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5

        41.
        198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42.
        198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초의 본포초기해충인 숯검은밤나방 유충의 경제적 피해수준 밀도를 정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연초이식전 포장내 유충밀도를 확정하기 위한 표본추출방법과 유충밀도와 연초감수량(품종 : Hicks)의 관계에 관하여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사과찌꺼기, 쌀겨 및 토끼풀더미의 표본추출방법중에서 토끼풀더미가 비교적 높은 표본추출효율을 보였으며 토끼풀더미는 유충의 령기와 실험시기에 따라 의 표본추출효율을 보였다. 2. 포장내잡초의 유무에 따라 표본추출효율은 차이가 있으며 령충을 공시했을 때 잡초가 없는 상태에서는 , 잡초가 있는 상태에서는 의 표본추출효율을 보였다. 3. 숯검은밤나방 유충밀도(X)와 피해율(D)의 관계는 였으며 피해율은 액아의 생장과 결주에 따른 연초개체군의 보상결과를 감안하여 보상피해율(D')을 구하였으며 의 치선회귀관계를 보였다. 4. 보상피해율(D')과 감사량(Y, kg/10a)의 관계는 였다. 5. 관측치만 이용한 접종충밀도와 감수량의 관계 (Y=2.68X) 보다는 피해율 및 보상피해율을 대입하여 얻은 추정회귀식(Y=4.2+1.38X)이 실측치에 더적합하였다.
        4,000원
        43.
        198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의 거세미류중에서 숯검은밤나방이 과연 우점종인가를 밝히고 그 가해기간 및 가해기의 유충령기를 조사하였다. 년의 조사결과 숯검은밤나방유충이 봄철에 채집된 거세미류중 약 이상을 차지하며 밭작물의 피해초기에는 대부분이 령충으로 가해기간은 약 개월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이 해충의 영명을 'dark grey cutworm'으로 명명하였다.
        4,000원
        44.
        198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76년 본해충을 실내사육하면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 마리당 산란수는 1202.0±150.6개 산란전기간 9.0±0.8일 산란기간 13.3±1.2일 산란후기간은 1.7±0.2일이었고 산란시기는 일몰후였다. 2. 유충은 5령형과 6령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5령형의 유충기간은 15.36±1.59일 용기간 7.82±1.01일 6령형의 유충기간은 16.92±1.08일 용기간 8.23±1.09일 이였으며 난기간은 2일 자성충 수명은 21.29±3.15일 웅성충은 19.14±2.47일이였다. 3. 령기별 두건은 5령형 2.77~21.89mm 5령형이 2.78~22.38mm였다. 4. 두건을 logarithum으로 변형했을 때 령기에 따른 두건의 증가는 5령형이 log y=0.228χ+0.228(r=0.997), 6령형이 log y=0.182χ+0.259(r=0.999)로 표현되어 고도의 정상관 관계였다.
        4,000원
        45.
        196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한국에서는 벼 밤나방 (Sesamia inferens Walker)이 중남부지방에서 발생하여 이화명충과 유사한 가해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유충태로 주로 지하부 도경에서 월동하고 년 2-3회 발생하였다. 2, 각 충태별 코기는 난이 , 유충이 , 용이 성충자아가 , 웅아는 였다. 3. 각충태별 기간은 각 화기에 따라 차가 컸으나 7-9월경인 2화기가 가장 짧았으며 그 기간은 란기일, 유충기 일, 용기 성충기 일였다. 4. 방제약제로는 Pot 시험결과 무처리 피해경율 에 대하여 m.Parathion G , EPNec, Diazinon G , Labaycid G 의 순으로 양호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4,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