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

        21.
        201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동차 부품기업들은 플랫폼 기반 대량맞춤형 제품개발과 생산을 통해 비용 절감과 아시아 신흥시장 수주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신흥시장은 수주량이 적고, 변동성이 높아 목표 달성이 어렵다. 본 연구는 부품기업 관점에서 신흥시장의 수주량 변동성 위험을 적정 수준으로 관리하면서, 영업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제품 포트폴리오 최적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 제품 포트폴리오 최적화 접근법과의 차별점은 세가지다. 첫째, 플랫폼 기반 대량맞춤형 생산에 의한 비용 절감효과를 반영한다. 둘째, 수주량 변동성을 고려한다. 셋째, 최소 영업이익률 유지라는 강건성 조건을 반영한다. 실무적으로는 신흥시장 개척의 재무 위험을 최소한도로 유지하면서, 점진적으로 시장점유율을 높여가는 동적 제품개발 전략 수립의 토대를 제공한다. 북미, 유럽, 아시아 18개 업체에 납품하는 다국적 부품제조기업의 파워리프트게이트 제품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수행했다.
        6,700원
        22.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tream of afterglow of an atmospheric pressure plasma can conveniently be used for large scale decontamination operations. In the present study, an afterglow dielectric-barrier discharge air plasma (ADDAP) was used to inactivate Escherichia coli O157:H7 as a model microorganism for studying the plasma inactivation effect. The plasma was generated at current levels in the range of 0.4 - 0.8 A. The power consumption of ADDAP generation system ranged 169.5 - 221.9 W with respect to the current intensity range. At this current level, the temperature observed in the treatment chamber remained less than 30℃. Regarding chemical composition of ADDAP in the treatment chamber, NOx species were predominantly generated. The levels of NOx species increased as the current intensity increases and the maximum NO and NO2, concentrations noted were 6 and 4 ppm, respectively, but that of CO was less than 1 ppm level at 0.8 A. Upon treating with the ADDAP generated at 0.4 - 0.8 A for 180 min, E. coli O157:H7 showed 1.24 – 2.71 log reductions. The inactivation patterns exhibited better fit to Weibull-tail model. The comparison of delta values indicated that superior inactivation effects were observed as the current intensity increased.
        23.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esidual detergents and surfactants on utensils have brought about health issues because they can be absorbed to human digestion system together with containing foods. In the present study, a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DBDP) was used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non-thermal plasma for the degradation of residual surfactants and dishwashing detergents in order to reduce the intake of the residues remaining on utensils as the result of incomplete rinsing during dishwashing procedures. DBDP was generated at current intensity 2.0 - 3.0 A, and electrode gap 2.5 mm. Diluted dishwashing detergents and surfactants were spotted on slide glasses and exposed to DBDP for different periods of tim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ishwashing detergents and surfactants were degraded by 46.9 - 84.3% after up to 120 min treatments. Weibull equation was the best fit model to the degradation patterns of surfactants, and the decimal degradation time(δ) of 180.2 - 688.9 min were observed according to currents. Surfactants contained in detergents were degraded more effectively than the surfactants themselves. Among the anion surfactants, DDBS was more rapidly degraded than LAS and ABS.
        24.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urry ingredients such as turmeric, coriander, cumin, fennel, fenugreek often contain microbial contaminants. Our preliminary analysis showed that microbial contamination in fenugreek was relatively higher than other ingredients, and therefore the decontamination using a non-thermal plasma was performed to enhance its microbial quality. Corona discharge plasma jet (CDPJ) was used for the decontamination of fenugreek seeds. The results showed that aerobic bacteria were decreased by 0.88 - 2.51 log units, and yeast and mold exhibited the reduction of 0.58-1.95 log units with the treatment for 20 min. For the microbial inactivation pattern, the Weibull model gave the best distribution fit among the models tried. The decontamination effect of the CDPJ was enhanced with the decrease of the distance from the plasma electrode, and with the increase of the current intensity. The effect of the plasma treatment on antioxidant capacity of fenugreek seed was also investigated, and the obtained results indicated that total phenolic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were unaffected by the treatment at a current intensity of 1.00 A regardless the treatment distance from the electrode, whereas significant increases were observed with the treatment at 1.25 A and 1.50 A currents.
        25.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non-thermal plasma, corona discharge plasma jet (CDPJ) against foodborne disease bacteria (Escherichia coli O157:H7 ATCC 43894, Salmonella typhimurium ATCC 13311,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were determined, and the inactivation patterns were modeled using GinaFiT software in Microsoft Excel. Among inactivation models studied, Weibull-tail model was chosen as the best fit model based on SSE, RMSE, and r 2 values. The initial decimal reduction times (δ) of E. coli O157:H7, S. aureus, and Sal. typhimurium were 6.36, 8.31, and 12.11 s respectively. The inactivation effect increased with the current strength and was highest at span length of 25 mm. After 120 s treatment of the CDPJ at 1.50 A with span length of 25 mm, E. coli O157:H7 was reduced by 5.26 log, S. aureus by 4.21 log, Sal. typhimurium by 2.89 log.
        26.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코로나방전플라즈마제트(CDPJ) 생성장치를 제작하여 조업특성을 조사하고 비가열살균기술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고자 E. coli를 대상으로 살균성능을 조사하였다. CDPJ장치는 전력공급장치, 변압기, 전극, 송풍기, 시료처리부 등 다섯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전압 10.0-20.0 kV의 직류전기를 10.0-45.0 kHz 구형파 펄스형태로 텅스텐리드 전극에 투입함으로써 코로나방전 플라즈마를 생성하고 동시에 전극사이로 강한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하부방향으로 토출하는 플라즈마제트를 생성하였다. CDPJ 처리는 플라즈마 토출구 하부에 처리대상 물체를 위치하고 일정시간 처리하는 방식으로 시행하였다. 주파수를 높일수록 다량의 전류가 유입되었고, 비례하여 전력소비량도 증가하였다. 플라즈마 생성을 위한 임계전류는 1.0 A, 임계주파수는 32.5 kHz이었으며, 1.5 A 이상 40.0 kHz 이상에서 안정적인 플라즈마제트가 생성되었다. 플라즈마제트의 길이는 전류에 따라 증가하였고, 2분 이하 처리 시 대상물체의 표면온도 상승은 25oC를 하회하였다. E. coli 살균력은 전류세기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전류 1.5 A에서 1분간 CDPJ처리에 의해 4.5 log 이상의 살균효과를 보였으며, 살균패턴은 2단계 1차 반응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27.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반가정과 음식점 등 영업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합리적인 식기세척 방법을 도출하기 위하여 점착성 식품인 쌀밥, 고추장, 치즈 및 립스틱을 대상으로 식기 재질, 세척 전 방치시간, 세척도구, 식기류세척제 종류 및 농도, 침지 온도 및 시간 등 세척변수가 세척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쌀밥, 고추장, 치즈 등 식품오물은 식기 재질에 따라 세척효율에 차이가 있었으나, 립스틱의 경우는 식기 재질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고추장오물은 스테인리스스틸수세미가, 치즈와 립스틱 오물은 아크릴사수세미의 세척력이 우수하였으나 쌀밥오물의 경우는 세척도구별 차이가 없었다. 치즈오물의 경우에는 다목적수세미의 세척력이 다른 세척도구에 비해 유의하게 열악하였다. 쌀밥과 치즈 오물 세척 시에는 식기류세척제 종류에 따른 세척력 차이가 없었으나 고추장과 립스틱 오물 제거에는 제 2종 식기류세척제가 제 1종 식기류세척제보다 효과적이었다. 오물 제거를 위한 최적 세척제 농도는 쌀밥과 고추장은 0.1%, 치즈는 1%, 립스틱은 0.5%로 확인되었다. 립스틱오물을 제외하고 세척 전 수침은 세척효율을 크게 향상시켰으며, 특히 온수를 사용할 경우 효과가 상승되었다.
        4,000원
        28.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올바른 식기류세척제 사용법과 일반가정에서 사용하는 전형적인 식기류 세척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립하고자 수도권의 일반가정을 대상으로 사용 식기류, 세척제 사용실태 및 세척방법을 설문조사하였다. 식생활에서 사용하는 식기류는 자기와 유리 등 위생적 자재의 식기류를 주로 사용하였다. 식기류세척제 선택은 세척력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였고, 제 1종 세척제를 주로 사용하였다. 세척제 사용방식은 물에 희석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과반을 넘어 제조업체에서 제시한 사용방법을 대체로 준수하고 있었으며, 세척도구는 다목적수세미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세척 후 헹굼은 흐르는 물을 사용하는 유수헹굼이 주류를 이루었으며, 헹굼 완료는 미끄럼 제거 여부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하였다. 헹굼 후 대상물체의 건조는 대부분 물빠짐대 위에서 자연건조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일반가정에서 사용하는 전형적인 식기류 세척방법을 도출하였다.
        3,000원
        29.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품의 열에 의한 손상을 줄이고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비열살균기술로 유전체장벽방전 플라즈마(DBDP) 이용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E. coli에 대한 살균효과를 전류세기와 전극간격을 달리하여 조사하였다. DBDP 살균효과는 초기에는 크게 나타나다가 이후 감소하는 2 구간으로 구성된 1차 반응으로 나타났고, 전류세기에 따라 살균효과가 증가하였다. 전극간격에 따른 살균력은 2.65 mm에서 가장 높았으며, 3.33 mm, 1.85 mm 순으로 감소하였다. DBDP 살균패턴은 Singh-Heldman 모델에 적합하였으며, 시료를 고정하고 DBDP를 처리한 경우 곡선형상계수(n)는 0.545-0.783 범위의 값을, D'-value는 0.565-3.268min의 값을 보였다. 최소 D'-value는 전극간격 2.65mm, 전류 1.25 A에서 나타나 가장 우수한 살균력을 보이는 조건으로 확인되었다. DBDP 처리 시 시료를 이동시키면 고정하여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살균효과는 크게 향상되었으며, 양방향 이동식 처리가 단일방향 이동식 처리에 비하여 양호한 살균력을 보였다.
        4,000원
        30.
        201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비열살균기술로서 저온플라즈마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유전체장벽 방전 플라즈마(DBDP)생성장치를 제작하여 최적 플라즈마생성 조건을 도출하고 Staphylococcus aureus를 대상으로 살균성능을 조사하였다. DBDP생성장치는 전력공급장치, 변압기, 전극, 시료처리부 등 네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인가전압은 단상 200 V AC를 사용하고, 변압기를 통하여 10.0-50.0 kV로 변환하고 10.0-50.0 kHz의 주파수의 펄스 구형파를 유전체인 세라믹 블록 내에 장치한 전극에 투입함으로써 상압에서 플라즈마를 생성하였다. 주파수를 올림에 따라 높은 전류가 유입되었고, 이에 비례하여 전력소비량이 증가하였다. 전류세기 1.0-2.0 A, 주파수 32.0-35.3 kHz 범위에서 균일하고 안정적인 플라즈마 발생이 이루어졌으며 시료를 투입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최적 전극간격은 1.85 mm 이었다. 전극간격을 높임에 따라 소비 전력이 증가하였으나 시료 처리에 적합한 전극간격은 2.65 mm였다. DBDP 처리에 의한 온도상승은 최대 20oC에 불과하여 열에 의한 생물학적 효과는 무시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비열기술임이 확인되었다. Staphylococcus aureus를 대상으로 DBDP 처리할 경우 초기 5분 동안은 살균치가 직선적인 증가를 보이다가 이후 다소 완만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1.25 A에서 10분간 처리 시 살균치는 5.0을 상회하였다.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