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9

        201.
        199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in atheroscleorotic New Zealend white(NZW) rabbits. to evaluate th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Korean pinenut oil, on plasma total fatty acid composition. In study I, NZW rabbits were fed 10 weeks on a commercial chow diet supplemented with 5% of energy as fats(soybean oil or pinenut oil) or 10% of energy as fats(soybean oil or pinenut oil) with the addition of 1% cholesterol to the diet. Nineteen fatty acids ranged from myristic acid (14:0) to cervonic acid (22:6 Ω3) were identified in all the samples. The c5, c9, c12~18 : 3 acid was not reported in the fatty acid methyl ester profiles of each group because it was included in the linoleic acid peak. The major constitutent fatty acids in the chow diet group were linoleic acid, oleic acid, palmitic acid and α-linolenic acid. In the cholesterol group,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palmitic acid were the major fatty acids. In plasma of cholesterol-fed animals, the levels of 16:1 Ω 7 and 18:1 1 Ω 9 were increased. Linoleic acid was the major fatty acid in soybean oil/cholesterol and pinenut oil/cholesterol groups. Plasma linoleic acid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sed from 4 to 6% by the supplementation of 5% soybean or 5% pinenut oil in the cholesterol diet for 5 weeks, compared to cholesterol group. Plasma 16 : 1 Ω 7 levels in animals fed with 5 or 10% pinenut oil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ose fed cholesterol for 5 weeks. After 10 weeks on the soybean oil and pinenut oil die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In study II, the fatty acid composition was not affected by the types or levels of oils supplemented for 5 weeks. After 10 weeks on the oil diets 16:1 Ω 7 and 18:1 Ω 9 were decreased in 10% soybean in oil/cholesterol and 10% pinenut oil/cholesterol groups, compared to cholesterol group.
        4,000원
        203.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성페로몬 실험에 필수적인 조명나방의 인공사료와 대량사육 체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영양원으로서 효모, Wesson 염, 비타민 등의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그들을 사료에서 삭제 또는 첨가하였다. 또하 적절한 사육방법을 고안했으며 번데기의 암경화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알아 보았다. 효모의 첨가는 용무게와 용화율을 높여 주었으나 Wesson염의 첨가는 암컷 용의 무게를 감소시켰다. 효모의 대용으로 사용된 비타민은 어린 유충의 생존율을 높여 주었으나 용무게에서는 효모첨가사료의 경우 보다 가벼웠다. 용화장소로서 골판지는 매우 좋은 결과를 보였고, 용의 암경화율은 유충의 발육속도가 빠를수록 높았다.
        4,300원
        204.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컴퓨터와 자동감지장치를 이용하여 먹바퀴 성충 암컷의 행동을 사육상에서 10~15일간 연속 관찰하였다. 대체적으로 12L~12D의 광조건하에서 각 미소서식처에서의 출현율과 활동성에는 개체의 변이가 컸고 일주기성이 낮게 나타났다. 먹이, 물 타개체가 공급되었을 경우 휴식처, 타개체, 먹이 및 물이 있는 것에서 각각 하루 평균 20.42, 11.50, 6.31, 2.66% 출현했다. 먹이, 물 타개체를 공급하지 않았을 경우 휴식처에서 하루중 20.29% 출현하였다. 출현 시간당 방문 횟수는 다른 미소서식처에서보다 먹이 먹는 곳과 물 마시는 곳에서 많았고 먹바퀴의 활동성은 먹이, 물, 타개체를 공급했을 때가 공급하지 않았을 때 보다 높았다. 미소서식처 출현에 대한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결과 각 개체들의 출현 양상은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Q모드), 각 시간대는 명, 암기로 유형화 되어 나타났다(R모드). 먹이, 물, 타개체 공급시 휴식처에서의 출현이 먹이를 먹는 곳과 물을 마시는 곳에서의 출현보다 명, 암기의 유형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각 미소서식처에서의 출현율과 활동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PCA한 결과 먹바퀴의 활동은 먹이 및 타개체가 있는 것의 출현율과 관련 되었다.
        5,200원
        209.
        199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멧누에는 실내에서의 대량사육이 곤란한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부화에서부터 100%가까운 다습상태와 전후의 고온사육조건에서 간단히 사육할 수 있었다. 실내사육결과 전령경과일수는 15~25일의 범위이며 대부분의 유충은 17일 전후이었다. 용화비율은 약40%이며 용기간은 암수모두 13~25일 사이였다. 또한 암수모두 2개의 우화최고점을 가지며 수컷이 암컷에 비해 2~3일정도 빨리 우화하였다.
        3,000원
        210.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age-related changes in body composition and cell mediated immunity.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stock diet ad libitum and 12 rats were sacrified at 1, 4, 6, 12 months of age. Body weight increased sharply from 1 to 4 months, and increased steadily thereafter. The weights of liver, epididymal fat pads, and kidney increased in similar pattern as body weight, but their relative ratio to body weight decreased with age. The ratio of epididymal fat pads to body weight increased with age. The weight of extensor digitorium longus, soleus and plantaris increased from 1 to 4 months, but it decreased at 6, 12 months. The protein content of muscles decreased or increased throughout 12 months. The T cell proliferation response to Con A stimul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at 6 months than 1 momth and lower at 12 months than 6 months.
        4,000원
        211.
        199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들깨잎말명나방의 실내누대사육을 위해 누에 인공사료를 기본으로 하여 들깻잎분말을 30, 40, 50% 함유한 3종의 평판형사과(구, 구, 구)를 공시, 기주식물인 들깻잎으로 사육한 PL구를 대조로 비교사육시험한 결과, 인공사료육구가 생엽육구에 비해 번데기 및 성충수율이 높았으며 또한 번데기무게도 무거웠다. 특히 들깻잎분말 40%를 함유한 사료구의 사육성적이 비교적 우수하여 이에 의한 실내누대사육체계를 확립하였다.
        3,000원
        212.
        199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공사료에 의한 실내사육에서 부활율은 97.9%, 3령까지의 생존율은 83.3%였다. 3령유충에서의 용활율은 톱밥을 이용한 집단사육에서 82.5%, 개체사육에서 48.5%, 집단사육에서 37.5%로서 톱밥을 이용한 집단사육에서 가장 높았다. 유화율은 톱밥을 이용한 집단사육에서 90.9%, 개체사육에서 85.2%, 집단사육에서 86.7%로 거의 비슷하였다. 톱밥을 이용한 집단 사육법은 개체사육법에 비하여 사육방법이 용이하고 인공사료의 양을 줄일 수 있다.
        3,000원
        214.
        198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삼, 들깨 기름, 칼슘 및 마그네슘이 함유되어 있는 식이로 사육한 토끼의 혈장 콜레스테롤과 HMG-CoA reductase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간에 포함되어 있는 HMG-CoA reductase의 활성은 인삼과 들깨 기름 및 마그네슘 첨가 식이군에 있어서 증가되었으며 혈장 콜레스테롤의 농도는 감소되었다. 혈장 LDL-콜레스테롤은 대조군보다 감소하였으나 HDL-콜레스테롤은 증가되었다. 또한 베타 글로블린의 분포도 인삼과 마그네슘 및 들깨 기름을 첨가 급여한 실험군에 있어서 가장 낮았으며, α-2-글로블린은 대조군에 비하여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전해질은 K+은 인삼 첨가로 감소 되었으나 Na+은 증가되었다. 혈장 마그네슘의 농도는 인삼의 첨가로 변화가 없었지만 칼슘과 들깨 기름 및 인삼 첨가식이로 마그네슘의 농도가 더 증가되었다. 혈장 칼슘의 농도는 마그네슘과 인삼을 첨가한 식이군에 있어서 감소하였다.
        4,000원
        219.
        197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쇠파리의 누대 실내사육을 위한 온도는 약 가 좋으며, 이때 유충기간은 약 6.8일, 용기간은 5.3일, 산란전기간은 10.4일, 성충의 수명은 약 30일이었다. 2) 인공사육에 있어서 용화율은 우화율은 였으며 성비는 1 : 1이었다. 3) 용의 체중량은 약 14.5mg이었으며, Wheat bran medium 보다 Standard medium이 사육성적이 좋았다. 4) medium 125gr에 대한 난의 접종수는 약 310개가 가장 적합하였다. 5) rectangular cage를 사용할 경우, 성충의 resting place는 가 적합할 것으로 본다.
        4,000원
        220.
        197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화명충의 인공사육을 위해 간이합성배지, 반합성배지, 합성배지 및 수도유묘에 의한 사육실험과 각 배지별 사육단가 산출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반합성배지에 의한 인공사육 결과 노숙유충의 체중 96.4mg, 자충우화율 로서 타배지에 비하여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이 배지는 성충까지의 사육비용이 3.14원으로 대량 사육시에는 많은 비용이 든다. 2). 합성배지 및 반합성배지의 제 2세대 산란 및 부화율이 타 배지에 비해 높은 것은 Choline Chloride의 영향을 받은 것 같다. 3) 수도유묘에 의한 사육방법은 재료 구입이 용이 하고 가격이 저렴한 반면에 유충생육의 불균일 및 유묘 교환시 공시충의 손실과 노력이 많이 들어 대량사육을 위해서는 적합치 못하다. 4) 간이합성배지 중 Chlorella를 첨가시킨 실험구에서 노숙유충의 체중 및 용화율의 증가를 볼 수 있었다. 5) 간이합성배지에서의 생육결과 제2세대 산란 및 부화율이 낮은 것은 배if의 영양 결핍에 기인된 것 같다. 6) 각 배지 공히 용화율이 현저하게 낮은 원인은 용화시에 노숙유충이 병원균의 감염으로 오염사 되기 때문이다.
        3,000원
        11 12 1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