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198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장내에서 실수조사에 의한 진딧물 발생상황과 살충제(Carbofuran 립제, Disulfoton 립제, Ortra 분제)의 약량을 달리한 파구처리효과를 검토해 본 결과 아래와 같다. 1. 콩에서는 싸리수염진딧물과 콩진딧물이 우점종으로 전자는 작물생육 초기와 후기에, 후자는 7월 중순(중기)에 밀도가 높았으며 황색수반에 유살된 싸리수염진딧물은 초기 및 후기 유살수가 높았으나 콩진딧물은 후기에 낮았다. 2. 입묘율은 Carbofuran구에서 높았고 Disulfoton과 Ortran구는 낮았으며 약해는 Carbofuran구에서 심하였으나 기타는 경미하였다. 3. 바이러스 이병율은 로 낮았으며 약제 및 약량간에 차이가 없었다. 4. Carbofuran, Disulfoton은 처리후 65일까지 진딧물 방제효과가 인정된 반면 Ortran은 51일부터 효과가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5. 수량은 약제 및 약량간에 차이는 있으나 일정한 경향이 없는 것은 생육말기의 도복이 큰 원인으로 생각된다.
        4,000원
        3.
        1981.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4.
        198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 숯검은밤나방은 1회 발생으로 9월하순이 최성기였고 짐거세미나방 및 거세미나방은 년 회 발생으로 1화 6월중순, 2화기 8월중순, 3화기 9월하순에 최성기를 보였다. 나, 거세미나방류의 각태별 기간은 숯검은나방은 난기간 6.3일 유충기간 327.1, 용기간 25.1, 성충기간 6.5로 유충기간이 길었고 검거세미나방은 난기간 4.2일, 유충기간 29.6일, 용기간 17.5일, 성충기간 5.2일 이었고 거세미나방은 난기간 5.6일, 유충기간 38.2일, 용기간 27.3일, 성충기간 5.7일이었다. 다, 거세미나방류는 배추의 잎이 축 늘어진 잎 뒷면에 산란하였다. 라. 거세미나방 유충의 토중 잠토 시기는 3령이후였다. 마, 거세미나방류의 천적으로는 고치별 1종과 맵시벌 2종이 발견되었다. 바, 거세미나방류의 방제약제로는 모캡 및 보라톤이 효과적이었으나 보라톤은 작물체에 직접 닿으면 약해가 유발되므로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4,000원
        5.
        198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명나방의 생태조사 결과 1. 조명나방은 1년에 3회 발생했으며 3화기 유충이 옥수수 그루터기나 줄기 속에서 월동, 이듬해 월에 번데기로 되었다. 2. 난기간은 일, 유충기간은 일, 용기간은 일, 성충의 수명은 일이었다. 9. 유충은 회 탈피후 용이 되었고 노숙할수록 령기간이 길었다. 4. 성충의 산란기간은 일 이었고 산란수는 약 개였다. 5. 조명나방의 지역별 옥수수 피해주율은 수원이 , 춘천이 , 평창이 였다. 6. 유충기생천적 2종, 난기생천적 1종이 조사되었고 유충기생율은 , 난기생율은 였다.
        4,000원
        6.
        198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76년 본해충을 실내사육하면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 마리당 산란수는 1202.0±150.6개 산란전기간 9.0±0.8일 산란기간 13.3±1.2일 산란후기간은 1.7±0.2일이었고 산란시기는 일몰후였다. 2. 유충은 5령형과 6령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5령형의 유충기간은 15.36±1.59일 용기간 7.82±1.01일 6령형의 유충기간은 16.92±1.08일 용기간 8.23±1.09일 이였으며 난기간은 2일 자성충 수명은 21.29±3.15일 웅성충은 19.14±2.47일이였다. 3. 령기별 두건은 5령형 2.77~21.89mm 5령형이 2.78~22.38mm였다. 4. 두건을 logarithum으로 변형했을 때 령기에 따른 두건의 증가는 5령형이 log y=0.228χ+0.228(r=0.997), 6령형이 log y=0.182χ+0.259(r=0.999)로 표현되어 고도의 정상관 관계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