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

        21.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書堂은 三國時代 및 高麗를 거쳐 朝鮮朝末期에 이르기까지 士族과 庶民 子弟의 初等敎育을 전담해 온 自然發生的인 私設敎育機關이다 이러한 書堂은 당시 京鄕 各處에 散在해 있으면서 漢文基礎敎育을 담당했지만 우선 敎材 內容을 통해 알 수 있듯이 封建儒敎社會가 요구하는, 五倫에 根幹을 둔 忠孝敎育을 중점적으로 실시함으로써 書堂敎育이 단순히 文字敎育機關이 아닌 修身과 敎化를 위한 風化之源으로서의 機能을 다하여 왔다. 필자는 이와 같이 書堂이 大衆敎育에 끼친 공적이 至大함에 관심을 두고, 書堂敎育에서의 敎育課程과 效用性, 現代의 書堂式 漢文敎育 機關의 現況에 대하여 傳統 書堂敎育의 現代的 意義와 관련하여 논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과거의 전통적 서당교육의 정신이 그 명맥을 근근히 유지하고 있으며 전국 각지에서 유림의 선비 정신을 면면히 이어오면서 후진양성에 매진하고 있는 서당 훈장님들을 직접 탐방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은 윤리·도덕이 무너져 가고 있는 현실에 비춰 볼 때 어둠을 밝혀 주는 등볼과도 같아서 그나마 한 가닥 희망이 보이는 것 같았다. 필자는 대학에서 강의하면서 학생들에게 방학을 이용하여 훌륭한 서당 훈장님들에게 가서 誠心으로 공부하도록 권하고 있는 바 그곳에서 수학한 학생들은 인성과 예절이 바르고, 한문전공 성적도 우수하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아왔다. 이들에게서 한문교육 장래의 희망을 걸어본다. 이제 초·중등학교의 학부모들은 오로지 입시 위주의 인기과목에만 치우치는 학원에만 자녀들을 보낼 것이 아니라 방학 등을 이용하여 서당과 한문학원에서 修學하게 하여 인성과 덕성을 기르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대학에 진학하여 모든 학문영역에서 올바론 학문 자세를 갖추어 지와 덕을 겸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서당교육이 구시대적 교육제도라는 점에서 사회적 여건이 判異한 현대의 교육제도와의 接木은 사실상 불가능한 일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전통적 서당교육과 현대적 한문교육이 新·舊의 조화를 이루어 法故創新하는 한문 교육과정을 啓發해 나감으로써 한문학습이 어렵고 지루한 공부가 아니라 재미 있는 과목이 될 수 있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예컨대 인터넷을 통한 사이버 서당교육 등이 그것이다. 아울러 일선 학교 漢文敎師와 漢學者 그리고 漢文敎育 關聯機關에서 부단한 노력을 통하여 일반인들에게 접근하기 쉬운 內容으로 活性化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5,700원
        22.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architectural character of JE-DAMG at farm village in Ulsan. JE-DANG means the building for DONG-JE (the sacrificial rite of a village). The regions of this study are KANG-DONG MYEN, and UNG-CHON MYEN in Ulsan.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he analysis of them after the actual field surveys of 47 JE-DANGs in these regions The survey contains the area, the height, the period of the erection, the architectural structure, the roof shape, the material, the landowner, SHIN-CHE (means a god's name and shape), DANG-SU tree and so on. Methods of the survey are the field survey, the interview of villager, the analysis of reference data and so on. Results of the study are below. JE-DANGs(buildings) of these regions had been built first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ncy and erections of them had continued until 1970's. Since then, they have been rebuilt. The primary JE-DANG is characterized by a tiled roof, a wooden post lintel, a mud-plastered wall, and a wooden door. After rebuilding, characters are a flat slab, a tiled roof, a structure of using red bricks, and the area is getting larger than the primary JE-DANG, but 1 KAN persists without variety. Most of houses in the inland area like UNG-CHON MYEN face the south, and ones in the coastal area like KANG-BONG MYEN face the east. Generally there is DANG-SU tree behind JE-DANG. That proves DANG-SU tree to be the object of the rite. The species of DANG-SU is a pine in general ,but various in UNG-CHON MYEN. In general names of the god are DONG-SHIN , DANG-SAN SHIN and SUNG-HWANG SHIN. I think that the landownership of JE-DANG should change the private ownership into the village ownership to preserve JE-DANG though most of lands of JE-DANG are private ones.
        4,600원
        23.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ear the Capital Seoul in 19th century, a special architectural form was created by the Buddhist monks who were related with Royal families. Their temples, so called 'won-dang', were constructed as supplicating places for their patrons' happiness and heavenly bliss. Among buildings of a Won-dang temple, 'Great Hall', which was accepted as a new building type, was the most important, the earliest constructed, and the biggest one. This boiling type contained the complex functions of small chaples, living rooms of monks, kitchen and dining, and pilotied pavillions. This Great Hall was located at the front of Won-dang temples, the main worship halls were at the behind. The type of Won-dang was needed for the high female who were its powerful patrons, and was oliginated from the small Buddhist temples in rural areas. And the type was able to be domiciled itself at the Capital areas because of the existing architectural fondness of the regional architects and the patrons in high class.
        4,900원
        25.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南塘 韓元震(1682-1751)의 󰡔대학󰡕해석 가운데 내용상의 요지를 적출하여 그 특징과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栗谷 李珥로부 터 싹트기 시작한 大全本 小註에 대한 비판과 주자의 여러 설을 辨正하여 定論 을 정하려 했던 점을 남당의 󰡔대학󰡕해석의 기본관점으로 보았다. 남당의 󰡔대학󰡕 해석의 요지로는 經一章의 ‘明德’ ․ ‘六事’ ․ ‘本末始終’에 대한 해석, 止於至善章 을 知止 ․ 能得과 연관시켜 해석하고 제4,5절을 明明德의 止於至善과 新民의 至 於至善으로 해석한 것, 聽訟章의 本末에 대한 심도 있는 해석, 誠意章의 ‘自欺’에 대한 해석, 正心章을 主靜工夫로 보는 해석, 修身章을 성의장 ․ 정심장과의 연속 적 맥락에서 파악한 것, 齊家治國章을 推 ․ 化의 구조로 본 것, 治國平天下章의 ‘絜矩’를 辨正한 것 및 새롭게 分節을 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남당의 설은 상당 부분 주자의 설을 더 심화 발전시킨 것이며, 주자의 여러 설을 변정하여 정설을 확정한 것도 있고, 전 제10장의 分節처럼 주자의 설 과 다른 설을 개진한 것도 있다. 남당의 󰡔대학󰡕해석은 주자학적 󰡔대학󰡕해석 가 운데 가장 정밀한 해석이라 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남당의 설이 발표됨으로써 다시 이 설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어 한층 더 발전하는 계기가 되 었다. 이런 점에서 남당의 󰡔대학󰡕해석은 우리나라 󰡔대학󰡕 해석사에서 끼친 공 헌이 지대하며, 그 위상 역시 중요한 자리를 점한다고 하겠다.
        26.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嘿守堂 崔有海(1 588-1641)의 경학관과 대학 해석에 관해 살핀 것이 다. 묵수당의 경학관은 懷疑를 통한 義理의 發明, 곧 道를 추구하는 것이였다. 그는 이와 같은 관점으후 先需의 설만 固執하는 사람들을 拘需로 보고 墨守主義를 비판하였다. 그리고 이런 경학관으로 경전을 해석하였는데, 특히 대학에 관심을 집중하여 아래와 같은 설을 발영하였다. 첫째, 주자의 『대학장구』를 텍스트로 하지 않고 고본대학을 취하여 독자적으로 체제를 개편하였는데, 삼강령을 기본골격으로 하여 明明德傳• 新民傳• 止於 至善傳으로 배열한 뒤, 팔조목을 명명덕의 일로 보아 명명덕전에 포함시켰다. 둘째,명명덕전은 釋明明德• 釋格物致知 · 釋誠意• 釋正心修身 • 釋修身齊家• 釋 齊家治國• 釋治國平天下순으후 배열하여 대체로 『대학장구」의 체제를 따르고 있다. 셋째, 대학의 작자에 대해,經文 제1 절만 孔子의 말씀이고, 경문의 팔조목 공부와 공효를 말한 두 절은 曾子의 말씀이며,나머지는 모두 傳文으로 후인이 지 은 것으로 보았다. 넷째, 明德의 明이 致知로부터 발하기 때문에 명덕이 격물치지 로 연결되어야 하고, 평천하도 自明에 해당하는 명명덕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新民과 자연스럽게 연결된다고 하였다. 다섯째, 『대학장구』 경일장의 제2절 • 제 3 절 • 제 6철 • 제 7철 및 청송장을 합해 격물치지전을 새롭게 구성하였다. 여섯째, 正心章의 四有를 주자차럼 心之用으로 보지 않고 情이 치성해 방탕해진 것으로 보았다. 일곱째, 평천하장의 緊短에 대해 累之以短• 契而巨之를 모두 취하지 않고,以쭉則如方이라는 독특한 해석을 제시하였다. 여덟째, 평천하장의 제 6절부터 제 10절까지의 다섯 절을 제 18 절 뒤로 옮겨놓았다. 아흡째,지어지선전을 功效로 보고 『중용』에서처럼 五引詩로 끝맺었다고 주장하였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