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 축산물을 수출한 국가들이 2022년과 2023년 에 제출한 2019-2022년 국가별 잔류물질검사프로그램(NRP) 자료를 바탕으로 축산물 유형별, 국가별로 잔류허용기준 을 위반한 동물용의약품과 환경오염물질의 현황을 분석하 였다. 가장 많이 위반된 잔류물질은 네오마이신 2 4 1건, 페 니실린G 183건, 겐타마이신 151건, 세프티오퍼 113건, 니카 바진 103건 등이였고 축산물별로는 소고기, 돼지고기, 가 금육, 우유, 계란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잔류 위반이 가 장 많았던 소고기에서는 페니실린G, 세프티오퍼, 플루니신 , 네오마이신, 벤질페니실린, 멜록시캄, 플로르페니콜, 질 파테롤 등 전염병 치료에 사용되는 항생제와 해열제 및 성장 촉진에 사용되는 동물용의약품이 주로 검출되었지만 , 돼지고기에서는 성장촉진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락토파민 과 항생제인 독시사이클린, 클로람페니콜, 벤질페니실린, 난드롤론, 티오라실, 스트렙토마이신 및 임신 촉진에 사용 되는 호르몬이 가장 흔하게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가 금육에서는 콕시듐증 치료에 사용되는 항생제인 니카바진 이 가장 많이 위반되었으며, 스트렙토마이신, 아미노글리 코사이드 항생제, 벤질페니실린, 독시사이클린 및 기타 항 생제가 그 뒤를 이었다. 동물용의약품의 잔류 위반은 많 은 국가에서 보고되고 있으나, 다이옥신과 PCB와 같은 환 경오염 물질의 잔류는 주로 유럽 국가에서 보고되었다. 국 가별 잔류물질의 차이는 각국에서 사육되는 가축과 사육 관리 방식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소고기의 잔류 수준이 높은 것은 소는 다른 동물에 비해 질병 발생 시 개체별로 치료되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 결과는 수입 축산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국가별, 축산물별로 중점 적으로 검사가 필요한 물질을 제시함으로써 매년 실시하 는 수입 축산물 잔류물질검사를 보다 과학적이고 효율적 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였다.
        4,000원
        2.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deals with replacement analysis of deteriorated equipment for improving productivity of production system. Frequent breakdown of the deteriorated equipment causes a situation that reduces productivity such as low product quality, process delay, and repair cost. However, the replacement of new equipment will be required a high initial investment cost, so it is important to analysis the economic feasibility. Therefore, we analyze the effect of the production system due to the aging effect of the equipment and the feasibility of equipment replacement based on the economic analysis. The process flow, working time, logistics movement, etc. are analyzed in order to build the simulation modeling for a ship and land switchboard production system. Using numerical examples, the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of equipment replacement through replacement of existing deteriorated equipment and additional arrangement of new facilities is performed.
        4,000원
        3.
        200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Human saliva contains a large number of proteins and peptides whose composition may alter as a consequence 。f disease. To date. however‘ the proteins and peptides that routinely populate thi s ora l fluid a re largely unknown To provide a catalogue of saliva proteins, we have surveyed the unstimulated human whole saliva by us ing shotgun proteornics. For the shotgun approach, whole saliva proteins were digested into peptides with ChemDigestD ‘ and the resul ting peptide fragments were separated by RP-HPLC, followed by each fraction was t ryptic digestion. ChemDigestD-Trypsin digested peptides were analyzed by tandem mass spectrometry(MS/MS) us ing a nano-LC eq 버 pped quadrupole-time of f1ight mass spectrometer, and the obtained spectra were searched against human protein seq uence data base using MASCOT. Shotgun proteomics allowed a total of 291 human pr。 teins to be confidently assigned . The largest group(17 .2%) of the identified proteins sorted into functional catego ries was included in t he signal t ransduction funct ion except for the hypothetical 0 1' unknown function. This work provides a valuable s ta rting point for the analysis of human salivary proteins and their biological functions and candidates from human whole sali va that may prove to be of diagnostic and therapeutic significance
        4.
        200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human ELAV(embryonic lethal abnormal vision)-like protein HuR stabilizes a certain group of cellular mRNAs that contain AU- ri ch elements in theil‘ 3’• untranslated region, Dysregulation of mRNA s tability may be relevant in tumor biology and may lead to abnormal expression of several proteins in malignant tumor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tially expressed proteins according to the functi onal activi ty of HuR Methods : We used stabl e expression of small interfering RNA(siRNA) of HuR gene to inhibit the expression of HuR in human ora l car cinoma cell lines‘ KB cell line and YD10B cell line‘ and compared the proteomic changes between s iRNA-treated and cont rol cell line using two-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 Flow cytometry caliber scan(FACS) wa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uR on cell apoptosis and proliferation , Results: Seventeen differentially expressed proteins between the two cell lines were identified by electrospray ioruzati on quadrupole time-of- fl ight mass spectrometry(ESI-Q-TOF MS) and database searching, Among them there are eleven proteins which are significant ly up- regulated in siRNA- treated cell line, which include heat shock protein 10(influencing nucl eocytoplas rnic transpo 다, cell dedifferentiation , and inhibition of apoptosis) , keratin 19(basal cell differ ent iat ion) ‘ and nucleoside diphosphate kinase B(G protein activator), etc Enolase 1 and Ml of pyruvate kinase a re the representatives of signifi cantly down-regulated proteins in siRNA-treated cell 11l1e Conclusion : Our data suggest that HuR participate in mRNAs stability of proteins that have the counter effects in the carcinogenesis of oral ca ncer , And the functiona l proteomics a re needed to elucidate the detailed interactions between HuR and t hese molec ules
        5.
        2014.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there are increasing numbers of people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Accordingly, the rate of sports injuries is increasing as well. In this ligh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xtent of acute damage and its forms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e of patients with sports injuries. This research study was conducted between January of 2008 and December of 2010 in Chosun University Hospital through retrospective review of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sportsrelated injuries.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with sports injuries who visited the emergency center was 887. The number of male patients was 726 (81.85%), far more than the number of female patients (18.15%). More than half of the patients, accounting for 419 (47.23%), had injuries on their face; second and common parts, in which injuries occurred, were upper and lower body, accounting for 146 (16.45%) and 193 (21.75%), respectively. The majority of patients did not undergo surgical treatment. Only 113 (12.73%) patients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In addition, more than 80% of them were not hospitalized but 170 of them needed to be hospitalized. Most sports injuries occurred in young male patients. This can interrupt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for a long time and result in lower quality of life. Hence proper preventative measures and scientific treatment methods are needed.
        7.
        2009.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핵연료 운반용 실린더의 재사용을 위한 용기세척공장의 제염공정에 대한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Na2CO3 + H2O2 혼합용액의 조합을 약간 달리한 2회의 시험을 실행하였다. 각 시험은 모두 일련의 5 단계에 걸쳐 실시되었다. 우라늄 제염의 주 화학종은 Na4UO2(CO3)3 로 식별되었다. 그리고 첫 단계에서의 세척액은 물이었으며, 이 단계에서 50% 이상의 우라늄이 제염되었다. 그 이후로는 단계가 더해 갈수록 우라늄의 제염양은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화학양론적으로 제거된 우라늄에 비하여 투여된 Na2CO3 의 양은 과다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에 의하면, 공정최적화를 통하여 Na2CO3 의 투여량 감축, 세척폐액의 감량, 제염단계 축소 등을 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1.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연물로부터 새로운 미백 화장품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참나물(P. brachycarpa)을 선택하여 B16 멜라노마 세포에서 tyrosinase 활성 저해 효과, melanin 생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먼저 참나물추출물의 4가지 극성별 용매 분획화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항산화효과와 티로시나아제 저해효과를 측정하였다. 참나물의 미백 활성 메카니즘을 알아보기 위해 Western blotting과 RT-PCR을 이용하여 tyrosinase, TRP-1, TRP-2의 단백질 발현과 mRNA 변화를 연구하였다. 또한, HaCaT 각질형성세포에서 UVB 조사 후 엔도세린-1 (ET-1)의 발현은 사람 ET-1 항체를 이용하여 quantitative enzyme immunoassay (EIA)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참나물추출물과 4가지 분획(hexane, EtOAc, butanol and aqueous)은 100 g/mL 농도에서 각각 87.2, 2.5, 97.2, 80.5, 49.8 %의 프리라디칼 소거효과를 나타내었으며, tyrosinase 저해효과는 100 g/mL 농도에서 각각 18.3, 15.1, 55.4, 13.1, 0 %로 나타났다. 각 극성별 분획 중 EtOAc 분획 100 g/mL 농도에서 58 % 이상의 가장 우수한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가 나타났다. 참나물 EtOAc 분획은 B16 멜라노마 세포에서 티로시나아제 활성 및 발현을 모두 저해하였으며, RT-PCR 결과에서도 tyrosinase, TRP-1의 mRNA 발현 저해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HaCaT 각질형성세포에서 UVB 조사 후 생성된 엔도세린-1의 생성 실험에서도 참나물 EtOAc 분획 12.5 ∼ 50 g/mL 농도에서 엔도세린-1의 생성이 컨트롤에 비해 40 % 정도로 우수하게 저해되었다. 결론적으로 참나물추출물은 멜라닌 합성과정에서 우수한 tyrosinase 저해효과와 엔도세린-1 발현저해효과를 가지는 새로운 천연 미백 소재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