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3

        201.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polygus xanthomelas Yasunaga and Yasunaga 2000 is reported from Korea for the first time. It is larger than other congeneric species from Korea and has characteristic V-shaped pale parts on hemelytra surrounded by entirely black clavus and posterior triangular marks of corium. It is similar in overall appearance to the Chinese congeneric species, A. ornatus (Zheng and Wang 1983), but it can be distinguished by the vesica, which has a long needle-shaped spicule reaching the apex of median sclerite and ventral sclerite, a slender and weak wing-shaped sclerite and a small sublateral sclerite. This species also distributes in Japan, but the Japanese population is a little different from that of Korea in usually having a pair of dark spots on calli. In this study, the detailed information is given with some photos of the male and female genitalia.
        203.
        200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welve species of the genus Yponomeuta Latreille belonging to the family Yponomeutidae in Korea are recognized. Among them, four species, Yponomeuta kanaiellus Matsumura, Y. montanatus Moriuti, Y. sociatus Moriuti, and Y. yanagawanus Matsumura,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Adults and genitalia of newly recorded species are illustrated. General biology with host plant records is reviewed for each species. A key to all known species in Korea, based on the external characters, is provided.
        4,200원
        204.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도의 감귤, 육계나무, 홍가시나무에서 현재까지 국내에 알려지지 않았던 진딧물 Sinomegoura citircola(van der Goot, 1917)가 확인되었다. 무시형 산자충 및 유시형 산자충의 외부형태에 대해 도면과 함께 기술하고, 분포지역 및 기주식물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유시형과 무시형의 중간형을 띄는 개체에 대해 처음으로 보고한다. Sinomgeoura 속은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기록되는 속이다.
        4,000원
        205.
        200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uscaphis stroyani (Smith, 1980) and Muscaphis escherichi (Borner, 1939) were collected from Mt. Baekdu-san, North Korea. Fundatrix and alate emmigrant female of the Korean specimens are described. Host plants and brief biology of each species are discussed and the biometric data for fundatrix and alate emmigrant female are given. A key to species for fundatrix and alate emmigrant female is also presented
        4,000원
        206.
        200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orithyatira kawamurae (Matusumura) (Thyatiridae, Lepidotpera) is reported for the first from Korea. Adults of H. kawamurae and its closely allied species, Thyatira batis (Linnaeus), are examined for comparison and redescription of H. kawamurae with the female genitalia is provided.
        3,000원
        207.
        200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genus Arrhenophagus Aurivillius comprising one species, A. chionaspidis Aurivillius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3,000원
        208.
        2001.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mmittee has, for the 9th consecutive year, compiled statistics of embryos collected and transferred worldwide. Geographically, all regions have participated in the survey; however, there are still some places where it has been impossible to retrieve such data (particularly in Asia). The statistics, therefore, are partially underestimated. By contrast, in other areas, the system has proven to be more efficient than before, particularly in North and South America. This has resulted in the present report, which gives a somewhat more satisfactory picture of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ET industry. For the second year, it has also been possible to collect data for several species other than cattle. In cattle, the number of in vivo-derived embryos collected and transferred has once again increased with more than half a million embryos trans-ferred in 1999(520,712), a new record. The number of bovine in vitro-produced embryos has remained stable this year as compared with the previous year(approximately 30,000 embryos transferred). However, there are still teams that have not Yet reported their data. More than 10,000 embryos in each of the ovine and caprine species and close to 2,000 cervid embryos were reported transferred in 1999. Some 500 embryos of the equine species and a few thousand in the porcine and rabbit species have also been transferred in 1999. It is concluded that the ET industry continues to be very active, and, in many species, it encompasses a larger segment of the livestock population overall, which is to the farmer s benefit.
        4,000원
        209.
        200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Korean species of the genus Ypsolopha Latreille are reviewed. A total of 10 species is recognzed. mong them, three species, Y. cristatus Moriuti, Y. japonicus Moriuti, and Y. parenthesellus(Linnaeus) are record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Collecting data and biological informations for the species are given,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and genital structures for he newly known species are redescribed and illustrated.
        4,000원
        211.
        2001.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loptilia schisandrae Kumata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with redescription of adult and illustration of the genitalia of both sexes. Larvae of the species caused damages on young plants of Schisandra chinensis(Turcz.).
        3,000원
        212.
        2001.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충나방과(나비목)에 속하는 들명나방아과의 4종, Agrotera posticalis Wileman, Udea stigmatalis (Wileman), Diathraustodes amoenialis(Christoph), Pygospila tyres(Cramer)을 우리 나라에서 처음으로 보고하며, 이중에서 Diathraustodes속과 Pygospila속은 우리나라에서 처음 기록한다. 이들의 분류학적 특징을 간략히 재기재하고, 채집된 성충 및 암.수 생식기를 도해하였다. 특히 Udea stigmatalis는 생식기의 특징을 최초로 기재하며 도해하였다.
        4,000원
        213.
        200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wo species of the genus Hendecaneura Walsingham in Korea, H. cervina Walsingham and H. apicipicta Walshingham, are reviewed. The latter is newly added to the moth fauna of Korae. Styrax obassia Sieb. et Zucc. is first recorded as the host plant of H. apicipicta. The adults and genitalia are illustrated.
        4,000원
        214.
        2000.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잎말이나방과에 속하는 무늬 잎말이나방족의 3종 <Ac1eris paradiseana Walsingham 산마가목잎말이나 방(신청), Ac1eris caerulescens (Walsingham) 굴피나무잎말이나방(신칭), Trophocosta cyanoxantha (Meyrick) 꼬마점무늬잎말이나방(신칭)>을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보고하며, 이들의 분류학적 특징을 간략히 재기재하고, 채집된 성충 및 암.수 생식기를 도해하였다. 이 중 Trophocosta속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기록되는 속이다.
        4,000원
        215.
        200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잎말이나방과는 3개의 아과 중 현재까지 잎말이나방아과(Tortricinae), 애기잎말이나방아과(Olethreutinae)가 기재되어 있었으나, 본 연구를 통해서 얼룩잎말이나방아과(신칭)(Chlidanotinae)에 속하는 Mictocommosis nigromaculata(얼룩잎말이나방)(신칭)를 기재하여 3아과 모두가 한국에서 확인되었다. 본 종의 성충, 및 암수 생식기를 포함하여 재기재하였다.
        4,000원
        216.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과원 곤충과 선충실에 보관되어있는 식물기생충 표본들과 경북대학교 농과대학 농생물학과 선충연구실의 표본을 정리하던 중 한국 미기록종, Pratylenchoides utahensis가 동정되어 형태적 특징에 관하여 기재한다.
        3,000원
        217.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먼지응애류인 벼먼지응애(신칭, Steneotarsonemus spinki Smiely 1967)는 쌀생산국인 태국, 필리핀, 중국, 대만 등에서 쌀의 중요한 해충이다. S. spinki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환경조절온실에서 재배중인 쌀에서 발견되었다. 응애 피해를 입은 쌀은 이삭에서 기형을 나타내었으며 잎집내부 표면의 갈변증상, 쌀알의 표면 갈변증상 등을 나타내었다. S. spinki암컷의 체장은 263.0(246.5~12.2), 체폭은(79.5~7.6)였으며 전체적인 모양은 난형으로 중앙부위가 가장 폭이 넓었다. 채색은 연한 황색이었다. 다리는 잘 발달되어 있었으며 암컷 제4각 끝은 채찍모양의 강모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먼지응애류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수컷 체장은 196.5(176.5~222.815.8), 체폭은 109.3 98.6~6.4)였으며 전체적인 모양은 길쭉하고 전동체부 중앙부가 가장 체폭이 넓었다. 내돌기 III은 내돌기 IV보다 전방으로 신장되어 있었다. 제4각퇴절은 커다란 안쪽귀가 발달되어 있었으며 안쪽 및 바깥쪽 강모는 같은 길이로 짧게 잘 발달되어 있었다. 부절 발톱은 강하고 복부쪽으로 굽어 있었다
        4,000원
        218.
        1996.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 중부와 동부에서만 기록되어 있던 Sineugraphe stolidoprocta Boursin (중국쌍검은밤나방 신칭)이 우리나라에서 새로이 발견되었기에 보고한다. 이로서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Sineugaph2속 은 4종이 되며, 이들 4종의 생식기특징을 도해하고, 국내외 분포 및 형태적 특징을 논하였다.
        4,300원
        219.
        202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반도 미기록식물인 얼치기대가래(Potamogeton × anguillanus Koidz.)를 강원도 영월군 남면 연당리 연당천에서 발견하였다. 얼치기대가래는 대가래(P. wrightii Morong)와 넓은잎말 (P. perfoliatus L.)의 자연교잡종이다. 대가래에 비해 잎자루가 짧고, 넓은잎말에 비해 잎이 좁고 길며, 밑부분이 줄기를 완전히 감싸지 않는 특징으로 구별된다. 본 미기록식물의 국명은 교잡종임을 고려하여 얼치기대가래로 신칭하였다. 주요 형질에 대한 기재와 화상자료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220.
        202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둥근대이끼(P. platyphyllum)는 산주목이끼과 산주목이끼 속에 속하는 선류 식물이다. 중국, 일본, 유럽, 북한에 분포하고 있다. 특히, 북한 지역에는 관모봉, 금강산, 묘향산, 차일봉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남한 지역에는 2017년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산북리 대둔산 수락계곡에 자생하고 있음이 처음 확인되었다. 식물체의 색깔은 녹색에서 암녹색이고 윤기가 난다. 줄기에는 중심속이 발달해 있다. 가지는 불규칙하고, 가지잎은 편평하게 붙는다. 잎은 난상 피침형으로 2.0∼2.5 × 1.0∼1.4 ㎜이며, 비대칭하는 것이 특징이다. 잎 중앙세포는 80∼127 × 10∼16 ㎛로서 형태는 장사방형이다. 본 연구에서 둥근대이끼의 형태학적 기재와 동정을 위한 주요 형태 형질의 사진, 도해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