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5

        27.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is study was designed to characterize endotoxin-induced prostaglandin production in primary cultured rat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VSMC). The time course for prostag)andim synthesis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VSMC showed that the maximum production was reached in 12 hours. LPS induced prostaglandin H2 synthase (PGHS) activity in VSMC and the time course profile in the changes of PGHS activity paralleled that of total prostaglandin production. Differential treatment showed that 4 hours' exposure to LPS was enough for the maximum effect on the prostaglandin production and this effect was completely inhibited by the co-treatment of actinomycin D, a transcription inhibit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LPS effect might be determined within 4 hours. Actinomycin D increased PGHS activity without affecting prostaglandin production if added 4 hours after LPS treatment. On the other hand, cycloheximide, a translation inhibitor, augmented LPS-induced prostaglandin production if treated during first four hours, but it inhibited LPS-induced PGHS activity regardless of treatment schedule. These results suggeat the existence of multiple regulating mechanisms in the LPS-induced prostaglandin synthesis.
        4,000원
        29.
        199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separated and identified prostaglandin from garlic by TLC, HPLC, and Gc-Mass. In this experiment aimed at researching the effects of garic on body weight, and serum lipid, protein and glucose in male rats. The male rats applied in this work were 42 of Sprague-Dawley strain. In addition to basal diet, the worker administrated 4 groups of the experimental rats solutions which were 0.2 and 0.4ml of raw garlic juice, and of etanol garlic extract with together 2.5% cholesterol solution solved by corn oil for 8 weeks respectively. These results were as follows. 1. Separated and identified of Prostaglandin from garlic. 2. The growth rate of body weight and food efficiency ratio(FER) appeared to be more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s administrated ethanol garlic extract than raw garlic juice. 3. The content of serum total cholesterol apperaded to be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dministrated 0.4ml of ethanol garlic extract. 4. The level of serum HDL-cholesterol had a tendency to be more increased in all the experimental groups administrated garlic than control group. 5. The level of serum glucose appeared to be decreased in all the experimental groups administrated garlic, particularly ethanol garlic extract.
        4,500원
        36.
        198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재래산양(在來山羊)에 있어서 prostaglandin 의 투여(投與)가 황체퇴행(黃體退行)시에 야기되는 호르몬 함량의 변화(變化)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발정주기의 10일에 (Lutalyse) 5mg을 3시간 간격으로 2회 주사(注射)한 다음 경시적(經時的)으로 혈중(血中) 난소(卵巢) 및 뇌하수체(腦下垂體) hormone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재래산양(在來山羊)에 있어서 발정주기(發情週期)의 10일에 를 주사한 결과 혈중(血中) progesterone의 평균농도는 주사직전에 였으며 주사후(注射後) 3시간에 로 약 60% 감소(減少)하였으며 12시간에는 로 감소(減少)하여 72시간까지 1.02ng/ml 이하로 감소(減少)하였다. 혈중(血中) estradiol- 함량은 투여후(投與後) 6시간부터 유의(有意)하게(p < 0.05) 증가(增加)하여 72시간까지 유지되었다. 혈중(血中) LH함량은 주사직전에 였으며 투여후 3~12시간에는 증가(增加)하였으나 그후 24~72시간 사이에는 에서 로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혈중(血中) FSH 함량은 투여전 였으며 투여후(投與後) 3시간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72시간까지 유의차없이 약간 감소(減少)를 나타내었다. 혈중(血中) prolactin의 함량은 유의성(有意性)은 없었으나 투여후 약간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結果)에서 LH함량의 최초 증가는 혈장중(血漿中) progesterone의 감소로 기인된 것이며 성선척극(性腺刺戟) hormone의 분비형태(分泌形態)는 황체(黃體)의 퇴행시에 progesterone 또는 progesterone과 estradiol-의 함량비의 차이로 인하여 상위되었다고 본다.
        4,000원
        37.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쥐의 암컷에서 유리불포화지방산, 인지질, creatinine 및 prostaglandin의 혈액내 함량을 측정하여 실험 동물로써의 생리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또한 임신일수와 분만후 경과시간에 따른 이들 성분의 변화를 관찰하여 임신과 분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예비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5마리의 임신하지 않는 쥐를 대조군으로 하고 임신한 쥐 35마리를 5마리씩 7군으로 나누어 (5개의 임신군과 2개의 분만군) 100일 동안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쥐 암컷의 혈청내 유리불포화지방산 함량은 의 범위였고 각 실험군간에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임신21일군이 로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다. 2) 쥐 암컷의 혈청내 인지질 함량은 의 범위였고 임신21일군과 분만후 36시간군이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지만, 각 실험군 및 전체임신군과 전체분만군의 평균함량간에는 현저한 차이는 없었다. 3) 쥐 암컷의 혈청내 creatinine 함량은 의 범위였고 각 실험군간에 현저한 차이가 안정되지 않았지만, 임신21일군이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다. 4) 쥐 암컷의 혈액내 prostaglandin 함량은 로써 대조군()에 비하여 임신9일(), 12일() 및 15일()군 등이 낮은 수준인데 비하여 임신18일군()부터 대조군보다 증가되기 시작하여 임신21일군()과 분만후 12시간군()까지 계속 증가하여 최고수준에 달했으며 분만후 36시간군()도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은 수준이었다. 그리고 각 실험군간에는 현저한(p<0.01)차이가 안정되었고 특히 전체임신군의 평균함량이 로써 대조군에 비하여 낮았고, 전체분만군의 평균함량이 로써 대조군과 천체임신군의 평균함량보다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5) 쥐 암컷의 혈청내 유리불포화지방산, 인지질 및 creatinine 함량은 임신일수와 분만후 경과시간에 따라 큰 영향을 받지않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임신말기와 분만후에 약간의 변화가 있었다. 6) 쥐 암컷의 혈액내 prostaglandin 함량은 분만개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된다.
        4,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