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

        21.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cientific studies have shown that essential fatty acidintake can have a dramatic impact on human health. Soybean [Glycine max(L.) Merr.] oil from current commercial cultivars typically containsaround 8%linolenic acid (18:3) known as omega-3 fatty acid. Omega-3 fatty acid plays an important role to prevent cardiovascular disease and cancer. Relatively high 18:3 content in seed oil is a trait of the wild soybean (Glycine soja Sieb. and Zucc.) ancestor of modern soybean cultivars. Wild soybean is native to Korean peninsula and recently thousands of wild soybeans collected by soybean researchers in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linolenic acid content for wild soybean collection and to determine the stability of linolenic acid content derived from wild soybean over environments. Fatty acid profile for 1,806 wild soybean accessions collected from South Korea was determined by GC. The range of linolenic acid was 7.3 to 23.7% with an average 15.6%. We developed a recombinant inbred population from a cross PI483463 (wild soybean with 15% 18:3) and Hutcheson (cultivar with 8% 18:3). Three RILs, RIL156, RIL159 and RIL166, with high linolenic acid content (over 14%), parents and Williams 82 as checks were grown in nine environments over 2008-2011. Results showed that the content of linolenic acid for the PI483463, Hutcheson, and Williams 82 ranged from 14.8 to 17.1, 8.5 to 9.7, and 6.9 to 8.4 % and averaged 15.4, 9.2 and 8.0%, respectively. However selected RILs 156, 159, and 166 ranged from 10.7 to 15.7, 14 to 15.8, and 14.8 to 15.8, and averaged 13.9, 14.9, and 15.2, respectively. Among the tested accessions, RIL166 was the most stable with the lowest range and CV, and had a relatively lower stability coefficient value than other genotypes. Genes related to high linolenic acid from wild soybean may be useful in developing higher linolenic acid soybean genotypes and would broaden the use of soybean in food applications to improve human nutrition and health.
        22.
        200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갈계숲 산림유전자원보호림은 보전가치가 높은 소나무,오리나무,느티나무가 분포하여 생태적으로 중요하나 내부에 가선정,도계정 등 역사문화자원을 포함하고 있고 마을과 인접하여 이용공간으로도 중요하므로 균형잡힌 보전․이용계획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하천 내부에 입지하여 물리적으로는 물이풍부하나 마사질 토양의 특성으로 소나무(32.1%)가 우점종이었으나 하층식생은 빈약했으며 유전자보호목에 속하는 오리나무(5.2%)와 느티나무(17.7%)는 갈계정이 입지한 중반부의 수변과 내부의 갈계정 주변에 분포하였다. 운동시설은 하단부에 입지하여 보전과 이용의 공간부분이 가능한 상태이었다. 내부에는 소나무 255주, 오리나무 56주, 느티나무 132주와 함께 비자생종도 17종 113주가 식재되어 고유 생태계를 교란할 위험성이 있었다.유전자보호수목 중 30% 이상이 고사하여 생육불량인 수목은 126주(19.8%)로 지속적인 쇠퇴현상을 나타내고 있었다.이는 사면 침식방지를 위해 성토와 함께 콘크리트로 마감하여 하천과의 소통이 단절되었고 운동시설 설치와 휴게공간화 등 이용 심화가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에 있어서 시설물 설치로 인한 유전자원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계의 흐름을 고려하여 오리나무 생육과 연관된 지역의 석축을 제거하고 대경목 주변에 설치된 운동시설은 하단부 퇴적지로 옮기는 등 환경을 개선해야 할 것이다. 비자생종 식재과 차대목 육성 부재로 인한 쇠퇴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유전자보호목에서 종자를 채취․발아시켜 키운 유목을 식재하여야 할 것이다. 이용공간의 난립은 상단부와 수변을 중심으로 하는 유전자원 보전공간과 하단부를 중심으로 하는 이용공간을 엄격하게 구분하여 더 이상의 확장을 방지하여야 할 것이다.
        24.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효율적인 콩 노린재 검정방법을 개발하고 저항성 유전자원 선발하여 콩 노린재 저항성 품종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영남농업연구소에 보존되고 있는 콩 유전자원 298자원을 공시하여 2001~2004 년에 걸쳐 수행하였다. 1. 1년차에 298개의 유전자원에 대하여 노린재 피해율을 조사하였더니, 40%정도의 피해율을 나타낸 품종이 가장 많았고, 10%이하로 피해율이 낮은 품종도 10개정도 선발되었다. 2. 전년도에 피해율이 비교적 낮은 102개의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2년차 선발을 수행한 결과, 12품종에서 10%미만의 낮은 노린재 피해율을 나타내었으며, 기타 대부분은20~30% 의 피해율이었다. 3. 아울러 효율적인 노린재검정방법을 개발하고자 일품검정콩을 공시하여 콩 생육단계별 노린재 피해정도를 조사한 결과, 협비대기보다 종실비대기에서 노린재 피해협율이 급격히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R6에서 35.5%로 노린재 피해가 가장 심하였다. 4. 협피해율에 따른 저항성 유전자원을 선발한 결과는 Peking이 10.3%로 가장 낮았고, 소록콩, 황색준저리 및 소백나물콩 순서로 낮았으며, 이러한 결과는 종실에서도 유사하였으며, 공통적으로 소립종이 대립종에 비하여 저항성 정도가 강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5. 또한 노린재 기피반응을 구체적으로 구명하기 위하여 Peking과 소록콩을 별도로 시험한 결과, R5시기에서는 Peking이 10.0% 및 소록콩이 14.2%의 피해율을 보였지만, R5.5시기를 넘어가면서 피해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것으로 보아 이 시기에 콩 내부 조직적으로 노린재의 접근을 저지시키는 성분변화가 나타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6. 상기의 결과로부터 소록콩, 소백나물콩, Peking 및 황색준저리 등 4개의 저항성 유전자원은 금후 노린재에 대한 내충성 콩 품종개발을 위한 육종소재로서의 이용이 기대된다.3.25±0.98, benzoyl peroxide는 0.68±1.13 , chlorhexidine은 3.14±0.55 , 키토산-benzoyl peroxide은 0.48±0.56 , 키토산-chlorhexidine은 2.55±0.88CFU/ml 로 각각 현저히 감소하였다 (p<0.01). 0.1% 키토산 단독보다는 소량의 benzoyl peroxide 또는 chlorhexidine을 혼합용액의 항균효과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따라서 0.1%키토산은 S. intermedius에 대하여 in vitro 및 in vivo에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개의 화농성 농피증의 국소제제로 적용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한 천연식품으로서 우울증, 불안증 등의 관련 질환의 예방, 치료용 의약품 개발과 기능성 식품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tall fescue 23%, Kentucky bluegrass 6%, perennial ryegrass 8%) 및 white clover 23%를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초종과 파종비율에 따른 혼파초지의 건물수량과 사료가치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레드 클로버 + 혼파 초지가 건물수량과 사료가치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이었으며 , yeast extract 첨가(添加)하여 배양시(培養時)는 yeast extract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도 증가(增加)하였다. 7. CHS-13 균주(菌株)의 RNA 함량(含量)은 4.92×102 mg/m이었으며 yeast extract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증가(增加)하다가 농도(濃度) 0.2%에서 최대함량(最大含量)을 나타내고 그후는 감소(減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