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

        21.
        201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study the cause of physiological disorder in leaf of ginseng cultivated at paddy soil, the degree of brown-colored symptom (BCS) and the contents of inorganic matter in leaf were investigated by irrigating the solution of ferric andferrous iron of 0.1~2.0%, and citric acid of 1.0~4.0% on bed soil, respectively. Ratio of BCS by variety was as high as85.0% in Yoenpoong, while it was as low as 5.4%, 7.5% in Chunpoong and Hwangsook, respectively. The contents ofinorganic matter of leaf in Yoenpoong were lower in P₂O5, Ca, and Mg, while it were higher in K, Fe, and Mn than othervariety. Iron solution caused BCS more distinctly when each ferric and ferrous iron were dissolved with 1.0% citric acidthan when each iron was dissolved without citric acid. Ferric iron caused BCS more effectively than ferrous iron. BCSoccurred in 4.0% citric acid was as same as 2.0% ferric iron mixed with 1.0% citric acid. Low P₂O5 and high Fe content inleaf appeared in both of artificial and natural symptoms. We concluded that excessive Fe uptake caused BCS to leaf becausethe solubility of iron was increased in condition of low soil pH.
        22.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상자성 산화철 나노입자 (SPIONs)의 세포독성평가 및 SPIONs를 uptake한 뇌신경교종 (glioblastoma multiforme, GBM) 세포의 방사선 세포생존곡선을 구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양성자선과 SPIONs 이용한 GBM의 양성자선 치료선량 정보 등 양성자선 치료효과를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SPIONs의 세포독성을 평가는 in vitro 실험 후 MTT 분석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독성평가 결과 1~100μg/ml의 농도에서는 세포생존율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200μg/ml의 농도에서는 세포생존율이 74.2%로 감소하며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SPIONs가 uptake 된 U373MG세포와 uptake 되지 않은 U373MG세포에 0~5 Gy의 양성자선을 조사하여 각각에 대한 세포생존곡선을 측정한 결과를 분석하여 SPIONs가 uptake된 U373MG세포의 세포생존율이 더 급격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SPIONs가 uptake 된 세포에서는 보다 적은 선량으로도 세포사멸을유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GBM에 SPIONs를 타겟팅하면 양성자선을 이용한 뇌신경교종 치료효과를 개선할 수 있음을 보였다.
        25.
        199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령토의 조직과 산출상태의 관찰결과 산화철 광물을 침전시킨 철의 주요 근원은 모암인 회장암에 함유된 각섬석과 녹니석이다. X선 회절 분석결과 침철석은 녹니석이 버미큘 라이트로 변질되고 각섬석이 용해되기 시작하는 하부 백색 광석에서 우세하며, 적철석은 각섬석, 녹니석 및 버미큘라이트가 심한 용탈작용을 받는 상부 적갈색 광석이나 열 개에서 침철석과 함께 산출된다. 침철석 및 적철석내 Fe에 대한 Al의 치환량은 각각 6~26 mol% 및 5~8mol%이며 이 두 값 사이에는 비례 관계가 있다. 회절선폭의 크기로부터 계산된 침철석과 적철석의 평균 입자크기는 340a 이하이며 침철석은 약간의 침상을 보이는 반면 적철석은 탁상이다. 전자현미경 관찰에 의하면 버미큘라이트와 수반되는 침철석은 침상 또는 성상이나 적갈색 광석에서는 그러한 특징이 작다. 적철석은 육각 또는 원형을 보이나 상부 적갈색 광석에서는 보다 불?칙한 모양이다. 적철석과 침철석의 광물학적 특성을 합성실험에서 보고된 결과들과 비교하여 성인적 측면에서 논의되었다. 이 지역에서는 침철석과 적철석의 생성에 적합한 기후조건들이 중첩된 것으로 생각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