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

        7.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후변화, 외래병해충발생, 밀원수 감소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우리 나라의 양봉농가는 벌꿀생산량 및 농가소득이 감소하는 추세이다. 또한 밀원이 없는 시기에 가축용 사료가 아닌 고가의 식용설탕을 꿀벌의 인공사료로 급여하고 있어 농가는 ‘생산비 상승’과 ‘밀원수 부족’을 국내양봉업이 직면한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다. 이에 따른 양봉농가의 생산비를 절감하고 꿀벌의 생리·생태의 개선효과를 가지는 저가형 당액사료개발을 위해 농산부산물에서 추출한 천연당을 봉군에 적용시험을 추진하였다. 양파(OS-1, OS-2), 양배추(CS-1, CS-2), 바나나(Banana)부산물에서 추출한 천연당의 봉군당 평균먹이소모량(mL)은 설탕당액(대조구) 처리구와 비교시 바나나추출당액 급여구에서 5500.00±0.00, 5133.33±404.15로 유사하였다. 그러나 꿀벌의 봉세발달은 대조구에 비해 21006.7±2137, 17403.3±2257마리로 조사되어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수명조사 결과는 큰 차이가 없었다. 농산부산물을 이용한 천연당은 우선 꿀벌의 기호도 향상을 우선으로 개선시켜야 할 것으로 보인다.
        8.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농촌진흥청 개발 품종인 토종벌 신품종(질병저항성 우수계통)에 대해 전남지역에서의 형질특성(봉세발달, 마리당 수밀력, 청소력 등)을 조사하였다. 질병저항성 계통(RS)으로 육성된 토종벌의 유밀기 마리당 수밀력은 들어오는 일벌의 무게가 80.89±8.95mg, 나가는 일벌의 무게가 63.56±8.90mg으로 조사되었고, 비저항성계통(NRS)은 각각 83.22±1.39, 66.67±1.20mg으로 조사되어 RS에서 그 무게차가 0.7mg 더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Pin killed test에 의한 사충제거능력(청소력)은 제거하지 못한 유충잔존율이 RS에서 12시간과 24시간 경과시 14.00±10.39와 7.00±3.46으로, NRS에서는 20.33±14.29, 13.33±10.41%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RS와 NRS의 사충 비제거율이 24시간 경과하였을 때 4.67±2.08, 8.33±7.77%로 RS가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신규여왕벌 입식 후 봉군세력발달은 NRS에 비하여 RS의 일벌수, 번데기 및 유충수의 발달율이 안정적이고 다소 빠르게 증가하였다.
        10.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암반생물막의 군집구조와 생물량의 시, 공간적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파도에 대한 노출이 다른 고사포와 격포에 서 11월부터 2011년 9월까지 격월로 암반조각을 채집하였다. 군집구조는 채집된 암반조각을 칫솔로 긁어 광학현미경 하에서 미세조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를 계수하여 분석하였고, 생물량은 NDVI, VI, 엽록소 a 농도를 측정하여 확인하였 다. 고사포와 격포의 조간대 암반생물막에서 가장 우점하는 분류군은 Aphanotece spp., Lyngbya spp.를 포함하는 남조류 였으며, 환경스트레스가 적은 조간대 하부에서는 규조류의 출현율이 높게 나타났다. 암반생물막에서 우점하는 규조류는 Navicula spp., Achnanthes spp.와 Licmophora spp.로 확인되었다. 식생지수와 엽록소 a 농도는 격포에 비해 고사포 생물막에서 높게 나타났다. 식생지수인 NDVI와 VI는 고사포에서 각각 0.49-0.40(평균 0.43), 2.64-3.22(평균 2.90)였으 며, 격포의 암반생물막은 NDVI와 VI가 각각 0.32-0.41(평균 0.38), 2.03-2.86(평균 2.48)으로 확인되었다. 엽록소 a의 농도는 고사포에서 12.79-32.87 ㎍/㎠(평균 22.84 ㎍/㎠)였고, 격포에서는 11.14-18.25 ㎍/㎠(평균 15.48 ㎍/㎠)로 식생지수와 마찬가지로 1월(겨울)에 최대, 3월(봄)에 최소인 계절 변화를 보였다. 엽록소 a 농도는 NDVI, VI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비파괴적인 식생지수 측정방법이 파괴적인 엽록소 a 추출 방법을 대체할 수 있음을 알려준다. 결론적으 로 암반생물막은 여름보다 겨울에, 조간대 상부보다 중부와 하부에서, 파도에 보호된 해안보다 노출된 해안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4,500원
        11.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ven though plant protections using chemical pesticides have several advantages, non-specific toxicities to other beneficial insects and humans and rapid development of tolerance and/or resistance of target pests to chemicals are major disadvantages. Recent researches suggested that using double stranded RNA (dsRNA) could be species specific and environmental friendly pest management protocols. However, efficiency of dsRNA treatments are known to be variable according to its application methods. For example, injections of dsRNAs to pests were known to be effective in all species. However, efficiencies of oral application of dsRNAs were known to be dependent on species. Thus, development of tools that could enhance the efficacy of orally treated dsRNAs are utmost important for widening usages of dsRNAs in plant protection. Recently, we found that the efficacy of oral treated dsRNAs to target pests could be enhanced by nano-technologies. I will show how applying nano-technology to dsRNAs enhance the efficiency of dsRNAs. (This work was carried out with the support of the Cooperative Research Program for Agriculture Science &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title: Studies for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nd control methods against the migratory locust, Locusta migratoria, Project No: PJ01163004201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3.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uclear ribosomal DNA (rDNA) was analyzed to identify inter-specific genetic relationships among 8 Cymbidium species (Cymbidium insigne, C. ensifolium, C. marginatum, C. faberi, C. gyokuchin, C. kanran, C. forrestii, and C. goeringii). Nuclear rDNA including 2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s and 5.8S, was amplified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sequenced. The sequences were compared via pair-wise multiple alignment to determine the genetic relationships among the studied species. The lengths of the ITS1, ITS2, and 5.8S regions were 235 bp, from 255 bp to 257 bp, and from 153 bp to 165 bp, respectively. Sequence similarities in the ITS region ranged from 78.7% between C. gyokuchin and C. kanran to 96.8% between C. ensifolium and C. kanran. A phylogenetic tree was constructed from nuclear rDNA nucleotide sequence data of the 8 cymbidiums and 1 outgroup species to estimate genetic relationships. The tree revealed that cymbidiums could be classified by their ecological traits, such as their temperature preference or inflorescence pattern. The phylogenetic data is applicable for identification, classification, and breeding of cymbidiums.
        4,000원
        14.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reesia is one of the most popular flowers over the world including Korea, due to the fragrance and beauty of the plant flower. The first domestic freesia cultivar ‘Shiny Gold’ was developed by NIHHS, RDA, in 2003, which has yellow double and large petals and strong fragrance. Ten years have passed since ‘Shiny Gold’ was cultivated at floral farms, and the deterioration of cut flower quality and yield are reported from the farms. Virus infection causes a reduction i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cut freesia flowers and is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in Korea. Virus detection was carried by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 chain reaction (RT-PCR) for FreMV, FreSV, BYMV, CMV, and TRV, as known to infect freesia. FreMV, FreSV, BYMV, and TRV were detected single or multiply, and CMV was not found in the freesia leaves collected from the farms. To produce virus-free freesia, meristem culture of ‘Shiny Gold’ was conducted in MS medium added ribavirin at different concentration. As the increased of ribavirin concentration, the growth of ‘Shiny Gold’ plantlets was inhibited in freesia’Shiny Gold’. The plantlets produced by meristem culture in ‘Shiny Gold’ were virus free at th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