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

        21.
        201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과 대학의 연구자가 함께 한 전문학습공동체에서 집단 탐구 과정의 특징과 교사의 학습 기회를 분석하여 수학교과에 대한 초등교사의 수학교과 전문성 신장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문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사 활동의 바람직한 방향을 수학 및 수학교육적 탐구로 보고, 학생중심의 탐구 수학교실의 문화를 논의하는데 유용한 개념인 사회수학적 규범을 분석의 틀로 삼았다. 즉, 사회수학적 규범을 분석하여 전문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사의 수학적 참여의 질과 학습의 기회를 기술하고, 이 과정에서 전문학습공동체 참여자들이 겪게 되는 성공과 어려움의 관점에서 전문성 신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전문학습공동체의 사회수학적 규범을 수학에 대한 탐구, 수학 교수법에 대한 탐구, 수학교수법 발달에 대한 탐구로 확장하여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MKT의 하위 요소인 CCK, SCK, KCS, KCT에 따라 학습 기회를 설명하고 전문학습 공동체 운영의 내용과 방법을 제안하였다.
        22.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 상황에서 교사로부터 지각된 자율성 지지, 공동체 의식, 협력학습 및 내적동기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동시에 성별과 학년급 간 잠재평균과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남녀 중고등학생 605명의 자료에 대해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과 협력학습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공동체 의식과 협력학습은 내적동기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의 내적동기에 대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 및 공동체 의식의 간접 효과를 확인하였다. 성별과 학년급 간 잠재평균 차이를 비교한 결과,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교사로부터 지각된 자율성 지지와 내적동기 수준이 높지만 공동체 의식과 협력학습 수준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고등학생은 중학생에 비해 지각된 자율성 지지와 협력학습 수준이 낮지만 공동체 의식과 내적동기 수준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모형 적합도를 비교한 결과 성별과 학년급 간 차이도 확인되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