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

        21.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초등 교사의 물리와 생물에 관한 관점을 조사하고 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136명의 예비 초등 교사를 대상한 설문 결과, 전체적으로 예비 초등 교사의 물리에 관한 관점이 생물에 대한 관점보다 전문가의 관점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과목의 관점 모두 전문가의 관점과 유사하다고 보기 어려웠다. 차원에 따라 비교해 보면, 구조, 반성적 사고 차원과 수학과 관련된 방법론 차원의 점수는 물리가, 학습 가능성, 개인 관련 차원은 생물의 점수가 높았으며, 타당성 차원은 두 과목이 유사하였다. 또한 예비 초등 교사는 물리는 생물보다 일관성 있고 체계적이며 논리적인 반면 학습하기 어렵고 개인의 생활과는 관련이 적은 과목으로 보는 경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22.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의 교직 인식론적 신념과 성취목표지향(숙달접근,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이 교육학 성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를 하였다. 선행연구들과 달리 2X6 요인구조(박병기⋅채선영, 2006)에 근거한 교직 인식론적 신념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D 교육대학교 4학년 학생 44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본 연구의 주요 측정 변인들 간의 관계 모형을 설정하고 상관관계, 적합도 및 경로분석을 하였다. 결과 초등 예비교사들의 교직 인식론적 신념은 숙달접근과 수행접근 지향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숙달회피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수행회피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그리고 성취 변인인 교육학 성적은 세련된 교직 인식론적 신념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상관 자료와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성취목표지향성을 매개변인으로 한 경로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교육학 점수에 영향 미치는 교직 인식론적 신념의 경로에서 매개효과가 크지는 않지만 성취목표 지향성에 대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한 논의를 하였다.
        23.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예비 유아 교사와 예비 초등 교사, 총 131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사 역할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예비 유아교사는 양육자 역할, 교육과정 계획․수행자 역할, 행정업무 및 관리자의 역할, 연구자의 역할을 유아교사의 역할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예비 초등교사는 양육자 역할, 교육과정 계획․수행자 역할을 유아교사의 역할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 양성 대학과 초등교사 양성대학에서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25.
        200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focus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describe environmental preconceptions held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bout three issues : greenhouse effect, ozone layer depletion and acid rain. Two hundred and twenty nin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36 question survey was created by one of the authors. The questions focused on the cause, effects, and interactions of three environmental issues : greenhouse effect, ozone layer depletion and acid rai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swered the questions on a Likert scale. An analysis of the survey data indicated that the majorit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ossess an array of incorrect conceptions about the causes and effects of the greenhouse effect, ozone layer depletion, and acid rain. and also man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ought that there wer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increase in greenhouse effect, the destruction of ozone layer, and the increase of acid rain.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