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

        21.
        200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시각탐지과제를 사용하여 주의집중의 유형이 다른 검도선수와 사격선수가 표적자극을 탐지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보고 시각탐지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실험 모두 시각탐지과제를 사용하였으며, 표적 유형은 배경자극과 방향차원에서 차이나는 방향 표적과 세부특징에서 차이나는 세부특징 표적이었으며, 표적위치는 사사분면으로 구분하였다. 실험 1에서는 표적과 배경자극이 모두 정지되어있는 상황에서의 탐색을 다루었다. 실험 결과, 표적자극에 대한 탐지시간은 표적자극의 유형에 관계없이 사격선수가 검도선수보다 더 빠른 경향성을 보였다. 또한, 방향 표적이 세부특징 표적보다 빨리 탐지되었으며, 제1사분면에 제시된 표적이 가장 빠르게 탐지되는 위치우위성 효과를 보였다. 실험 2에서는 표적과 배경자극이 모두 운동하는 상황에서 표적의 유형과 표적위치가 탐지에 미치는 효과를 다루었다. 자극은 수직방향으로 운동하였다. 그 결과, 사격선수보다 검도선수가 표적유형에 관계없이 더 빨리 표적을 탐지하였다. 위치 우위성효과에서는 실험 1과 약간 차이가 있었다. 제1사분면과 제2사분면에서의 표적탐지가 제3사분면과 제4사분면에서의 표적탐지보다 더 빨랐다. 다가오는 자극에 대한 정체를 빨리 확인하는 것이 멀어져 가는 자극에 대한 정체를 확인하는 것보다 더 생존을 높이기 때문일 수 있다. 또한 검도선수는 세부특징 표적도 빨리 탐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움직임을 통한 사물지각의 중요성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23.
        1991.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roject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visual of the elite athletes and compared the different visual abilities between elite and non-elite athletes by employing seven different visual ability tests. After administring the visual ability tests, important visual characteristics which might have important role to become elite athetes were identified. In the second experiment, two different visual abilities(dynamic visual acuity and depth perception) selected in order to examine the visual training effect for baseball hitting performance for these visual abilities had shown the most relevant visual characteristics for batting performance in the first experiment. The results revealed there were different visual characteristics between athletes in different sports (archery, shooting, ice hockey, baseball), and elite and non-elite athletes. The results also found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certain visual characteristics and the sports events. The results of the second experiment revealed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 group(visual training group) improved their visual abilities significantly through specially designed visual training in the laboratory and the improved visual abilities had positive effect on batting performance in the field.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