. 방 법 : 평균연령 21.76±1.76세의 51명(남자 26명, 여자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의 완전교정 된 눈 앞에 S+1.00 D, S+2.00 D, S+3.00 D, S-1.00 D, S-2.00 D, S-3.00 D를 순서대로 가입하여, 가입 직 후, 15분 후, 그리고 30분 후에 각 단안조절력을 측정하였다. 측정값들은 완전교정 상태의 조절력과 비교 하였고, 렌즈 가입 전·후 측정된 단안조절력의 변화값은 가입한 굴절력 값에 대한 상대 비율로 계산하였다. 결 과 : S+1.00 D, S+2.00 D, S+3.00 D 가입 후 조절력은 완전교정 조절력보다 모두 유의하게 (p<0.001) 증가되었지만, 가입된 렌즈굴절력의 약 55~68% 수준이었다. S-1.00 D, S-2.00 D, S-3.00 D 가입 후 조절력은 완전교정 조절력보다 모두 유의하게(p<0.001) 감소되었고, 가입된 굴절력의 약 72~105% 수준이었다. 결 론 : 조절변화를 목적으로 구면렌즈를 처방할 때, 임상전문가들은 렌즈적응으로 인해 더해준 구면굴절 력 값보다 조절변화량이 대부분 감소될 것이라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