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5

        201.
        199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청양재래와 유성 2호 2품종을 공시하여 원줄기를 10cm로 고정시키고, 구기순 채취길이를 20cm, 30cm, 40cm로 달리 하였을 때 구기자나무의 생육적 특성 및 구기순의 수량을 알아봄으로써 구기순 재배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한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성2호가 청양재래에 비해 구기순 수, 구기순당 엽수, 주당 총엽수, 수확횟수는 많았고 구기순의 굵기는 굵었으나 엽장, 엽폭은 작았다. 2. 청양재래의 구기순 채취횟수는 4.5회이었으나 유성2호는 5.5회로서 청양재래보다 1회 더 채취할 수 있었다. 3. 구기순의 건물중은 1.01~1.03g이었고, 줄기 : 엽비율은 46 : 54로 엽비율이 8% 높았다. 4. 구기순의 수량은 청양재래가 108~204kg/10a이고 유성 2호는 215~383kg/10a 이었으며, 유성 2호는 년차간의 수량 증감폭이 적어 재식 당년의 수량을 기대할 수 있었다. 5. 청양재래의 구기순 수를 제외한 공시품종의 각 생육형질은 수량과 고도의 정(正)의 상관적이었으며, 유성 2호의 구기순 수는 주당 총엽수를 제외한 각 생육형질 및 수량과 부(負)의 상관이 있었다.
        202.
        199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황(地黃) 재배시(栽培時) 종근(種根)의 굵기와 길이가 수양(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자, 종근(種根) 굵기는 3, 6, 9nm를 주구(主區)로, 종근(種根) 길이는 3, 6, 9cm를 세구(細區)로 하여, 목폭(睦幅) 100cm에 준간(峻間) 30cm, 주간(株間) 10cm(30주(株)/m2)로,10a당(當) 추비(推肥)는 2,000kg, N - P - K=12-12-16kg을 전양 기경(全量 基經)로 시용(施用)하고 4월(月)20일(日)에 파종(播種)하여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였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기(出現期)는 6mm종근(種根) 5월(月) 27일(日)에 비(比)하여 3mm종근(種根)은 8일(日), 9mm종근(種根)은 10일(日)이 각각(各各)늦었으며, 굵기 3mm, 길이 6cm종근(種根)을 제외(種根)하고는 길이가 길수록 빠른 경향(傾向)이 었다. 출현률(出現率)은 종근(種根) 굵기 간에(間)는 6mm〉3mm〉9mm의 순(順)으로 높았고, 추대률(抽臺率)은 9mm〉6mm〉3mm의 순(順)으로 종근(種根)이 굵을수록 높았다. 2. 엽장(葉長)은 종근(種根)의 굵기나 길이 간(間)에는큰차이가 없었으며, 엽폭(葉幅)도 같은경향(傾向)이었으나, 총엽수(總葉數)는 굵기3mm종근(種根) 29.9장(杖에) 비(比)하여 6mm는 1.1장(杖), 9mm는3.8장(校)가 각각(各各) 적었고, 생존(生存) 엽수(葉數)도 거의 같은 경향이 었다. 3. 식물체(植物體)의 무기성분(無機成分) 함양중(含量中) T- N, P2 O5, K2O, CaO, MgO등(等)은 조사시기(調査時期)가 늦을수록, 잎 보다는 뿌리에서 대체(大體)로 높은 경향(傾向)이었고, 당도계(糖度計)(AtagoBrix 0~32%)에 의한 당함양(糖含量)은 10월(月)보다 11월(月)에서 높았으며, 종근(種根) 굵기 간(間)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종근(種根)길이가 길수록 당함양(糖含量)은 떨어지는 구향(懼向)이었다. 4. 10a당(當) 수양(收量)은 종근(種根) 굵기 간(間)에는 3mm종근(種根) 1,169kg에 비(比)하여 6mm굵기에서는 9% 증수(增收)되었고, 9mm굵기는 28% 감수(減收)되었으며, 종근(種根) 길이 간(間)에는 길이 3cm 종근(種根) 1,172kg에 비(比)하여 길이 6cm는 5% 증수(增收)되었고, 길이 9cm는 25% 감수(減收)되었으므로, 중북부(中北部) 지방(地方)에서 지과(地誇) 재배시(栽培時) 적합(適合)한 종근(種根)은 굵기 6mm, 길이 6cm가 유리(有利)하였다.
        204.
        199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리의 식물체를 등열중기에 가축의 조사료로 급여하기에 적당한 총체형 보리 (barlet for whole crop forage)로 까락이 없고 생체중이 큰 초형이 필요한데, 망장, 동질유전자계(망장, 무망)를 선발하여 두 계통의 수량성 및 그 구성요소의 차이를 비료하고, 지엽 및 까락의 절제가 광합성능과 수량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v장 추파한 무망종의 간장, 수장, 1수입수, 엽면적, 광합성능 및 생체중이 장망종에 비해서 컸으나 수량성은 6%정도 적었다. 2. 지엽 또는 까락을 절제시, 천입중과 곡입중의 감소를 초래하였는데, 천입중과 곡입중은 지엽절제시 3~4%와 5~6%가 각각 감소되었고, 장망의 까락 절제시 천입중과 곡입중은 7%와 15%가 가각 감소되었다. 지엽 및 까락을 동시에 절제시는 14%와 21%가 감소되었다. 3. 지엽의 광합성능은 차엽신 및 제3엽신 보다 7~8%와 37~41%가 각각 높았다. 무망종의 엽위별 엽신의 평균 광합성능은 6.1~9.7 co2 2 umole m2 s1, 로 장망종 보다 매우 높았다. 4. 본 관험에서 공시된 무망종은 장망종에 비하여 엽신의 광합성능이 크고, 줄기 및 엽초의 생체중이 커서 총생체중이 무거워 총체형 사료(whole crop forage)이 초형으로 적당한 계통이라고 생각된다.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