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병원성 선충인 Heterorhabditis. megidis(큰형광병원선충)는 참나무 군락지(광주광역시 소재) 사양토에 서 분리 동정되었고, 곤충병원성을 가지는 공생세균은 Photorhabdus temperata로 분리 동정되어 각각 GJ1-2로 명명하였다. H. megidis GJ1-2는 고구마(주황미) 큰 검정풍뎅이 Holotrichia parallela에 대한 방제 효과는 평택시 (경기도 소재)와 논산시(충청북도 소재)의 노지 재배 사양토에서 관주처리 30일 후 각가 81.1%, 78.9%로 나타났 으며, 인삼(재래종) 거세미나방 Agrotis segetum에 대한 방제 효과는 이천시(경기도 소재)와 청주시(충청북도 소재)의 비가림 재배(차광막 설치) 사양토에서 관주처리 14일 후 방제가는 각각 79.9%, 80,2%로 나타났다. H. megidis GJ1-2는 고구마(주황미)와 인삼(재래종)에서 약제 처리 후 3, 7, 14일 후 외관상 약해는 나타나지 않았다.
곤충병원성 선충인 Heterorhabditis. megidis(큰형광병원선충)는 참나무 군락지(광주광역시 소재) 사양토에 서 분리 동정되었고, 곤충병원성을 가지는 공생세균은 Photorhabdus temperata로 분리 동정되어 각각 GJ1-2로 명명하였다. H. megidis GJ1-2는 고추(녹광), 애호박(농우), 오이(백다다기), 참외(금싸라기), 토마토(베타티니) 유묘기 경엽처리와 배추(씨알천하일품), 상추(진청맛), 완두(청진주), 수박(삼복꿀), 무(서호) 유묘기 관주처리 에서 21일차까지 기준량과 배량에 대하여 약해(약해 판정기준결과: 0)가 나타나지 않았다, H. megidis GJ1-2는 배추 파밤나방에 대한 방제 효과는 이천시(경기도 소재)와 수원시(경기도 소재)의 시설재배 포장에서 각각 경엽 처리 3일차 71.8%. 73.9%, 7일차 86.2%, 84.6%로 나타났으며, 옥수수 열대거세미나방에 대한 방제 효과는 제주시 (제주특별자치도 소재)의 노지(미사질 양토)에서 경엽처리 7일차 82.6%로 나타났다. 그리고 H. megidis GJ1-2는 랫드를 이용한 급성경구와 급성경피 독성시험 반수치사농도(LD50) 값은 2,000 mg/kg B.W 초과로 IV급(저독성) 으로 구분되었고, 토끼를 이용한 피부와 안점막에 자극성이 없는 것으로 구분되었다. 그리고 담수어류(송사리) 에 대한 급성독성시험 반수치사농도(LD50) 값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기초시험농도 100 mg/L를 초과하였다.
콩 재배지에서 콩씨스트선충(Heterodera glycines)과 반짝이씨스트선충(Heterodera sojae)의 지리적 분포에 관한 조사를 강원도와 충청북도 지역에서 수행하였다. 강원지역 10개시군, 67개 포장에서는 콩씨스트선충이 13개소, 반짝이콩씨스트선충이 5개소에서 검출되었고, 두 선충 혼 재하는 포장도 2곳이었다. 충북지역 9개 시군에서는 84개 조사 포장 중 27개소에서 콩씨스트선충이 검출되었고, 반짝이콩씨스트선충 4개소, 두 선충 혼재 발생지 5곳이었다. 강원, 충북 지역에서 콩씨스트선충류 검출 여부에 따라 발생하는 다른 식물기생성선충 속의 다양성과 우점도 지수 는 콩 재배지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콩씨스트선충과 토양 화학성 사이의 관계 분석에서는 결정계수가 낮게 나타났으며 콩씨스 트선충의 밀도가 높은 토양에서는 pH와 가용성 인산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씨스트선충이 검출된 토양의 토성은 사질토가 전체 샘플의 60%를 차지하였다. 점토와 미사의 함량이 높은 토양에서는 콩씨스트선충의 밀도가 낮은 경향을 보였고, 모래 함량이 높은 토양에서 밀도는 높게 나타났다.
Soybean cyst nematode, Heterodera glycines is one of the major plant parasitic nematodes in soybean. Recently, another soybean cyst nematode, H. sojae was recorded from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two soybean cyst nematodes in Gangwon-do and Chungcheongbuk-do, Korea. In Gangwon-do, H. glycines and H. sojae were detected in 12 and 5 of the 53 sites sampled, respectively, while in Chungcheongbuk-do, H. glycines was isolated from 14 of the 46 sites sampled. H. sojae was detected at only one site. Additionally, the two soybean cyst nematodes co-existed in 3 of the 46 sites.
The sugar beet cyst nematode (SBCN), Heterodera schachtii is a well known pathogen on Chinese cabbage in thehighland fields of Korea. However, recent reports have shown a coexistence of SBCN with the clover cyst nematode,H. trifolii in Korea. This study aimed at detailing and reviewing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conceivablyessential in differentiating the two nematode species. A comparison of morphometric measurements of both infective juvenilesand vulval cones of cys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yst nematodes. Indeed, using assorted cystsfrom field populations for molecular analysis resulted into a mixture of bands after gel electrophoresis, indicating a combinationof the two species. Thus, this study confirms the coexistence of the two species on Chinese cabbage fields in Korea.
Baswflow is defined as short term discharge through groundwater caused by rainfall events. Impacts of baseflow is significant on water quality especially where pervious agricultural watershed as groundwater is more vulnerable to the contamination. In this study, the Cheongmicheon watershed was subjected to study to assess the impacts of baseflow on surface water quality, where more than 90% of pollutant load is originated from the livestock raising area, and very high probability of surface water contamination due to the baseflow. To estimate nutrient loading cased by baseflow, NI (Numerical Integration) model and LOADEST (LOADing ESTimation) model were u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