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

        22.
        2016.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J#3과 DJ#13은 항염증질환 소재로서 가능성을 확인하 고자 국내 전통식품 풀질인증 된장에서 장기간 숙성된장으 로 선발된 시료이다. DJ#3과 DJ#13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혈관내피세포를 이용하여 세포의 생존율 을 살펴본 결과 DJ#3과 DJ#13 추출물 모두 100 μg/mL의 농도까지 전혀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DJ#3과 DJ#13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TNF-α에 의해 활성화된 혈관내피세포에서의 NO 생성, 염증관련 단백질 발현과 mRNA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혈관내 피세포에 TNF-α를 처리한 결과 NO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가 DJ#3과 DJ#13 추출물(20, 50, 100 μg/mL)을 처리하였을 때 유의성은 없으나 증가하였다. 세포배양액내 VCAM-1, ICAM-1 발현을 확인한 결과 혈관내피세포에 TNF-α를 처리한 군에서 증가된 VCAM-1 발현이 DJ#3 추출 물 20, 50 μg/mL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또한 DJ#3 추출물은 NO 생성과 연관 있는 eNOS mRNA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iNOS mRNA의 발현은 농 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이는 NO 생성 증가가 iNOS의 발현억제를 경유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다수의 항염증 약물들의 작용기전이 되는 COX-2의 생성억제를 살펴본 결과 DJ#3 추출물은 TNF-α에 의해 발현되는 COX-2 단백질 의 발현을 억제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DJ#3 추출 물은 CAMs 단백질 및 mRNA 발현율의 감소됨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DJ#3 추출물은 혈관내피세포에서 TNF-α로 유도된 혈관염증을 감소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 며, 항염증물질의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 로 기대된다. 또한 염증과 관련된 cytokine 및 단백질 발현 메커니즘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24.
        2012.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ycopene, found in tomatoes and tomato products, has antioxidant,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High-mobility-group box 1 (HMGB1) mediates the pro-inflammatory responses in several inflammatory diseases. In this study, the potential roles of lycopene in the HMGB1-mediated pro-inflammatory gene expressions in the primary human-umbilical-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were investigated. The data showed that HMGB1 upregulated the expressions of monocyte chemotactic protein 1 (MCP-1), interleukin-6 (IL-6), secretory phospholipase A2 (sPLA2)-IIA, and prostaglandin E2 (PGE2). Lycopene pre-incubation for 6 h decreased the HMGB1-mediated induction of MCP-1, IL-6, sPLA2-IIA, and PGE2. Further study revealed that the inhibitory effects of lycopene on the HMGB-1 induced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genes were mediated by the inhibition of two important inflammatory cytokines: tumor necrosis factor (TNF)-α and nuclear factor (NF)-κB. These results suggest that HMGB1 upregulated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genes and lycopene inhibited HMGB-1-induced pro-inflammatory genes by inhibiting TNF-α and NF-κB. This finding will serve as an important evidence in the development of a new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