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2.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司饔院의 分院官窯는 조선 도자기 역사의 연구에서 가장 핵심적이 고도 근원적인 연구 주제이다. 분원 관요를 준거로 하여 시기구분을 비 롯한 도자 양식 연구 및 官職연구, 관요의 명칭 문제 등 여러 세부 주제를 이끌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조선 왕실의 정책의 단면을 파악하고 문화와 생활 등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선 분원 관요의 연구가 필수적이다. 주지하듯이 분원 관요는 朝鮮前期에 京畿道廣州일대에 설치되어 조선 말 민영화되기까지 조선 왕실과 궁궐 및 관청에 도자기를 납품한 막중한 임무를 수행했다. 따라서 국가의 정책이 곧 관요의 도자기 제작 과 양식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 관요를 중 심으로 왕실 및 궁궐자기가 대량생산되었고, 관요 백자 양식이 탄생했 으며, 도자기 제작 판도에도 변화가 일어 분청사기가 쇠퇴하고 백자가 성행했다. 그러므로 이 글의 목적은 분원의 개념과 명칭 및 설치시기에 대한 학 계의 공통된 견해를 수렴하여 통합된 학설을 세우려는 것이다. 따라서 196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의 분원 관요에 대한 학술적 성과, 즉 官窯 址의 발굴과 지표조사, 특별전, 학술대회 등의 주요 성과를 연대별로 정 리했다. 아울러 전문 연구자들의 논저를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검토한 시대는 조선 초부터 분원 관요가 설치되고 조선 말 민영화되기 전까지 다. 학술적 성과는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문화재연구소, 경기도박물관과 경기도자박물관(구 조선관요박물관),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해강도자 미술관을 주축으로 한 국공사립기관의 참여와 활약으로 축적되었다. 학 술 활동이 가장 왕성했던 시기는 1990년대와 2000년대였고 2010년대는 2015년 현재까지 다소 저조한 편이다. 광주 관요 출토의 중요한 도편은, ‘內用’명 백자편, ‘見樣’명 백자편, 기린문 청화백자편, 운룡문 청화백자편, ‘좌’ 또는 ‘우’명 백자, 각종 干支 및 숫자가 기명된 백자편, 중국 연호명 백자편, 각종 点刻銘백자편 등 이며, 이를 근거로 편년이나 도자 양식의 규명이 가능했다. 분원 관요의 개념과 명칭에 대해 학계의 주요 논저에서는, ‘司饔院이 세운 沙器製造場으로서 조선 전기부터 존재한 조선을 대표하는 최대의 관청수공업장’이라고 정의했다. 즉 분원은 사옹원이라는 관청이 세운 가 마이며, 이를 압축하면, 본원인 사옹원의 분원이다. 아울러 ‘광주 분원’, ‘광주 분원 관요’, ‘광주 沙器所’, ‘광주 燔造所’, ‘광주 磁器所’, ‘분원 번 조소’ 등이 조선시대의 명칭을 계승한 것이다. 조선시대의 관찬기록에 의하면, 번조소와 자기소는 주로 광주 분원 관요에 한하여 지칭한 명칭 이었다. 이에 반해 사기소는 전국적으로 분포한 가마를 지칭할 때 두루 사용된 명칭이었다. 또한 분원의 설치시기에 대해서는 필자가 1467년 4~12월이라는 연대를 발표하였다(본문 각주 16).
        9,500원
        3.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sex- and age-associated clinico-metabolic characteristics of urinary stone patients. A retrospective review was performed on data from 2,009 consecutive patients presenting with their first urinary stone episode between 2005 and 2013. Of the 2,009 patients, 1,426 (71.0%) satisfied the inclusion criteria and were enrolled in the study. Patients were grouped by age (<60, ≥60 years old) and sex. The medical history and 24 hr urinary chemistry results of each patient were obtained. The mean age of the 165 (11.6%) patients aged 60 or over was 65.5 ± 4.2 years. Body mass index was greater in elderly females than in younger females (p=0.031). After stratification by sex and age, lower urinary excretion of calcium and uric acid was a protective factor for both sexes among the elderly (p<0.05, each, respectively). Low urine pH was a common risk factor for both sexes among the elderly (p=0.013 in males, p=0.047 in females, respectively), whereas lower citrate excretion was a risk factor for only the elderly female group (p=0.004). With regard to urinary metabolic abnormalities, elderly females showed higher incidence of hypocitraturia compared to younger females (p=0.049).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e sex- and age-associated clinico-metabolic characteristics of urinary stone patients. Thus, it is important to tailor metabolic evaluation and medical prevention therapies for patient according to sex and gender characteristics.
        4,000원
        4.
        201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ostatic calculi are common finding in radiographic examination, however, the true incidence and the clinical significance are not clearly known.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prostatic calculi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static calcification and urolithiasis. From a database, 305 consecutive subjects older than 30 years of age who had undergone regular health checks in our hospital from January 2007 to July 2009 were enrolled in this study. Prostatic calculi and urinary stones were confirmed by non-enhanced CT.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prostatic calculi,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the relationship with urolithiasis was determined using statistical analysis. Among 305 male subjects, prostatic calculi were found in 97 (31.9%), which revealed a linear trend with aging (r=0.928, p=0.023), while asymptomatic upper urinary tract stones were found in 45 subjects (14.9%).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mean age (p<0.001), however,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DM), hypertension (HT), and body mass index (BMI). In the prostatic calculi group, 24 (24.7%) subjects had previously unknown urolithiasis, while only 21 subjects (10.1%) in the non-prostatic calculi group had urinary stones. The prevalence of urolithiasi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en with prostatic calcification than in those without prostatic calcification (OR=2.92, 95% CI: 1.53-5.58, p=0.001).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rum chemistry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Among the 45 patients with urolithias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mean stone size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prostatic calcification. Our data showed that prostatic calcification was prevalent up to approximately 31.9% and was frequently combined with upper urinary tract ston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valuation for urolithiasis might be needed in patients with incidentally detected prostatic calcification.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