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2

        301.
        200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기후변화가 유역의 유출량과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YONU GCM의 제한실험과 점증실험을 실시하여 전구적 규모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작성하였으며, 통계학적 축소기법과 추계학적 일기발생기법을 이용하여 대상지점의 일 수문기상 시계열을 모의하였다. 이렇게 얻은 시계열자료를 2CO2 상황에서의 유출량자료로 변환하기 위해 준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인 SLURP 모형에 입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302.
        200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비선형성이 강한 강우-유출의 특성을 고려하여 홍수시 하도의 유출을 예측하고 하천유역의 홍수예경보에 이용하기 위하여 신경망 시스템의 모형화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신경망을 이용한 실시간 하도홍수 예측모형(Neural River Discharge-Stage Forecasting Mudel; NRDFM)은 낙동강 유역의 왜관 및 진동 지점의 홍수량 예측에 적용하였다. NRDFM에 의한 하도홍수량의 왜관 및 진동 지점 예측결과를 실측치와 비교검토한 결
        303.
        2004.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홍수시 다목적댐의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홍수유입량을 실시간으로 예측하기 위해 역전파 신경망 모형을 사용하여 댐유입량 예측모형(Neural Dam Inflow Forecasting Model; NDIFM)을 개발하였다. NDIFM은 다목적댐에 의한 하류의 홍수조절 비중이 큰 낙동강의 남강댐 유역에 적용하였으며, 입력자료로는 댐유역 평균강우량, 실측 댐유입량, 예측 댐유입량 통을 사용하여 실시간 댐유입량 예측의 가능성을 검
        304.
        200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ubject basin of the research was the basin of Yeongcheon Dam located in the upper reaches of the Kumho River. The parameters of the model were derived from the results of abstracting topological properties out of rainfall-runoff observation data about heavy rains and Digital Elevation Modeling(DEM) materials. This research aimed at suggesting the applicability of the CELLMOD Model, a distribution-type model, in interpreting runoff based on the topological properties of a river basin, by carrying out runoff interpretation for heavy rains using the model.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the calculated peaking characteristics in the hydrograph was analyzed in comparison with observed values and interpretation results by the Clark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using the CELLMOD Model proposed in the present research for interpreting the rainfall-runoff process, the model reduced the physical uncertainty in the rainfall-runoff process, and consequently, generated improved results in forecasting river runoff.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algorithm is appropriate for interpreting rainfall-runoff in river basins. However, to enhance accuracy in interpreting rainfall-runoff,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heavy rain patterns in subject basins and to subdivide a basin into minor basins for analysi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model to basins that have sufficient observation data, an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model parameters and the basin characteristics(channel characteristics).
        306.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pplied model for this study area is WINFLOW using finite element method, It is thought that the simulation result by WINFLOW model under the steady flow state reflects well the ground water distribution within the reliability level which shows the error range of 1.1% to 8.0% from the comparison between the computed values and the observed, and analyzed that the constant head distribution is shown along the east-west direction and gentle and stable head gradient along the north-south direction. Ground water of the study area shows stable movement from the south to the stream area, and the particle trace for each location shows relatively linear shape from the upstream to the pumping location while the radius of influence according to the pumping amount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down stream area from the pumping location. The simultaneous pumping from P and P1 shows more complicated appearance, not the increase of the radius of influence than pumping from a single well P or P1, and it is analyzed that the particle path takes nearly linear form. It is known that the flow direction of the ground water and the velocity of the flow affect on the magnitude of the radius of influence of the wells from the fact that the more decreasing pattern of the ground water head is observed at the side of the well and the down stream area than the upstream area when the ground water moves from south to north regarding the radius of influence according to the pumping amount. Satisfactory results in analyses of ground water movement are obtained through the significant reduction of the physical uncertainties in the flow system as well as the relatively convenient model application using WINFLOW model which is proposed in this study.
        307.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기순환모형(GCM)에 의하면 온실가스농도의 증가는 전구와 국지규모의 기후변화에 중요한 관련이 있음이 알려져 있다. GCM은 단일지점의 기상학적 순환과정을 분석하는데는 불확실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축소기법이 대기순환모형(GCM)의 개발자들이 제공할 수 있는 것과 모형을 이용하여 기후영향을 평가하는 연구자들이 요구하는 것 사이의 차이점을 연계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통계학적 축소기법을 이용하여 국지 규모의 기후변화의 영향을 평
        308.
        200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하천유지유량 설정에 최소한의 기준이 되는 갈수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하천유량 자료를 검토하고 확률갈수량을 추정하였다. 확률갈수량은 모수적 방법과 비모수적 방법을 사용하여 산정하였으며, Monte Carlo 모의실험을 통하여 비교·분석하였다. 한강유역 13개 지점의 갈수량에 대한 빈도 해석을 실시한 결과, 유역 전체에 대한 확률분포 형은 3가지 분포형, 즉 2모수 gamma, 2모수 lognormal, 그리고 2모수 Weibull 분포가 한강 전지점의 주요
        309.
        200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강우가 공간적으로 균질하며 아울러 그 공간상관구조도 지수함수를 따른다고 가정하여 남한강 유역의 강우관측망을 평가하였고 아울러 WMO의 기준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남한강유역은 WMO의 기준으로 볼 때 산지도 평지도 아닌 중간적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남한강 상류부에서 관측된강우의 공간상관거리는 남한강 하류부에서 관측된 강우의 공간상관거리에 비해 짧게 나타나며 따라서 상류부와 하류부는 그 강우특성이 구별된다
        310.
        200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3개의 강우관측망과 최적 강우관측망을 토대로 호우의 면적 평균강우량 산정용 섬진유역 강우관측망의 개량안을 제안했다. 강우관측망 설계문제는 면적평균강우량추정분산으로 나타내지는 정확도와 자료 수집비로 구성되는 목적함수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익히 알려진 분산경감법으로는 최소화 알고리즘인 SATS기법이 채용되었다. 첫 단계에서, 비용에 부과된 2개의 교환계수값에 따라 최적 관측망과 대안관측망이 얻어졌다. 다음 단계에서, 최적으로 선정된 우량국에 기존
        311.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general, the evaluation of water supply capacity is important factor to establish various establishment of water resource supply plan include water resource security and determination of dam's mass. But former researchs about estimation of water supply capacity were lack in continunity of evaluation basis, and didn't excute analysis on reliability criteria also. In this study, Nakdong river was selected for study basin, and then water supply capacity was analyzed by HEC-5 model using identical reliability criteria.
        312.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lan pollutant loading allocation by sub-watershed at Kumho river basin located in the north Kyeongsang province. HEC-geoHMS which is extension program of ArcView was used to extract sub-watershed. To simulate water quality, Qual2eu model was calibrated and validated. BOD was simulated under several scenarios to evaluate reduction effects of pollutant loading. Uniform treatment and transfer matrix method was considered. Effects of headwater flow rate and efficiency waste water treatment plant were also considered.
        313.
        200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epth-area-duration(DAD) relations are important to hydrological plans and designs for the water resources as well as the flood defence. And these relations have been still in analysis and use today because they can be applied to readily available data. In this paper, rational and consistent DAD models were developed using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basic relationships of area ratio-runoff volume about heavy rainfall occurring in the Im-Jin river basin, 1999. In addition, revised DAD models and curves that can convert a maximum point rainfall to mean area rainfall were developed and evaluated. As results, these models seem to have predictive value in order to plan and design hydrological structures of flood defence in the Im-Jin river basin.
        314.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미 계측유역이나 자료가 결핍된 유역에서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지형학적 순간단위도(GIS-GIUH)를 해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IHP 위천대표시험유역의 6개지점(동곡, 고로, 미성, 병천, 효령, 무성)에 대하여 강우-유출해석을 실시하였다. 지형학적 순간단위도의 분석에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GIS-GIUH 모형과 Rosso-GIUH 모형을 이용하여 계산된 결과를 실측유출수문곡선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GIS-GIUH 모형이 Rosso-GI
        315.
        200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설계홍수량 산정에는 강우-유출 모형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 모형의 가장 중요한 인자는 확률강우량과 단위도이다. 따라서, 확률강우량을 합리적이고 정확하게 산정하는 것은 가장 중요한 과정이다. 국내의 경우, 확률강우량은 유역면적이 일정 기준을 초과할 경우에는 면적확률강우량을 사용하여야 하나 지점평균확률강우량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확률강우량은 상당히 높게 사용하는 반면 단위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사용하고 있어서 개선 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
        316.
        200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00년대 이후 지구의 대기 중에서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현상은 산업화에 따른 온실가스의 증가인데, 이와 같은 온실가스의 증가는 지구온난화 현상을 야기해서 지구의 기후를 변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지구온난화 현상이 지구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확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수문환경의 변화를 분석 및 예측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지규모 수문-대기 모형을 통해 모의된 지
        317.
        200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macroeconomic minimodel was simulated to suggest the public policy for sustainable use of Nakdong River Basin. The minimodel for the simulation shows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natural environment and economic activity. Topsoil, water, economic assets, and money stock are plotted for 300 years, beginning with 1996 in each simulation. The computer simulation runs suggest that the Nakdong River Basin system in the near future may strongly be influenced by the favorable availability of outside resources, while the economic assets and money stock may be declined by indigenous environmental stock depletion. The simulation run made under the constant decrease in systems purchased inputs with investment ratio of developed country and for sustainable use. The results of simulation shows the recover of natural environment and decrease of economic activity under these condition. Therefore, the economic structure of Nakdong River Basin should be transformed from the present industrial structure to the social-economic structure based on an ecological-recycling concept which depend on renewable resources rather than industrial structural which depend on outside resources.
        318.
        200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최근 들어 빈번해지고 잇는 기상이변들의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 받고 잇는 지구온난화 현상이 한반도 수문환경의 변화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의 증가 시나리오에 따라 모의한 대기대순환모형(GCM) 모의 결과를 이용하여 대청댐 상류 유역의 강수량과 기온 변화에 따른 토양함수비, 증발산, 유출량 등의 변화를 물수지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배증에 따른 지구온난화 현상이 발생할 경우 강수량의 전반적인 증가
        319.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포항시 양덕정수장에 tracer test를 이용한 pilot plant를 설치하여 기존 플록형성지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플록형성지 각단 유출부의 단면을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시키면서 수리학적 평가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플록형성지의 각단 유출부에 대한 최적 개량단면을 제시하였고, plant에 적용하여 현재 운전중에 있다. 또한 입자의 크기별 개수를 측정할 수 있는 particle counter를 이용하여 플록형성지 개량후의 효
        320.
        200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한강유역의 1일, 2일, 3일 연최대강우자료를 대상으로 L-모멘트법을 이용한 지점 빈도해석과 지역 빈도해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지역빈도해석을 실시하기 위하여 한강유역을 남한강, 북한강, 한강하류부 유역의 3개 소유역으로 분할하고, 각 유역에 대한 자료의 이산도 및 동질성을 검토하였으며, 각 소유역에 대하여 여러 분포형을 적용한 결과, 남한강유역과 한강하류부 유역은 lognormal 분포형, 북한강 유역은 gamma-3 분포형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