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노인환자를 돌보는 요양병원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정서 적, 윤리적 요인이 간호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요양병원 간호사의 공감역량과 윤리적민감성, 환자중심간호, 간호업무수행 간의 구 조적 관계를 파악하고, 간호업무수행 향상을 위한 이론적, 실무적 기초자 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국내 요양병원간호사 230명 을 편의표집 하였으며, 연구결과로 모형 적합도는 χ²/df=165.517, CFI=.945, TLI=.928, RMSEA=.092로 양호하였으며, 공감역량은 윤리적민 감성(β=.478, p<.001)과 환자중심간호(β=.716, p <.001)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간호업무수행(β=.431, p <.001)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리적민감성은 간호업무수행(β=.188, p <.001)에, 환자 중심간호는 간호업무수행에 매개요인으로 작용하였다(β=.477, p <.001). 간호업무수행 향상과 환자중심간호를 실천하기 위한 간호인력 배치 기준 을 재정비하고, 다학제 팀의료 상호 협업 중심의 전인적인 돌봄 지원 체 계를 구축하는 것을 제시한다.
        8,300원
        2.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lostridium perfringens (C. perfringens) 와 Mycobacterium fortuitum (M. fortuitum)은 동물과 사람에서 심각한 질병과 관련이 있는 세균들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povidoneiodine을 주성분으로 하는 소독제의 살균효과를 C. perfringes와 M. fortuitum을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소독제의 살균효과는 배지희석법을 이용하여, 대상 세균들을 4℃에서 소독제에 30분 동안 노출시킨 다음, 가장 낮은 소독제의 살균 희석배수를 결정하였다. 소독제는 경수와 유기물로 희석하였으며, 경수 조건에서, C. perfringes와 M. fortuitum에 대해 효과적인 소독제 희석배수는 각각 50과 80배이었다. 유기물 조건에서는, C. perfringes와 M. fortuitum에 대해 효과적인 소독제 희석배수는 모두 15배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povidone-iodine을 주성분으로 하는 소독제는 C. perfringes와 M. fortuitum에 대해 살균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C. perfringes와 M. fortuitum에 의한 질병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
        2014.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carvacrol (CV)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O157:H7 (E. coli O157:H7) strains in milk.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and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s (MBCs) of CV against S. aureus and E. coli O157:H7 were determined. In addition, bactericidal kinetic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CV against the aforementioned pathogens in milk over a period of 2 weeks were investigated. CV exhibit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both foodborne pathogens tested. The MIC and MBC of CV against S. aureus were 15.0 and 20 mg/mL, respectively, whereas those against E. coli O157:H7 were 16.0 and 32 mg/mL, respectively. In time-kill assays, CV at MBC reduced the number of S. aureus and E. coli O157:H7 in milk to undetectable levels within 24 hr. The antibacterial effects of CV persisted for 14 days without any loss of activity.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V has a potential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foodborne pathogens such as S. aureus and E. coli O157:H7 in milk.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