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

        41.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우리나라의 다문화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교사와 관련된 기존 연구의 동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관련 연구를 위한 향후 과제를 제안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과 ‘교사’를 주제어로 국내 선행연구를 검색하여, 2003년부터 2013년까지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에 발표된 학술논문 212편을 내용분석의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주제 측면에서는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교사의 개념 및 인식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연구대상의 측면에서는 유아교육 분야에서 관련 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으며, 연구방법의 측면에서는 양적 연구방법에 의한 연구가 주도적으로 이루어져 왔다는 점이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시사점으로, 본 연구는 연구주제의 다양화를 위한 학계의 노력이 요구되며 이를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기존에 널리 소개된 다문화교육 연구 분야의 주요 개념 및 사례를 한국적 맥락에 맞게 연구해 갈 필요가 있고, 연구대상의 확대를 위해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중·고등학교 다문화가정 자녀들과 관련이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연구방법 간의 균형을 위해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교사의 경험과 실천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가 확대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42.
        200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espite of the importance of horticultural education for children, the contents and process of it was seldomly studied as yet. Moreover, the current changes of horticultural education was not considered in 7th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is study analyzed the whole contents of horticultural education in practical art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questionnaire for inquiring the need or necessity of it. Horticultural contents are divided as outdoor gardening of flower, ornamental tree, and vegetable growing and indoor gardening of foliage growing, green interior and floral design. In the subject of "Flower growing", it need more flower varieties for stimulating five different human senses and easy growing plants for actualization of education. "Vegetable growing" need more affective domain of educational goal as nutritional problem of children and give more enjoyment of self growing as harvesting. The importance of "Foliage plant growing" should be emphasized more in the future as the changes of life pattern of children. Various kinds of green interior should be introduced more in the contents of "Foliage plant" and plants which are specially effective for purification should be emphasized. In the questionnaire, management or cognition of horticultural education as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s ver poor. The degree of satisfaction was very poor also and teachers specially want to incorporated hands-on activity and process based program as humanity education. The educational goal of horticultural education such as 'value and attitude" appeared most important among other goals. Indoor gardening and herbs treated most important categories in future focused curriculum of horticultural education.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