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02

        381.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온도 및 광량이 고추냉이의 지상부 및 지하부 생장과 주요 병해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생장상의 온도를 10, 17 및 23℃ 처리구로 하고 차광처리조건을 25, 50 및 75%로 조절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유묘 정식 180일후 조사결과 초장은 생육온도에 따라 차이가 현저히 인정되었으나 17℃구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엽병의길이와 직경은 17℃구를 정점으로 이보다 온도가 높거나 낮음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지하경에 있어서 직경은 10℃, 23℃구간에서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으며, 17℃구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길이는 각 처리구별로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 역시 17℃구에서 가장 길었다. 차광처리 75%구가 50, 25%구에 비하여 지하경의 크기는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나 50%와 25%구의 처리간에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지하경의 직경과 무게에 있어서 75%구가 기타 처리구에 비하여 양호하였으며 전체 생체중은 75%, 50% 및 25%처리구간에서는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연부병과 묵입병의 발병률은 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되었으나 차광량이 많을수록 연부병과 묵입병의 발병율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4,000원
        382.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추의 양액재배에서 근권온도와 양액중 질소형태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3수준 (18℃, 22℃, 26℃의 근권온도에서 양액중 질소형태의 비율을 달리하여 (NO3-N/NH4-N = 10:0, 8:2), 고추의 생육, 수량, 광합성속도, 엽록소 함유율 및 근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초장, 엽수, 경경과 엽, 근의 생체중 및 건물중은 근권온도에 의한 영향은 없었으나, NH4-N의 첨가에 의하여 18℃, 22℃, 25℃의 모든 근권온도에서 초장, 엽수, 경경과 엽, 근의 생체중 및 건물중은 증가하였다. 고추의 과장은 18℃와 26℃의 근권온도에서 NH4-N의 첨가에 의하여 약간 길어지는 경향이었고, 주당 과수 및 수량은 NH4-N의 첨가에 의하여 모든 근권 온도에서 증가하였다. 광합성속도는 근권온도가 높아질수록 저하되었으나, NH4-N의 첨가에 의하여 18℃, 22℃, 26℃의 모든 근권온도에서 유의적으로 높아졌다. 엽록소 상대적함유량은 22℃의 근권온도에서 높아졌으며, NH4-N의 첨가에 의하여 18℃, 22℃, 26℃의 모든 근권온도에서 높아졌다. 근의 활성은 26℃의 근권온도에서 높아졌고, NH4-N의 첨가에 의하여 18℃, 22℃, 26℃의 모든 근권온도에서 높아졌다.
        4,000원
        383.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겨울철 파의 양액재배시 배양액 온도를 13, 18, 23℃로 처리하여 잎파의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수행하였다. 13-23℃ 범위 내에서 배양액 온도가 증가할수록 생체중도 증가하였다. 초장도 13℃보다 18, 23℃ 처리구에서 더 길었으며, 지상부, 지하부 건물율은 18℃ 처리구에서 가장 무거웠다. 식물체내 K의 함량은 18℃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Ca, Mg의 함량은 23℃보다 13, 18℃ 처리구에서 더 높았다. 비타민 C의 함량은 배양액 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Pyruvic acid 함량은 13, 18℃ 처리구에서 높았으며, nitrate의 함량은 반대로 23℃ 처리구보다 13, 18℃ 처리구에서 낮았다. 따라서 파의 생육과 품질을 고려한다면, 겨울철 파의 양액 재배시 적절한 배양액 온도는 18℃ 내외로 생각된다.
        4,000원
        384.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계 시설내 온도 및 광도가 고추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생장상내에서 인공적으로 온도 3수준(10, 20 및 30℃)과 광도 3수준(5, 15 및 25klux)을 7주간 조합 처리한 결과 나타난 생장반응은 다음과 같다. 1. 생장상내에서 고추 시묘의 초장, 엽면적 및 건물중의 생장은 30℃×25klux 처리구에서 가장 양호했고, 각 온도에서도 광도의 증가에 따른 생장의 증가반응이 뚜렷하였다. 2. 처리후 7주째의 생장량을 multiple regression polynomial로 수식화한 결과 초장, 엽수, 엽면적, 경건물 및 지하부 건물중은 수식고정이 적합하였다. 3. 지상부 건물중에 대한 다중 회귀식을 광도와 온도로 편미분한 이론치를 이용하여 단위온도 증가에 대한 단위광도의 향상도와 단위광도 증가에 대한 단위온도 증가의 반응표면을 도식화한 결과 저온화에서의 광도증가는 지상부 건물중 증가반응의 향상도를 크게 높였으나, 광도 10k1ux이하나 온도가 20℃이상에서는 온도의 역할이 더 크게 나타났다. 단위광도 증가에 대한 온도반응의 증가에서도 동일한 경향으로 나타나 온도와 광도의 강한 상보성을 나타내었다.
        4,000원
        385.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improved preservation of boiled-dried anchovies, the current preservation method of corrugated-cardboard box packaging and freezing below - 18℃ was compared to the nylon/polyethylene(NY/PE) packaging along with cooling temperature ranging from 5℃ to 10℃ as well as ambient condition for eight months by determining physicochemical quality of stored samples. Lipid oxidation of stored anchovies and their browning increased with storage time. The phenomenon was delayed under the conditions of lower temperature and air-tight packaging. As quality-indicative criteria of stored anchovies, carbonyl value(r=-0.989), browning (r=-0.949) and color a value(r=-0.989), browning(r=-0.965), Hunter's color b value (r=-0.949) and color a value(r=-0.940) showed a highly-negative correlations with organoleptic qualities of the samples. Based on the above results, air-tight packaging in a laminated film and subsequent storage at cooling temperature was found to be a possible alternative to the current freezing-storage of boiled-dried anchovies from the physicochemical point of view.
        4,000원
        386.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improved preservation of boiled-dried anchovies, the current preservation method of corrugated-cardboard box packaging and freezing below - 18℃ was compared to the nylon/polyethylene(NY/PE) packaging along with cooling temperature ranging from 5℃ to 10℃ as well as ambient condition for eight months by determining physicochemical quality of stored samples. Lipid oxidation of stored anchovies and their browning increased with storage time. The phenomenon was delayed under the conditions of lower temperature and air-tight packaging. As quality-indicative criteria of stored anchovies, carbonyl value(r=-0.989), browning (r=-0.949) and color a value(r=-0.989), browning(r=-0.965), Hunter's color b value (r=-0.949) and color a value(r=-0.940) showed a highly-negative correlations with organoleptic qualities of the samples. Based on the above results, air-tight packaging in a laminated film and subsequent storage at cooling temperature was found to be a possible alternative to the current freezing-storage of boiled-dried anchovies from the physicochemical point of view.
        4,000원
        387.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추 유묘의 생장, 광합성, 호흡 및 양수분흡수에 미치는 온도 및 주야변온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환경조절이 가능한 생장상내에서 실험을 수행한바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추육묘시 적온으로 생각되는 25℃에 비하여 온도가 12℃로 저하함에 따라 수분 및 N, P, K 양분흡수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며, 5℃에는 양수분의 흡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2. 엽의 광합성은 5℃에서 25℃까지는 점차적으로 증가되다가 25℃에서 최대광합성을 보였으며, 엽과 근의 호흡은 온도가 증가할수록 계속 증가하였다. 3. 지하부 건물중이 가장 높은 적정 주야온도조합은 주간 30℃와 야간 25℃로 나타났고, 주/야 온도 25/25℃, 30/15℃, 25/15℃, 15/25℃, 10/25℃ 간에는 큰 차이가 있었으며, 야간온도 5℃에서는 주간온도에 관계없이 지상부 건물중 증가가 거의 없었다.
        4,000원
        388.
        199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ffects of the extrusion temperature and die angle on the tensile properties of SiCIyAl composites in powder extrusion have been investigated. SiCP/Al composites were extruded at various extrusion temperatures (450, 500, ) under the extrusion ratio of 25 : 1. The ram speed was maintained at 13 cm/min for all the extrusion conditions. The surface of the extruded rod appeared to be smooth without tearing at 450 and 50, whereas it was very rough due to tearing at . It was found that the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of the composites extruded at are greater than those of composites extruded at This is due to the easier plastic deformation of composite extruded at , compared with the composites extruded at . The effect of die angle was examined under 20=60, 120, die angles at extrusion temperature of under 25:1 extrusion ratio.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omposites extruded with 20=approve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composties extruded with 28 : 120 and This is attributable to the higher extrusion pressure, which mixed composite powders could be densely consolidated at elevated temperatures, resulting from high friction force between billet and sliding surface of conical die.
        4,000원
        389.
        199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파굴파리의 발육단계별 특성을 조사한 결고, 20, 25, 에서 난기간은 4.5일, 2.9일, 1.9일, 유충기간은 12.7일, 5.8일, 4.5일, 용기간은 20.1일, 16.3일, 13.0이로 총성숙기간은 32.5일, 25.0일, 19.4일이었다. 이 결과는 토대로 계산된 발육영점온도는 난이 , 유충이 , 용은 였고, 유효적산온도는 난이 33.0일도, 유충이 86.1일도, 용이 293.6일도였다. 성충은 빛을 조사한 후 4시간 30분 이내에 77.5%가 우화하였고, 8시간 30분 이후에는 전혀 우화하지 않았다. 암컷의 수명은 8.5일, 수컷은 5.0일이었고 암컷의 산란기간은 6.8일이었다. 산란수는 165.8개, 흡즙혼수는 983.8개였다.
        4,000원
        390.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동계 무가온 3중 및 4중피복 plastic house내에서 고추를 육묘하여 이들 육묘환경조건에서의 고추유묘의 생장반응을 파악하고 육묘환경의 차이에 따른 묘의 소질과 정식이후의 생장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장, 엽수, 엽면적 및 각 기관별 건물중은 3중피복구가 4중피복구에 비하여 50%의 감소를 보였다. 가장 큰 차이는 엽면적으로 육묘기간중 3중에 비해 4중에서는 2-5배의 증가를 보여 육묘 환경의 차이가 고추유묘 생장에 현저한 영향을 미쳤다. 2. 3중피복구에서는 4중피복구에 비하여 생장초기부터 엽면적의 확보가 지연되었고, 이에 따라 고체생장율도 현저히 감소했다. 비엽면적(SLA)은 4중에서 3중에 비하여 엽의 두께가 얇았으며, 순동화율은 4중에서 생장초기에 증가하였다가 생장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나 3중에서는 파종후 6주후에 급격히 증가했다. 3. 엽면적과 전체건물중, 엽건물중간에는 직선적인 관계가 인정되었다. 그러나 엽면적과 개체생장율간에는 4중에서만 인정되었으며, 엽면적과 순동화율간에는 3중과 4중에 관계없이 직선적인 관계가 인정되지 않았다. 4. 파종후 6주째까지는 3중에서 엽으로의 건물분배가 많았고, 줄기와 뿌리로의 분배는 적었으며, 4중에서는 그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5. 고추의 분지수는 3중과 4중에 관계없이 지수함수적 증가를 보였고, 주당 과중은 직선적인 증가를 보였다. 4중에서 육묘한 고추의 분지수는 3중에서 육묘한 고추보다 현저히 많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더욱 뚜렷한 경향이었다. 6. 고추유묘의 형질중 정식후 고추수량에 기여하는 정도가 가장 큰 것은 유묘의 지상부 건물중으로서 고추육묘에 있어서 양묘의 기준은 유묘의 지상부 건물중으로 결정되었으며, 또한 묘의 소질과 수량과의 관련성이 크게 인정되어 동계 시설재배시 고추의 다수를 위한 고추육묘는 지상부 건물중 증가를 위한 환경관리의 중요성이 인정되었다.
        4,000원
        391.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계 무가온 다중피복 plastic house내 고추육묘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온도, 광도 및 지온의 변화를 노지와 시설내 피복별로 조사 분석하여 고추의 적정 육묘생장 환경과 실제 무가온 다중피복 plastic house내의 환경요인과의 관련성을 파악코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2월 20일부터 2월 25일 까지 P. E.필름으로 4중피복된 턴널내에서도 최저온도는 대부분 5℃를 보여 고추의 냉해온도에 대한 노출을 피할 수 없었고 이 기간에 최고온도는 대부분 33℃를 보였으며 극값은 42℃를 보여 다소간 환기의 필요도 인정되었다. 2. 피복이 증가할수록 온도 일교차가 크게 나타나 노지는 5-10℃를 보인 반면 피복내에는 16-38℃의 일교차를 보였다. 3. 저온기에 다중피복에 의한 보온효과는 뚜렷하였으나 4중피복하에서도 12℃이하의 온도출현이 많아서 고추 시설내 육묘시 냉해피해 가능성이 상존하며, 30℃이상의 고온출현회수도 200회 이상이었다. 4. 광도에 있어서도 피복이 증가할수록 광도는 감소하였고 온도증가는 크게 광의존성이었으며, 최저광도는 피복에 관계없이 고추의 광보상점 이하를 보여주었다. 5. 12월 20일부터 2월 중순까지 기온은 오전 10시 이후에야 고추의 생육한계온도인 10-12℃이상이 되었고, 오후 4시 이후에는 기온은 12℃이상이 되어도 광도가 급격히 낮아 고추유묘의 광합성 및 생장에 제한적일 것으로 사료되었다. 6. 시설내 최저지온은 동계 4중피복내에서도 10℃내외로서 고추생장에는 생리적 피해온도 범위에 속하였다. 7. 광주지방에 45년간 온도자료를 보면 노지 최저온도의 극값은 1월 5일에 -19.4℃를 기록하였으며 대부분 장기자료로부터 얻은 평균에서 ±5℃의 편차를 보였다.
        4,500원
        392.
        1994.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소화염법을 이용한 다이아몬드 박막합성시 기판표면온도 및 온도분포에 가장 크게 작용하는 공정변수는 탄화수소량을 결정하는 산소/아세틸렌 가스의 혼합비(R=O2C2H2)이다. 본 연구에서는 혼합가스비율 변화 (R=0.87-0.98)에 따른 기판표면온도 및 온도분포를 측정하고, 이들 변수에 따른 다이아몬드 박막의 생성 및 결정형상의 변화과정을 SEM관찰, Raman 분광분석 및 X-선 회절 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혼합가스비율의 증가에 따라 다이아몬드의 생성입자 수밀도는 감소하였고, 이와 동시에 결정형상도 (111)면과 (100)면이 혼재된 cobo octahedron형에서 octahedron인 (111)면으로 변화되었다. 한편, 기판온도증가에 따라 생성입자의 수밀도가 증가하고 성장속도도 빨라져 조대한 결정을 얻었으며, 생성된 입자형성은 (111)면애 지배적이다가 (100)결정면이 점차 많아지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4,000원
        393.
        1994.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icrowave플라즈마 화학 증착법으로 다이아몬드 박막을 증착하여 morphology변화를 관찰하였다. 기판 온도가 550˚C에서 750˚C로 증가함에 따라 다이아몬드 박막의 표면 morpholoty는 111에서 100, cauliflower형태로 변화하는 것과 함께, 증착층내의 nondiamond성분이 증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증착 층 내에 존재하는 nondiamond성분은 다이아몬드 입자의 입계에 분포하고 있음을 마이크로 Raman분석으로부터 추측할 수 있었다. 증착층의 texture orientation 을 X-선 회절 분석기로 확인한 결과, 550˚C에서는 증착층의 texture orientation이 관찰되지 않았지만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100>에서<110>으로 변화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4,000원
        394.
        199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aborato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gestion temperature on the settleability and dewaterability of anaerobically digested sludge. The digesters were operated at a hydraulic retention time of 20 days with a loading rate of 0.63~0.66kg volatile solids per cubic meter per day at the temperature of $35^{\circ}C$ and $55^{\circ}C$. A mixed primary and secondary municipal sludge was used as a feed. The interface height of the sludge during settling test was recorded to identify settleability. As a measure of dewaterability of the sludge, specific resistance and capillary suction time were also measured with and without chemical conditioning. Higher digestion efficiency was obtained at $55^{\circ}C$ than $35^{\circ}C$. However, the settleability and dewaterability of the sludge at $35^{\circ}C$ were quite higher than those of the sludge digested at $55^{\circ}C$. The optimum dosages of ferric chloride for sludge conditioning were 0.4% and 0.6% at $35^{\circ}C$ and $55^{\circ}C$, respectively. The filtrate COD of the sludge digested at $55^{\circ}C$ was higher than at $35^{\circ}C$, which means that poor dewaterability of the sludge result in high filtrate COD.
        4,000원
        397.
        199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acked cell volume(PCV) of Korean native goat, volume percentage of red blood cell in whole blood, was reshuffled of 20%, 40% and 60% using autoplasma, and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was measured in Westergren tubes at room temperature () and low temperature (). The sedimentation rates of red blood cell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s of Korean native goat are accelerated more at high temperature than low temperature. The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s of reshuffled Korean native goat upon time are almost linear for several hours. The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s of Korean native goat are settled faster at low PCV than higher PCV, i. e., there is a reverse relationshif between the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and packed cell volume.
        4,000원
        399.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온도가 담배나방 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8~ 사이의 7개 온도조건에서 인공사료를 이용하여 광주기 14:10 조건에서 사육하였다. 알, 유충, 용의 발육기간은 전체 발육기간에 대해서 각각 10, 48, 42% 정도를 점유하였다. 발육영점온도는 알, 유충, 용, 전체발육기간(알에서 성충까지)에 따라 각각 8.62, 12.65, 11.64, 였다. 평균발육속도를 Sharpe와 Demichele(1977)이 제시한 비선형모델에 적용한 결과 온도에 따른 발육특성을 잘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0.993~0.996), 발육기간분포의 특성을 알기 위하여 정규화한 누적발유기간분포를 Weibull분포에 적용한 결과 높은 적합성을 나타내었다(=0.987~0.999).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