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

        21.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formation of ConTiOn+₂ compounds, i.e., CoTiO₃ and Co2TiO₄, in a 5 wt% CoOx/TiO2 catalyst after calcination at different temperatures has been characterized via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Raman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measurements to verify our earlier model associated with Co3O4 nanoparticles present in the catalyst, and laboratory-synthesized ConTiOn+₂ chemicals have been employed to directly measure their activity profiles for CO oxidation at 100˚C. SEM measurements with the synthetic CoTiO₃ and Co2TiO₄ gave the respective tetragonal and rhombohedral morphology structures, in good agreement with the earlier XRD results. Weak Raman peaks at 239, 267 and 336 cm-1 appeared on 5 wt% CoOx/TiO₂ after calcination at 570oC but not on the catalyst calcined at 450˚C, and these peaks were observed for the ConTiOn+₂ compounds, particularly CoTiO3. All samples of the two cobalt titanate possessed O 1s XPS spectra comprised of strong peaks at 530.0±0.1 eV with a shoulder at a 532.2-eV binding energy. The O 1s structure at binding energies near 530.0 eV was shown for a sample of 5 wt% CoOx/TiO₂, irrespective to calcination temperature. The noticeable difference between the catalyst calcined at 450 and 570˚C is the 532.2 eV shoulder which was indicative of the formation of the ConTiOn+₂ compounds in the catalyst. No long-life activity maintenance of the synthetic ConTiOn+₂ compounds for CO oxidation at 100˚C was a good vehicle to strongly support the reason why the supported CoOx catalyst after calcination at 570˚C had been practically inactive for the oxidation reaction in our previous study; consequently, the earlier proposed model for the Co₃O₄ nanoparticles existing with the catalyst following calcination at different temperatures is very consistent with the characterization results and activity measurements with the cobalt titanates.
        22.
        200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H and temperature on the formation of bromate, which is ozonation by-products, during ozonation. In this experiment, the operating parameters including pH 3~10 and temperature 15~30℃ were studied. Through the study for the bromate formation, reaction rate constant, and ozonation effect index on pH and temperature,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At the same initial pH condition, the increase of pH shown similar trends even if the reaction variables such as temperature and reaction time of ozonation were exchanged. As pH and temperature were increasing, the bromat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but bromine(HOBr+OBr-)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pH from 3 to 10. The activation energy(J/mol) for bromate formation decreased with increasing pH. The rate constants of bromate formation for the reaction of ozone and bromide, and ozone dosage coefficient(Ko) increased with temperature and pH. Ozonation effect index(OI)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nd pH.
        23.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나물 재배에서 생장조절제 BA 흡수량은 처리방법에 따라 커다란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BA 처리효과를 극대화하여 처리량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BA 처리 직후 첫 관수까지 경과시간이 콩나물의 생장과 세근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2 ppm BA용액에 5시간 침종한 풍산 나물콩, 소원콩 및 준저리의 종자를 재배시 첫 관수까지 20, 30 및 40˚ 로 aeration 온도를 달리하거나, 25˚ 에서 1, 2, 3, 4시간으로 aeration기간을 달리하여 처리한 후에 6일간 재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침종과 첫 관수간 aeration온도 및 기간에 따라 각공시품종의 발아 및 생장 정도는 다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콩나물의 발아 및 생장, 세근발생 개체비율, 개체당 세근수 및 생체중은 BA 용액에 침종한 후 첫 관수까지의 aeration온도의 영향은 미미한 반면, 공시품종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세근발생 개체비율은 aeration기간을 4시간으로 길게 할수록 감소하였던 반면, 개체당 세근수는 3시간 이상의 aeration 기간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4. 하배축 및 뿌리의 길이는 1시간의 aeration을 가할 경우 가장 길었으나, 3시간 이상 aeration을 가할 경우 차이가 없었다. 5. 자엽, 하배측, 뿌리 및 전체 생체중도 1시간 aeration을 가할 경우 가장 많았으며, 3시간 이상 aeration을 가할 경우 차이가 없었다
        24.
        198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산기반의 정비와 우량품종의 육성보급 및 재배기술의 개선 등이 상당한 수준에 도달한 현재의 우리나라 수도수량의 생산성향상을 위하여 그 제한요인의 하나인 단위면적당 영화수를 적정하게 확보코자 영화수형성에 미치는 기온과 일사의 상호작용의 영향을 지역별로 분석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현재 우리나라 수도수량을 크게 제한하는 요인은 영화수와 등숙비율이었으며 통일계 품종은 등숙비율이, 일본형 품종은 영화수부족이 더 크게 영향하였다. 2 단위면적당 영화수는 생식생장기의 일사량이 많을수록, 일평균 기온은 23℃ 에서 28℃ 범위내에서는 낮을 수록, 그리고 기상소모지수가 작을 수록 증가하였다. 3. 기상소모지수를 산출함에 있어서 한계온도는 10℃ 를, 일조시수보다는 일사량을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이었다. 4. 영화수에 미치는 기상소모지수의 영향은 전 생식생장기에 비해 출수전 15일간에서 컸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