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3.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항해사 교육과정 중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차지하는 충돌 예방에 관한 교육은 실습생에게 중요한 교육 및 실습 과정 중 하나이 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습생의 체계적이고 정량화된 충돌 예방 실습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실습생의 충돌위험도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 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충돌위험을 판단하는 요소를 도출하고 실습생 대상 설문조사로 실습생 관점의 충돌위험도를 시나리오별로 도출하였다. 그리고 PARK Model을 이용하여 현직 항해사가 느끼는 충돌위험도와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실습생 및 현직 항해사는 충돌위 험요소 중 타선과의 거리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나리오별 위험도 경향은 유사했으나 실습생의 평균 위험도 (5.39)가 현직 항해사의 평균 위험도(5.20)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특정 상황에서는 현직 항해사보다 실습생이 더 낮은 위험 도를 체감하였고 이는 실습생의 항해 경험 부족으로 인한 결과로 판단된다. 해당 연구는 실습생의 충돌 위험도 및 현직 항해사의 위험도 차이를 정량적으로 제시하여 충돌 예방 실습 교육 개발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4,200원
        4.
        202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해상풍력발전단지 등의 구조물 설치를 추진하는 사업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해상장해물의 설치는 인근 해역 을 통항하는 선박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통항로 내 장해물에 따라 통항하는 선박에게 주는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평가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위험도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를 선정하고,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시나리오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위험도 평가 모델인 ES 모델을 통해 시나리오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장해물의 크기가 커지고, 장해물과의 이격거리가 커지고, 통항 속력 이 느리고, 통항량이 증가할수록 위험 비율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통흐름 방향이 지정된 경우에 일반적인 교통흐름에 비해 낮 은 위험 비율을 보임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수행된 시나리오 결과를 기반으로 일반화 모형을 제시하여 다대포 해상풍력발전단지에 적 용하였으며, 일반화 모형을 통해 대략적인 위험 비율을 추정하는 것이 가능함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일반화 모형은 해상장해물 설치에 있어 사전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5.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육상 기원 조립질 하상 퇴적물의 높은 이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전단과 파쇄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링전단실험을 수행하였다. 평균 입경 6 mm 자갈에 대하여 링전단시험장치를 사용하여 전단시간(shear time)과 전단속도(shear velocity)에 따른 전단-변형률 역학특성과 입자파쇄 특성을 조사하였다. 특히 배수(장시간 전단)와 비배수(단시간 전단)조건을 고려하기 위하여 초기 전단속도(0.01→0.1→1 mm/sec와 0.1→0.01→1 mm/sec)에 따른 링전단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i) 배수와 비배수조건 모두에서 입자파쇄 특성이 확인되었지만, 비배수조건에서 상대적으로 큰 전단저항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ii) 배수조건에 관계없이 수중 자갈의 초기 전단속도는 전단응력-전단변형률 관계곡선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iii) 입자파쇄는 평균 입경에 영향을 받으며 사용된 수중 자갈은 상대적으로 큰 입자파쇄 특성을 보였다. 그리고 (iv) 전단응력 결정에서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영향인자는 전단시간과 초기 전단속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모래와 자갈을 다량 함유한 조립질 하상 퇴적물은 입자-입자 간 상호 접촉, 마모, 맞물림, 마찰 등의 물리적 이동과정을 통해 입자파쇄와 세립토 함량이 증가되고 이러한 현상은 하상 퇴적물의 고유동성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4,200원
        8.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enus Hellinsia Tutt, 1905 is the largest group of the tribe Oidaematophorini (Lepidoptera, Pterophoridae, Platyptilinae). The genus is mostly distributed in the Neotropical region and Nearctic region, and partly in the Palaearctic and Afrotripical regions, with more than 190 described species from all over the world (Gielis, 2003). Among them, approximately 30 species of the genus Hellinsia Tutt have been reported in the Palaeartic region, including 9 species of Japan, 14 of Russia, and 15 of China. However, it has been poorly known from Korea to date, with only 4 known species: 2 species (H. lienigianus (Zeller) and H. distinctus (Herrich-Schffer) from South Korea (Park 1993, 1994) and 2 species (Hellinsia albidactylus (Yano) and H. lateolus (Yano)) from North Korea (Arenberger, 1991). This study is aimed to review all known species of the genus Helinsia Tutt in the Korean Peninsula, with three previously unrecorded species: Hellinsia ishiyamanus (Matsumura), H. Kuwayamai (Matsumura), and H. nigridactyla (Yano). Material examined in this study are preserved in the Insect collection, Korea National Arboretum, Korea. Consequently, 7 species, in total, are recorded from the Korean Peninsula.
        9.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family Gracillariidae belonging to Gracillarioidea comprises more than 2,000 described species of 75 genera in the world (Davis & Robinson, 1999). The members of the family are mostly small-sized moths, which can be distinguished by a short (2-10mm in length) and lanceolated narrow wing with prominent cilia. The larvae of the family have been known as leaf-miner and hypermetamorphic development in larval stages. In Korea, it has been recorded 39 species of 11 genera by several researchers (Nakayama & Okamoto, 1940; Ko, 1969; Park, 1975; Park et al. 1977; Kumata & Park, 1978; Park, 1983; Kumata et al., 1983; Park & Han, 1986). Recently, Sohn (2007) reported 6 species without descriptions and detail information for the speci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and review the Korean Gracillarid moths, due to their lack knowledge from Korea to date, comparing with Japanese fauna, which contains 225 known species from Japan (http://www. jpmoth.org/). In this study, three species, Cloptilia heringi Kuroko, Phyllonryeter cavella (Zeller), and P. tritorrhecta (Meyrick), of the family Gracillariidae are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10.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family Pterophoridae (Lepidoptera) commonly known as 'plume moths' is cosmopolitanand comprises 1,136 species in the world (Gielis, 2003). Of these, approximately 250 species are known in the Palaearctic Region (Arenberger, 1995). In Korea, since two species of the family, Platyptilia rhododactyla (Denis et Schiffermller)) and P. suigensis Matsumura were reported by Matsumura (1931) and Park (1983) listed 7 species for the fauna of Korea, excepting P. suigensis, no additional species has been reported from Korea. The genus Nippoptilia, belonging to subfamily Platyptilinae,is a small group with only 7 described species in the world. Of them, 4 species Nippoptilia eochrodes (Meyrick), N. issikii Yano, N. minor Hori, and N. vitis (Sasaki) have been known in the Palearctic Region (Gielis 2003), distributing 3species from Japan (Gielis, 2003) and a single species from China, and N. vitis (Sasaki) from Korea respectively. This paper is aimed to review all known species of the genus Nippoptilia in Korea, based on material deposited in all available collections in Korea. All the type specimens of the new species are deposited in the Insect collection, Korea National Arboretum, Korea.
        11.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family Heliozelidae belonging to Incurvarioidea, which is relatively primitive group, includes very small-sized moths with forewing length of 3-9mm, comprising 12 genera and about 106 species in the world (Heppner, 1991). It has a worldwide distribution mainly in the Nearctic and Australian regions. In Asia, thirteen species belonging to three genera of the family were reported from Japan, but almost it has not been known from Korea. Just one species, Antispila purpulella Kuroko, was recorded by Lee & Byun (2007). The family are leaf-miners through the larval stage and include several pests of fruit trees, such as grapes and apple. Larvae of Coptodisca splendoriferella (Clemens, 1859) mine into twigs of apple trees in America (Needham et al., 1928). In Japan, Antispila uenoi Kuroko, 1987 is known as a pest of grapes (Ueno, 1987). At least 13 plant families including Vitaceae, Cornaceae and Fagaceae have been reported as host plants of Heliozelidae (Davis, 1999). In this study, two unknown species, Heliozela castanella Kuroko, and H. limbata Lee et al., of the family Heliozelidae was reported based on the material collected from Prov. Gyeongnam and Gyeonggi.
        13.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채진목의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LPS로 염증을 유도한 RAW 264.7 세포에 대한 채진목 70% 에탄올 추출물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채진목 70% 에탄올 추출물의 대식세포에서의 세포 독성 측정 을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세포 독성을 측정한 결과, 1,000 μ g/mL의 농도에서 96%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 내었다. 항염증 활성을 효과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LPS로 유도된 대식세포 내 NO 생산을 억제하는 효과를 Griess의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채진목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NO의 생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되 었음을 확인하였다. 채진목 70% 에탄올 추출물을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처리한 세포군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iNOS와 COX-2의 단백질 발현양이 감소하여 최고 농도인 500 μ g/mL에서 각각 84.3%, 56.2%의 발현 억제를 보여주었다.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을 통하여 mRNA 발현양을 측정한 결과 iNOS와 COX-2의 mRNA 발현양이 감소하여 500 μ g/mL 농도에서 89.8%, 84.9%로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채진목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에 관한 그 효능 을 확인할 수 있었고, 따라서 채진목 70% 에탄올 추출물이 천연 항염증 소재로써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14.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vitro high-frequency plant regeneration of Muscari comosum var. plumosum through somatic embryogenesis was obtained via two developmental pathways: direct embryos and multiple shoots regenerated from embryogenic callus. Flower bud with pedicel, receptacle, petal and ovary wall, floral stalk and leaf as explants were cultured i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various plant growth regulators. Embryos formed directly from pedicel, receptacle and floral stalk. Depending on explant sources, the optimal medium was MS medium supplemented with 0.2 mg/L IBA and 0.3 mg/L BA, 3.0 mg/L IBA and 3.0 mg/L BA, and MS-free medium for pedicel, receptacle, and floral stalk, respectively. Multiple shoots regenerated from embryogenic cal]i which was initiated from petal, ovary and leaf were observed in MS medium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and combinations of hormone. The most suitable medium for each type of explant was 3.0 mg/L IBA and 3.0 mg/L BA(petal and ovary) and 5.0 mg/L IBA and 5.0 mg/L BA (leaf) Furthermore, the combination of 0.1 mg/L 2,4-D and 1.0 mg/L BA was also good for all sources of explants not only for direct embryo formation, but also, for embryogenic callus in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