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4

        41.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비선형성을 많이 내포하고 있어 수학적으로 모델링 하기 어려운 선박용 안정화 위성 안테나 시스템을 모델링하기 위해서, 신경 회로망의 오차 및 응답시간을 최소로 하는 최적 구조 신경 회로망 모델을 도출하고 이를 적용하고자 한다. 오차와 응답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신경 회로망 구조를 설계하였다. 안테나 시스템으로부터 얻어진 입출력 데이터에 거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식별기를 이용하여 안테나 시스템을 식별하였으며, 실제 선박의 운동 성분에 대해서도 시스템을 잘 표현할 수 있는 최적 구조 신경 회로 기반 시스템 식별기를 얻을 수 있었다. 실제 실험을 통해서, 최적 신경회로망 구조가 안테나 시스템 식별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42.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금까지 IMO를 비롯한 해운산업분야에서는 해상의 인명 재산, 해양환경보호에 항상 큰 관심을 가지고 해양사고예방을 위한 많은 노력들이 견주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크고 작은 해양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이 오늘날의 현실이다. 한편, 선박충돌사고는 수많은 원인이 서로 복잡하게 상호작용을 하고 있어서 사고예방대책마련에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선박충돌사고의 정량적인 분석을 위해서는 이들 상호작용요소간의 관계를 시스템적으로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지난 10년(1991-2000)간 국내에서 발생한 선박충돌사고에 대한 위험성을 분석하였고, 또한 사고발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위해요소(Hazard)인 인적요소(Human Factor)에 대해서 전문가집단의 의견을 수렴하여 FSM기법을 이용하여 인적 위해요소를 계층화한 후 각 요소 상호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써 인적요소에 의한 선박충돌사고의 발생과정과 각 계층에 속한 요소가 사고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고, 각 요소간 상호관계를 파악하여 사고예방대책마련을 위한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선박충돌사고의 인적요소 구조그래프를 제시하였다.
        43.
        200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선박매매사이트가 증가하고 있지만,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아주는 에이전트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사이버공간상에 흩어져 있는 선박정보를 손쉽게 찾을 수 있는 지능형 에이젼트의 설계 구조를 정의하는 연구로서 Wrapper 방식의 설계기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가 추구하고자 하는 것은 선박매매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매매대상 선박을 정보추출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선박정보를 선택적으로 추출, 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선박매매용 정보추출 에이전트의 기능을 시험적으로 설계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사이버 해운거래시스템이 실현되는 환경 하에서 이를 활성화하기 방안으로 B2B 선박매매 분야에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에이전트의 프로세스는 URL 읽기, 해당 URL 원시 데이터 가져오기, 태그처리 프로세스, 패턴분석 및 분석내용 저장하기로 구성되어 있음을 파악하였다. 또한 설계전략으로 "URL페이지 읽기" 프로세스와 "소스분석" 프로세스의 연계성 정도에 따라 분리시키거나 연계시킬 수 있음을 파악하였으며, 각각의 장단점이 비교 검토되었다.
        44.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선체구조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보강판 구조물의 동적 특성을 최적 변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유한요소법(FEM), 동적 감도해석법, 최적구조 변경법을 이용하여 보강판의 동적 특성을 최적화한다. 먼저, FEM을 이용하여 보강판 구조물의 동적 특성을 해석한다. 다음으로 설계변수의 변화에 따른 동적 특성의 변화율을 동적 감도해석법으로 해석한다. 감도해석법으로 구한 감도값과 최적구조 변경법을 이용하여 설계변수들의 변경 량을 계산한다. 보강판 구조물의 고유진동수의 변경을 목적함수로 하고, 보강판의 두께와 보강재의 단면2차 모우멘트를 설계 변수로 한다. 본 논문에서 이용한 최적구조 변경법이 보강판 구조물의 동특성을 최적화하는데 유용함을 보여준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