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1

        26.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국흰불나방(Hyphantria cunea Drury) 번데기의 휴면 종료에 미치는 탈피호르몬 20-hydroxyecdysone (20-HE)의 처리효과와 또한 호르몬처리로 유기된 휴면 후 성충발육 모습을 정상적인 성충발육과 비교하기 위하여 본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고 같다. 광주기 16L.8D와 에서 여러가지 다른 기간동안 저장했던 휴면번데기에 20-HE를 처리했을 때 가장 높은 휴면 종료율은 가장 오랫동안 처리된 군에서 나타났고 45일 동안 저장했던 휴면번데기에서 가장 낮은 종료율을 보였다. 우화에 필요한 기간은 저온()처리가간에 반비례하였고, 또한 저온처리기간이 길어질 수록 20-HE에 대한 민감도는 높아졌다. 번데기 휴면기간은 그들이 16L.8D 광조건에 처리되었건 혹은 지속적이 암조건에 저장되었건 간에 거의 같았고, 또한 저온처리없이도 성공적으로 성충이 출현하였다. 정상적으로 무화(휴면없이)하는 번데기의 산소소모율은 전형적인 U자 모양을 보였지만 20-HE에 처리된 휴면 번데기의 산소흡수량은 천천히 증가하다가 처리 후 14일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번데기 휴면은 성충조직을 형성하기 이전에 들어갔으며, 정상적으로 발육하는 번데기나 또는 20-HE에 처리되어 발육하기 시작하는 휴면 번데기 모두에서 성충조직 형성시기와 대사율이 증가하기 시작하는 시기는 일치하였다. 탈피호르몬처리로 발육을 시작한 휴면 번데기의 혈림프와 지방체에서 분리된 단백질종류는 모두 정상적으로 발육하는 번데기의 조직에서와 같았다.
        4,000원
        27.
        199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illus thuringiensis kurstaki와 aizawai의 내독소단백질을 알카리용액 또는 트립신, 곤충소화액 드응ㄹ 처리하여 전기영동한 후 단백질팬턴을 비교하였다. 두 균주의 주요 결정단백질은 130kd와 64kd의 단백질이었으며, 소화액이나 효소로 처리한 경우 공통적으로 62kd의 활성독소가 생성되었다. 그러나, aizawai는 kurstaki에 비해 현저히 적은 양의 62kd 단백질을 생성하였다. 흰불나방의 유충이 Bacillus thuringiensis 독소를 섭식하였을 때 지방체를 비롯한 몇 가지 조직에서 45kd의 스트레스 단백질이 유발되었는데 이 단백질은 열충격이나 저온 충격시에도 마찬가지로 생성되었다.
        4,000원
        28.
        199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침적법에 의해 결정된 IGRs의 {{{{ { LC}_{50 } }}}}수준 (ppm)에 대한 미국흰불나방(Hyphantria cunea Drury) 5령충과 이화명나방 (Chilo suppressalis Walker)3령충의 amylase, invertase, invertase, chitinase 와 estrase의 활성비교 결과, 미국흰불나방은 IGs 처리후 amylase, 와 invertase의 활성은 무처리 보다 낮았고 chlirfluazuron 처리에서 는 가장 낮 은 활서을 보였으며 chitinaes의 활성은 무처와 비교해서 IGRs 처리 후 증가 되었고 esterase patterm 은 2가지{{{{{ Est- alpha }^{ 1}{beta } ^{b} , and { Est- alpha }^{ 2}{beta } ^{b}}}}} 로 분리되었으나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며, 이화명나방에서는 amylase, invertase와 chitinase의 활성은 미국흰불나방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amylase와 invertase의 활성은 미국흰불나방보다 7~10배 낮았고, chitinase의 활성도 미국흰불나방 보다 3~4배 낮았다. Esterase patterm은 4가지{{{{{ Est- alpha }^{ 1},{ Est-beta } ^{a} ,{ Est- alpha }^{ 2} and { Est- alpha }^{ 3}}}}}로 분리되었고 무처리 대비 pyriprox-yfen은{{{{{ Est- alpha }^{ -1} }}}}에서 chlorfluazuron와 trbufenozide은{{{{ { Est- beta }^{ a} }}}}에 서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diflubenzu-ron은 차이가 없었다.
        4,000원
        29.
        199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미국흰불나방 (Hyphantria cunea Drury)과 이화명나방 (Chilo suppressalis Walker)에 대한 chlorflyazuron, diflubenzuron, pyiproxyfen 과 tebufenozide 와 같은 IGRs의 독성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미국흰불나방에서, 1령충의 {{{{ { LC}_{50 } }}}}치 (ppm)기준 2령충~5령충의 내성비 범위는 chlorflua-zuron, diflubenzur on, pyriproxyfen과 tebufenozide에서 각각 1.07~3.58, 1.13~6.06, 1.02~3.23, 1.05~6.64이었다. 이화명나방에서, 1령충에 대한 3령충의{{{{ { LC}_{50 } }}}}치 (p pm)의 내성비는 chlorflua-zuron, diflubenzuron, pyriproxyfen과 tebufenozide에서 각각 2.86, 2.60, 19.80, 15.30이었다.
        4,000원
        30.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국흰불나방 휴면번데기에 5 /g(생체중) 이상의 탈피호르몬을 처리하면 처리된 용의 약 50%가 우화했으며, 10 이나 12.5 /g의 처리구에서는 몇마리의 기형적인 성충이 나타났다. 한편 탈피호르몬의 체내함량을 적정한 결과 정상용은 용화 후 6일째에 약 3.2 /g의 최대값을 보였으며, 탈피호르몬을 처리한 용에서는 처리 6일째에 4.1 /g의 최대값을 보였다. 그러나, 휴면 용에서는 낮은 탈피호르몬 함량을 보였는데 측정 기간중 얻은 최대치는 1.73 /g 정도였다. 탈피호르몬을 처리한 휴면 용의 글리코겐함량은 정상용 보다 낮았으나, 성충조직 발육기간 동안의 발육양상은 정상 용의 경우와 비슷하였다. 또한 같은 처리를 받은 휴면 용의 포도당-솔비톨과 트레할로스의 농도는 처리 후 6일째에 최대값을 보였는데, 그 수준은 정상적으로 발육하는 개체의 경우보다 높았다. 탈피호르몬 처리를 받은 휴면용의 혈림프 내 수용성단백질 함량은 정상 용의 그것보다 낮았으며, 혈림프를 제외한 전체 조직 내에서 정상용의 경우보다 높았다.
        4,300원
        31.
        199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흰 불나방 핵 다각체바이러스(Hyphantria cunea nuclear Palyhedrosis virus: HcNPV) 다각체 단백질 유전자포함 절편의 탐색과 클로닝을 행하였다. Autographa cahfornica NPV EeoRI-I 절편 (약 7.3 kb), Bombyx mori NPV PstI-F 절편 (약 7 kb) 및 합성 oligonucleotide ( 3D-mer) 를 probe로 한 southern hybridization을 행하여 HcNPV PstI - L 절편 (5.3 kb)을 탐색하고, pUC18을 이용하여 E. coli에 형질전환시켜 클로닝하였다. 클로닝한 plasmid의 EeoRI, SaIl, Kpnl, HindIII, SacI 및 AvaI의 제한효소지도를 작성하고 pHeP-L(8.0 kb)이라 명명히였으며, 이를 다시 pHcP-Ll(4.7 kb), pHcP-L2(7.1 kb), pHcP-L3(5.3 kb), pHcP-L4(4.2 kb) 및 pHeP-L5(4.5 kb)로 subeloning 하였다.
        4,000원
        32.
        198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누에(Bombyx mori)와 흰불나방(Hyphantria cunea)으로 부터 분리된 핵다각체병바이러스(nuclear polyhedrosis virus: NPV)를 동정하기 위하여 전자현미경 관찰한 결과, BmNPV 다각체의 크기는 3 μm 정도의 18면체로 외형이 균일하였으나, HcNPV는 1.5-2 μm 정도이며 부정형이었다. Alkaline protease를 부활화시킨 후 SDS-PAGE한 다각체 단백질의 分子물은 BmNPV가 30 KD, HcNPV는 31 KD인 major band와 이들의 중합체(polymer)로 생각되는 57 KD, 112 KD의 minor band들이 관찰되었다. 또한 virion 단백질을 SDS-PAGE한 후 은염색한 결과, BmNPV는 분자량 9.6~112 KD인 47개의 band, HcNPV 경우는 분자량 9.4~l11 KD인 48개는 band가 관찰되었다. BmNPV와 HcNPV DNA의 제한효소 처이에 의한 전기영동 패턴을 관찰했으며, 각각의 genome 크기는 BmNPV가 약 116.4 Kb, HcNPV의 약 114.6 Kb였다.
        4,000원
        33.
        198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흰불나방 (Hyphantria cunea Drury) 의 용휴면이 결정되는 시기, 휴면용에서의 20-hydroxyecdysone 의 영향과 전기영동 방법으로 측정된 용단백질의 변화는 다음과 같았다. 용휴면의 결정은 유충발육기간중 초기 5~15일에 이루어졌다. 산소소비율의 변화는 정상발육용에서 U자 모양의 곡선을 나타내었고, 휴면용에서는 l TEXO2/TEX /g/hr 수준으로 감소되어 유지되었다. 휴면용에서 추출된 2.5%균질액은 20-hydroxyecdysone 의 처리로 호흡활성이 증가하였고, 휴면예정용은 직접 주사로 우화하였다. 수용성 단백질의 함량 변화는 정상발육용에 급격하게 이루어졌으나, 휴면용에서는 완만하였고, 더 많은 양이 포함되어 있었다. 휴면예정용의 지방체에서 분리한 단백질의 종류는 비휴면용의 경우와 달랐다.
        4,000원
        34.
        198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흰불나방의 휴면용과 비휴면용에서 탄수화물 함량을 비교하였다. 1. 저온상태()에 보관한 휴면용은 실온에 둔 것 보다 글리코겐(glycogen)함량은 적었지만 트레할로스(trehalose)와 솔비톨(sorbitol)의 양은 많았다. 2. 휴면용에서 혈액의 삼투압은 비휴면용의 것 보다 높게 나타났다. 3. 휴면용의 평균 산소 소비량은 비휴면용 보다 배 적었다.
        4,000원
        35.
        198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흰불나방의 용 휴면(休眠) 유기(誘起)와 월동휴면 종료(終了)시기를 조사한 실험에서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온도 조건에서 휴면유기의 임계일장은 14시간과 14시간 30분 사이에 존재하였다. 2. 유충 발육기간은 조건에서 일장이 길어질 수록 약간씩 단축되었다. 3. 야외에서 월동휴면 종료는 12월하순 이후에 부분적으로 시작되었으며 그 이전에 꺼낸 용은 성충으로 전혀 우화되지 않았다.
        4,000원
        36.
        197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75년 수원 잠업시험장에서 분리한 흰불나방 핵다각체 바이러스 성상과 령기, 화기별 및 병원체 보존조건에 따른 병원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핵다각체 바이러스를 현탁액 및 건조시켜 실온, 냉장, 냉동에 각각 보존, 이병사체는 그대로 양지 음와 지에 보존하였고 야외에서의 병원성, 가잠에 대한 교우감염을 검정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흰불나방 핵다각체는 4면체와 6면체로 크기는 약 이고 바이러스 입자는 간상형의 본으로 이었다. 2. 6각형의 흰불나방 중장핵다각체 바이러스는 중장의 핵에서만 발견되었다. 3. 령기별 2,3,4 및 5령에 대해 및 였으며 에 대한 은 각각 9.6, 11.5, 12.0 및 17.3일 이었다. 4. 핵다각체 바이러스는 1화기 유충보다 2화기 유충에서 감수성이 높았다. 5. 핵다각체 보존은 둔화건조하여 냉동 및 냉장보존하거나 이병사체를 음지에 보존하는 것이 바이러스 활성도의 감소가 적었다. 6. 야외에서의 효과적인 살포농도는 이며 이의 은 3령은 4.8일, 5령은 14.2일이었다. 7. 흰불나방 핵다각체 바이러스와 가잠의 핵다각체 바이러스는 상호 교우감염을 일으키지 않았다.
        4,000원
        37.
        197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흰불나방의 성간성유인, Trap형의 개발, 일영에 따른 성유인의 변화, 교미후 성유인력의 감퇴 및 유인시각들에 관한 실험을 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암놈에 대해서 숫놈은 유인되나 숫놈에 대하여 암놈은 유인되지 않았다. 2. Trap A형(직경 10cm, 높이 11.5cm원통형분유통 양쪽에 직경 4.8cm의 둥근 구멍을 만들고 통내부에 토양점차제를 바른것) 이 가장 유인효과가 좋았다. 3. 암놈의 성유인력은 우화후 4일까지 계속되나 1-2일에 가장 유인력이 컸으며 일영이 진행됨에 따라 유인력이 감소하였다. 우화후 2일까지 전체 유인율은 이었다. 4. 교미후 암놈의 성유인력은 급격히 감소하는데 그 유인율은 미교미한 암놈 에 대하여 교미한 것은 에 불과하였다. 5, 흰불나방의 성유인은 오전 3-7시에 일어나는데 유인최성시각은 오전 4-6시로서 약 가 이 시각에 유인되었다.
        4,000원
        38.
        196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야외에서 흔히 흰불나방의 피해를 입는 7개의 기주식물에서 채집된 흰불나방의 기주식물별 용의 크기와 포란수 및 그들간의 상관을 실내사육하여 보고된 결과와 비교검토하기 위하여 실험하였다. 그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용의 체중은 기주식물의 종류와 자웅 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자웅에 있어서 평균용중의 순위는 이태리푸라, 가래나무, 버즘나무, 네군도 단풍나무, 낙우송 수양버들 및 벗나무이었고 웅용에 있어서 평균용중의 순위는 낙우송, 버즘나무, 가래나무, 네군도단풍나무, 이태리 포푸라, 수양버들 및 벗나무이었다. (2) 포란수는 기생식물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그의 평균치의 순위는 이태리포푸라, 가래나무, 낙우송, 네군도단풍나무, 버즘나무, 수양버들 및 벗나무 이었다. (3) 기주식물별 흰불나방의 용중과 포란수는 실내사육에 의하여 보고된 결과에 비하여 야외집단의 경우가 현저히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4) 공시기주식물은 모다 용의 크기와 포란수간에 고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000원
        39.
        196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흰불나방을 재료로 곤충의 교미습성중 우화시간, 교미시간, 1회교미에 소요되는 시간 및 나방의 우화후일령이 교미율에 미치는 영향등을 밝히기 위하여 실내시험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흰불나방은 오후 3시부터 우화가 시작되어 오후 12시경에 끝나며 우화최성시각은 오후 7-8시 사이었다. 이때 암컷은 숫컷은 우화하였다. 2) 흰불나방은 오전 5-6시 사이에 교미하여 그 외 다른 시간에는 교미하지 않는다. 1회 교미시간은 최단이 7시간, 최장이 17시간이며 그 평균은 12시간이었다. 3) 흰불나방은 2회까지 교미할 수 있으며 1회 교미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실내시험결과 암컷은 1회 교미가, 2회 교미가 , 미교미가 , 이었으며 숫컷은 1회 교미가 , 2회 교미가 , 미교미가 이었다. 야외에서 채집된 암컷의 교미는 1회가 , 2회가 , 미교미가로서 야외의 것이 실내의 것에 비하여 2회교미하는 율이 높았다. 4) 흰불나방은 우화후 4일까지 교미한다. 우화된지 6-15시간후부터 교미하는데 이때에 의 높은 교미율을 보이지만 4일에는 의 낮은 교미율을 보인다. 5일 이후 교미하는 것을 관찰할 수 없었다. 자웅보다 동일 일령인 것 끼리 교미하며 일령이 다른 것과는 거의 교미하지 않는다.
        4,000원
        40.
        196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시험은 5개 기주식물(뽕나무버즘나무미류나무네군도나무 및 사과나무)의 NitrogenPhosphorusPotassium 및 Sugar함량이 흰불나방의(Hyphantria cunea DRURY) 유충기간용기간용체중자아의 포난수 및 에 대한 감응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연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그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시 기주식물엽의 NitrogenPhosphorusPotassiuln 및 Sugar함양은 기주의 종류와 화기(1화기와 2화기)에 따라 각각 상이한 차가 있었다(표 1). (2) 1, 2화기 유충기간과 용기간은 비교적 N의 함량이 많은 뽕나무에서 짧았고 그렇지 않은 사과나무에서 가장 긴 경향이었으며, 1화기보다 2화기에서 더 짧아졌다. 이들은 기주의 N함량과 유의성은 인정할 수 없었으나(1화기 유충기간은 제외), 비교적 높은 부의 상관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P·K 및 Sugar에 비하여 크게 관여한 것 같았다. (3) 용체중과 포난수에 있어서도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주의 종류, 자웅의 성 및 화기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표 3). 용체중은 N의 함량이 많은 뽕나무에서 역시 가장 높았고 그렇지 않은 사과나무에서 가장 낮았으며, 자아당 평균 포란수에 있어서도 용체중의 경향과 비슷하였다. 용체중이나 포난수의 경우나 영양과의 관계는 유의한 상관을 인정할 수 없었으나 크게 관여한 것은 N의 함량으로 생각되었다. (4) 에 대한 천불나방유충의 내약력은 기주의 종류에 따라 현저한 차가 있었으며, 그 감응도는 네군도나무미류나무버즘나무사과나무뽕나무 순으로 강하였다(표 6). 역시 유의한 상관을 인정할 수는 없었으나 N·P 및 Sugar보다 K의 함량이 많은 기주 일수록 에 대한 유충의 내약력이 강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4,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