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

        21.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rowth characteristics and seed productivities of orchardgrass "Hwabsung 2 Ho" cultivated for seed production were examined in the NLRI from 2000 to 2002. The experimental design was a split-plot arrangement with three replications. The main-plots were th
        4,000원
        22.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오차드그라스 종자생산을 위한 적정 파종시기를 구명하기 위하여 축산기술연구소 초지사료과 시험포장에서 2001년부터 2002년까지 실시되었다. 공시품종은 국내에서 육성한 오차드그라스 "합성2호"로 하였다. 처리내용은 파종시기로 8월 10, 20, 30일과 9월 10, 20, 30일에 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난괴법 3반복으로 하였다. 정착상태는 8월 10일 파종에서는 늦 장마로 인하여 유모의 정착이 불량하였다. 수량구성요소 중 단위면적당 이삭수는
        4,000원
        23.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생육특성 및 종자 생산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축산기술연구소 초지 사료과 시험포장에서 2000년부터 2001년까지 실시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휴폭(15, 30, 45cm) 및 이른 봄 질소시용량(50, 75, 100kg/㏊)을 조합한 분할 구배치 3반복으로 설계되었다. 생육특성 중에서 도복저항성은 휴폭이 45cm로 넓고 이른 봄 질소시용량이 50kg/㏊로 적을 때 높게 나타났고, 줄기의 수는 휴폭이 45cm 보다는 15 또는 30cm에
        4,000원
        24.
        202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충청북도농업기술원 대추연구소에서 보유 중인 대추 유전자원 중 형태적 다형성을 나타내는 ‘일본’과 주요 대추 유전자원의 형태형질을 조사하고, 대추 육종 소재로서 ‘일본’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일본’은 주요 대추 유전 자원과 비교하여 엽과 과실의 크기가 뚜렷하게 작고 당도가 낮았다. 하지만 과실에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항산화 능력 또한 가장 높았다. 또한 ‘일본’은 종자형성능이 가장 높았다. 대추 유전자원들의 형태형질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지리적 기원에 따라 유전자원들이 분류되었다. 특히 ‘일본’은 한국 및 중국 유전자원들과 명확히 구분되었다. 따라서 종자형성능이 우수하고 기능성 성분이 높은 ‘일본’은 추후 대추 유전연구 및 교배육종을 통한 품종 육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5.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immature rhizome production according to harvest times-based treatment method for seed production of Gastrodia elata. The results revealed that when the tuber weight of G. elata harvested in spring (GEHS) was ≥ 100 g, the rate of artificial fertilization, protocorm formation, and immature rhizome formation was 90.9%–94.8%, 3.1%–5.4%, and 10.1%–15.3%, respectively. When G. elata harvested in fall (GEHF) was treated at a low temperature for 4 weeks or more, the rate of artificial fertilization, protocorm formation, and immature rhizome formation was 70.4%–87.6%, 2.2%–2.6%, 8.7%–9.5%, respectively. Therefore, to produce seeds and immature rhizomes, GEHS must have tubers of more than 100 g, whereas GEHF requires breaking dormancy by low-temperature treatment for 4 weeks or more. Compared with those of GEHS, the rate of artificial fertilization, protocorm formation, and immature rhizome formation was lower in GEHF; however, it was higher than those in the natural germination state. Thus, it can be expected that G. elata can be produced throughout the year by ensuring that the seeds and immature rhizomes of G. elata are produced using a constant tuber weight and by breaking dormancy with low temperature treatment.
        26.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examine the possibility that oil seed rape could be used as a forage fodder crop and to select the most suitable variety of forage rape at the southern area of Korea, two varieties of oil seed rape currently grown for oil production and six introduced varieties of forage rape with relatively high yield and high nutritional value were grown at the same condition their and yield components were observed. Forage rape was superior to oil seed rape in terms of yield components, plant fresh weight and plant dry mater weight. Velox was superior to any other variety of forage rape in these characters. When plant dry matter weight of the rape was subdivided into four components such as a main stem, branch stems, main stem leaves and branch leaves, contribution of these components to plant dry matter weight was in the order of branch stems, branch leaves, the main stem and main stem leaves. Dry matter percentage of the rape ranged from 9.32 to 11.08 percent, which was somewhat low valu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of the rape in terms of dry matter percentage. Velox showed somewhat higher value in dry matter percentage.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