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79

        4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후변화 대응과 새로운 소득작물로 아열대작물이 도입되어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그린빈은 아메리카 중남부가 원산지인 콩과 작물로 미성숙 꼬투리를 다양한 요리에 이용하는데 최근 수요가 증가하면서 재배면적 이 확대되고 있다. 새로운 작물이 도입됨에 따라 안정재배를 위한 방제 대상 해충을 설정하기 위하여 재배시기별 해충 종류와 피해정도를 조사하였다. 4월 중순에 파종한 그린빈에서는 생육초기부터 총채벌레 발생이 많았으 며, 5월 하순 이후 발생밀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7월 상순에 파종한 그린빈에서는 8월 하순부터 아메리카잎굴파리 피해가 증가하여 9월 상순에 피해엽률이 50% 이상으로 발생이 심하였으며, 응애류와 총채벌 레류 발생이 많은 경향이었다.
        4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후변화와 세계시장 개방에 따른 외래 및 돌발해충의 종류는 다양해지고 밀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 만 발생 실태에 관한 자료는 미흡하다. 본 연구는 경남지역 돌발 및 남방계 해충의 발생과 피해조사를 위해 미국선 녀벌레, 썩덩나무노린재, 담배거세미나방 등 3종을 경남 18시·군에서 조사하였다. 미국선녀벌레는 약충기(6월), 성충기(9월) 조사를 진행하였고, 길이가 50cm 이상되는 가지의 밑동에서 위쪽으로 50cm 내 개체를 육안조사하 였다. 썩덩나무노린재는 콩 개화기(7월), 등숙기(9월) 조사를 진행하였고 지점당 집합페로몬 트랩 1개를 설치하 고 1주 후 채집된 마리 수를 조사하였다. 담배거세미나방은 성페로몬 트랩 1개를 설치한 뒤 1주 후 채집된 마리 수를 조사하였다. 미국선녀벌레는 의령, 함안, 함양 등에서 발생이 많았고, 전년대비 발생이 소폭 감소하였다. 썩덩나무노린재는 합천, 밀양, 함양 등에서 발생이 많았고, 담배거세미나방은 전시군에서 발생이 확인되었으 며, 특히 함양, 산청, 사천, 고성 등에서 밀도가 높았다.
        43.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 소나무림 내 나방류 곤충의 분포상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우리나라 산림면적은 634만 ha로 국토의 약 63.2%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중 소나무림의 면적은 총 156만 ha로 산림면적의 25.9%를 차지하고 있는 중요 수종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주요 소나무림의 나방류 조사를 위해 지형특성별로 동해안 산림, 내륙지대 및 해안지대로 먼저 구분하였고, 이들 지역 중 소나무림 19개소를 조사대상지로 선정하여 2021년 4월부터 2022년 9월까지 수행되었다. Moonlander Moth Trap과 버킷식 유아등 트랩을 이용하여 나방류를 채집하 였고, 본 연구에서 확보된 연구재료 이외에도 과거에 소나무림에서 채집된 한남대학교 동물분류학연구실 소장 나방류 표본을 포함하였다. 조사 결과, 총 32과 407속 589종의 나방류 곤충이 조사되었으며, 이 중 소나무를 섭식 하는 등 소나무류와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나방류는 총 10과 26속 30종으로 파악되었다.
        44.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ccurrence level of Metcalfa pruinosa, Halyomorpha halys, and Spodoptera litura was investigated in persimmon tree and bean cultivation fields in 14 cities and counties of the Jeonbuk region in June and July. Metcalfa pruinose was visually inspected, while Halyomorpha halys and Spodoptera litura were investigated by installing pheromone traps and counting the number of captured individuals once, seven days after trap placement. Metcalfa pruinose nymphs occurred in eight cities and counties, which showed an in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nd Halyomorpha halys nymphs had higher occurrences in the plains, with an average count of 5.5. The average count of Spodoptera litura was 26.7, which was lower than the previous year.
        45.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sects, including aphids, caterpillars, and beetl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biodiversity, ecology, and the economy by consuming various plant tissues like leaves, stems, and fruits, leading to issues such as holes, defoliation, and impaired growth. Consequently, our study's primary goal was to establish a model system capable of identifying and tracking insects, covering aspects like their behaviors, movements, sizes, and patterns. Our research has successfully produced a 3D monitoring system specifically designed for continuous insect tracking by applying it to brown planthopper. This technology allows for in-depth exploration of insect behavior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plants and crops. The potential applications of this technique are highly promising, offering valuable assistance to researchers in unraveling insect behavior and ecological dynamics and driving further advancements in these crucial research areas.
        46.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easonal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insect pests and their natural enemies were investigated in several Paprika greenhouses(different pest control histories). Even in the environmental-controlled greenhouses with natural enemies for controlling insect pests, there were differences in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insect pests and natural enemies by season. From March after planting, aphids and whiteflies(Myzus persicae and Bemisia tabaci) had partially occurred in all experimental greenhouses. During summer season, whiteflies and leaf mites primarily occurred and insect pest species occurred in this season were more diverse than the winter season. In the winter season, whiteflies predominantly occurred in both natural enemies and pesticide-treated Paprika greenhouses. Predatory mite, Amblyseius swirskii was difficult to maintain their populations under an average temperature below 18℃ and relative humidity below 60%.
        47.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유기농 생태농업단지 논에서 출현하는 수서곤충의 생태자원 분포 특성을 비교하고자 유기농 단지 논에 둠벙 이 있는 조건과 둠벙이 없는 조건에서의 수서곤충상을 조사하여 관행 논의 분포 특성을 비교하였다. 수서곤충 출현은 둠벙이 있는 유기농 논 5목 15과 26종 413개체, 둠벙이 없는 유기농 논 5목 14과 22종 236개체, 관행 논 5목 11과 16종 155개체로 유기농 논에서 관행 논에 비해 수서곤충의 출현 과, 종 및 출현 개체수가 많았고, 유기농 논에서도 둠벙이 있는 조건에서 종수 및 개체수가 많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잠자리목의 경우 유기농 논 4과 8종 134개체, 둠벙이 없는 유기농 논 3과 5종 35개체, 관행 논 2과 4종 12개체로 전체 출현 종의 발생특성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는데, 유기농 재배의 특성상 농약의 피해로부터 수서곤충에 안전한 환경이 조성된 점과 둠벙의 담수 및 다양한 수서생물의 발생으로 수서곤충의 서식조건에 유리하게 작용되었다고 보인다. 반면 파리목에서는 둠벙이 있는 유기농 논 3과 3종 18개체, 둠벙이 없는 유기농 논 3과 3종 25개체로 관행 논 2과 2종 24개체보다 발생양상이 다른 수서곤충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고, 관행 논보다 깔다구류의 개체수 19개체보다 각각 6개체, 12개체로 적게 출현한 점에서 유기농 재배유형과 둠벙의 서식처 제공이 수서곤충의 출현 및 분포에 건전성을 조장하는 방안이라고 판단된다.
        48.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유기농 논이용 콩-밀 생산체계에서 재배유형별 밀 파종 전 경운여부에 따라 경운/무경운 처리, 콩 재배시 비닐 피복 여부에 따라 피복/무피복 처리, 논의 생태적 개선 여부에 따라 개선/대조구 처리로 시험구를 조성하여 밀 재배 중 곤충자원의 출현 및 분포특성을 조사 비교하였다. 출현 곤충의 총 종수는 20종으로 경운 14종, 무경운 14종으로 차이는 없었고 피복 14종, 무피복 16종이었으며 개선구 18종, 대조구 13종으로 개선처리에서 곤충 출현 종수가 많았다. 출현 곤충의 총개체수는 경운 124개체, 무경운 76개체로 경운처리에서 많았고, 피복 100개체, 무피복 100개체로 차이가 없었으며 경운-무피복-개선에서 40개체로 가장 많았다. 유기농 밀에 피해를 주는 해충 으로 노린재류는 갈색날개노린재가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메추리노린재, 시골가시허리노린재도 출현하였으 며 재배유형별 발생 개체수는 경운 81마리, 무경운 39마리로 경운에서 많았고, 무경운-피복-대조(7) = 무경운-무 피복-대조(7) < 무경운-무피복-개선(9) < 경운-피복-개선(12) < 경운-무피복-대조(13) < 무경운-피복-개선(16) < 경운-피복-대조(27) < 경운-무피복-개선(29) 순으로 발생하였다.
        49.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ccurrence status of eggs and adults of Pochazia shantungensis, Lycorma delicatula, and Lymantria dispar was investigated in the Chungcheongbuk-do reg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wintering eggs of P. shantungensis occurred in 24.2% of the region in 2021 and 22.1% in 2022, while adults occurred in 25.2% in 2021 and 24.3% in 2022, indicating the highest occurrence among the pests studies in this research. The occurrence of overwintering eggs of L. delicatula was relatively low, with 2.6% of the region affected in 2021 and 1.9% in 2022. Adults of L.delicatula occurred in 3.2% of the region in 2021 and 3.6% in 2022, while they were not undiscovered in Jeungpyeong, Jincheon, Goesan, and Danyang areas. Their area of occurrence was less than 3% of the region, and the volume of occurrence was not very large. Overwintering eggs of L.dispar occurred in 4.1% of the area in 2021 and 1.7% in 2022, showing a decreasing tendency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nd their occurrence was only low to middle in terms of the degree of occurrence.
        50.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강원특별자치도 18개 시군을 대상으로 감나무와 콩에 발생하는 미국선녀벌레, 썩덩나무노린재, 담배거세미 나방의 발생을 조사하였다. 돌발해충인 미국선녀벌레는 약충기인 6월과 성충기인 10월에 발생조사를 진행하고 남방계해충인 담배거세미나방과 썩덩나무노린재는 7월과 9월 콩 재배기에 발생조사를 진행하였다. 미국선녀 벌레는 강원지역에 있는 감나무에서 발생을 확인할 수 없었고. 감나무 주변 기타 수목에서 가지당 평균 6.7마리 발생하였다. 담배거세미나방은 7월, 속초를 제외한 모든 시군에서 발생이 되었으며, 춘천, 횡성에서 트랩당 60마 리가 넘는 발생밀도를 보였으며, 원주, 강릉, 화천 등 에서는 트랩당 1마리로 낮은 발생밀도를 나타냈다. 썩덩나무 노린재는 7월 춘천, 속초, 홍천 등 7개 시군을 제외한 11개 시군에서 트랩에 포획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화천에 서 트랩당 26마리로 최고발생밀도를 보였다.
        5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닭 사체를 이용하여 장소, 기온, 습도별 시식성 곤충상을 파악하기 위해 대전광역시 전민동 일대의 3개의 장소 를 선택하여 닭 사체별로 유인되는 곤충의 종류와 군집 상의 차이와 출현양상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닭 사체에 유인되는 곤충을 주기적으로 채집하고 해당 일자의 온도와 습도를 조사하여 기록했으며, 채집한 곤충들은 외부 형태적 특징으로 분류하고 개체수를 확인했다. 조사결과, 딱정벌레목과 파리목의 개체가 가장 많았고, 그 외에 바퀴목, 벌목, 노린재목 분류군에 속하는 다양한 곤충들이 유인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법곤충 시식성 곤충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결과를 종합정리하였다.
        5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martphone camera quality has been progressing alongside the advancement of the smartphone market. Consequently, there has sparked interest in macro photography of insects using smartphones either through using built-in "macro mode" or accessories like macro lenses, mounts, and auxiliary lighting. However, some limitations have become apparent, including challenges in capturing small insects, a short focal distance of no more than 10 cm, a narrow focus range, and lower image quality compared to dedicated cameras. We introduce an effective knowhow to these problems when taking pictures of insects in the field using a smartphone. And it provides a manual for tele-macro photography in the field,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smartphone and accessory development.
        53.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Understanding the landscapes and the elements that make up the landscapes can help us understand the entire natural ecosystems and biodiversity. Landscape ecology has been studied since the past. however, many studies are conducted on single landscapes, and comparative studies between landscapes are few. We compared insect species diversity and community structure within a single plant community across landscapes and habitat. Additionally, identify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diversity. Our results showed that above-ground and below-ground insect communities were clearly distinguished. Additionally, species diversity was high below-ground in all landscapes. Insect community structures across landscapes did not differ in above-ground. However, below-ground, the urban was differentiated from the forest and agricultural land. We identified the urbanization indices GMIS and PHBASE as factors responsible for these difference.
        54.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이식에 강하고 도심 환경에서의 스트레스에 강한 저항성을 지니고 있으며 병해충이 많이 없는 것으로 알려진 대왕참나무가 가로수 및 조경수로 많이 식재되고 있다. 하지만 대왕참나무의 식재량이 증가하면서 일부 지역에서 해충 피해가 보고되고 있고 이들에 대한 관리 대책 마련이 시급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왕참나 무의 식재 환경에 따른 해충 발생 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2022년부터 2023년 동안 7~8월 중에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육안조사법과 고지 가위를 활용하여 줄기와 잎에서 해충의 종별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대왕참나 무의 식재 환경은 도로변과 공원으로 구분하였고, 서울, 성남, 춘천, 원주, 여수, 함안, 창원 지역을 대상으로 진행 하였다. 조사 결과 총 20과 34종 1,126개체가 관찰되었으며 그 중 가로수에서 15과 18종 699개체가 관찰되었고 공원 지역에서 17과 27종 427개체가 관찰되었다. 가로수에서 나비목과 노린재목 해충이 더 많았으며 공원에서는 딱정벌레목 해충이 더 많았다.
        55.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ince the importance of integrated pest management to minimize environmental damage and maximize pest control effectiveness has emerged, efforts to put it into practice have continued. To implement IPM,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economic injury level to determine the control method by identifying pests and weeds that damag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crops in the field, investigating the occurrence level, and calculating the ratio of cost and effectiveness. Also, damage to host plants caused by increased density of insect pests appears to change plant’s health that key factor for managing crops. Therefore,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nsity of pests and the damage to the host plants is necessar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density of insect pests and damage to the host plants for estimating the economic injury level of insect pests on the host plants and investigating the possibility of pest control decision-making using plant health status.
        56.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후변화 위기에 대응하기 위하여 대한민국은 2030년까지 신재생연료 혼합비율(Renewable Fuel Standard, RFS)을 3.5%에서 8%까지 상향하기로 결정하였다. 국내에서 제조되는 신재생연료의 원료가 되는 바이오매스의 60%이상이 해외에서 수입하는 실정이며, 2030 탄소중립 및 RE100과 같은 바이오연료 사용증가 정책의 확대로 인하여 국내에서 제조되어 활용가능한 바이오매스의 확보가 절실하게 필요하다. 곤충은 높은 비율의 단백질과 지질을 체내에 저장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곤충의 대량사육을 통하여 지질의 대량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곤충의 대량사육환경에서 제조되는 지질을 원료로 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바이오연료로의 전환 제조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촉매공정을 통하여 디젤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수첨바이오디젤을 제조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곤충지질을 활용하여 수첨바이오디 젤로 전환가능함을 확인하였다.
        57.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해충에 이용되는 화학적 기피제는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으며 내성을 가진 생물체로의 진화를 촉진한다. 같은 종의 생물끼리의 의사소통 수단인 페로몬을 이용하면 다른 종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특정 곤충에 특이적 으로 작용하는 방충제를 제작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는 초파리(Drosophila)의 페로몬 2종류를 추출 하여 초파리의 기피도 및 유인도와 번식률을 확인하고자 한다. ℃, 광주기 12h/12h의 동일한 조건에서 사육하 며 10마리당 헥세인 10를 사용하여 암컷의 표피에서 CHC 페로몬과 수컷의 페로몬샘에서 cVA 페로몬을 추출 한다. 연령, 성별, 교배 여부에 따라 관찰통에 각각의 페로몬을 처리하여 지정구간에 분포하는 초파리의 수를 계수하여 기피도 및 유인도를 확인한다. 관병에 암수 1쌍을 투입하고 하루에 1번 선정한 페로몬을 투여하며 산란 수을 측정한다. 이 연구를 통해 CHC가 수컷 초파리에 대한 기피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추출되는 수컷의 연령이 높을수록 cVA에 의한 번식률 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페로몬을 통한 초파리의 방제 가능성 을 확인하였으므로 다른 곤충의 방제에도 적용할 수 있을 거라 기대한다. 페로몬은 생물 농축과 같은 환경적 영향이 없으며 소량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상용화를 통해 해충에 의해 피해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58.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mmune priming is an increased immunity after prior exposure to a specific pathogen as a kind of adaptive immunity and occurs in insects. However, its underlying mechanism is elusive in insects. Immune priming was detected in a lepidopteran insect, Spodoptera exigua. Prior infection with a heat-killed pathogenic bacterium, Xenorhabdus hominickii, increased survival upon the second infection of the live bacteria compared to larvae without pre-exposure. Plasma collected from larvae with the prior infection significantly up-regulated cellular and humoral immune responses compared to the similar treatment without prior exposure. However, when the active plasma exhibiting immune priming was heat-treated, it lost the priming activity, suggesting a presence of protein factor(s) in the immune priming. Lipocalin is a lipid carrier protein and is well known in vertebrates for diverse physiological functions including immunity. An apolipoprotein D3 (ApoD3) is known to be a lipocalin functioning in immune priming in a mosquito, Anopheles gambiae. A homologous ApoD3 (Se-ApoD3) was identified in S. exigua. Se-ApoD3 was expressed in all developmental stages and larvae, it was highly expressed in hemocytes. RNA interference (RNAi) of Se-ApoD3 expression was performed by injecting its specific dsRNA. The larvae treated with the RNAi were impaired in cellular and humoral immune responses. Furthermore, the plasma collected from RNAi-treated larvae lost the immune priming even at the prior exposure. These suggest that Se-ApoD3 mediates the immune priming in S. exigua.
        59.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wo bacterial genera, Xenorhabdus and Photorhabdus, are mutually symbiotic to the entomopathogenic nematodes, Steinernema and Heterorhabditis, respectively. Success parasitism of the nematode-bacterial complex depends on the host immunosuppression by the bacteria via their secondary metabolites. Lrp (Leucine-responsive regulatory protein) is a global transcriptional factor of the bacteria and play a crucial role in the parasitism. However, its regulatory targets to suppress the insect immunity were not clearly determin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gulatory target genes and subsequent secondary metabolites by Lrp in Xenorhabdus hominickii. Lrp expression occurred at the early infection stage in a target insect, Spodoptera exigua. Among eight non-ribosomal peptide synthetase (NRPS1-NRPS8) genes, six gene (NRPS3-NRPS8) expression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Lrp expression in the infected larvae of S. exigua. Exchange of the Lrp promoter with an inducible promoter altered the production of the secondary metabolites along with alteration of the NRPS expression levels. The immunosuppressive activities of X. hominickii depended on the Lrp expression level. The metabolites produced by Lrp expression possessed the eicosanoid-biosynthesis inhibitors and hemolytic factors. A cyclic dipeptide (= cPF) was produced under Lrp control and identified to inhibit phospholipase A2 activity of S. exigua in a competitive inhibitory mann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Lrp is a global transcriptional factor of X. hominickii and plays crucial role in insect immunosuppression by modulating NRPS expressions.
        60.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any insects form mutualistic relationships with microbial symbionts, crucial for their physiological processes. The bean bug, Riptortus pedestris, establishes a unique gut symbiosis with the genus Caballeronia and consistently acquires these symbionts from surrounding soil with each generation. As a result, the bean bug unavoidably consumes a variety of environmental microbes, including potential pathogens. To address this, the bean bug has developed a specialized organ in its midgut that selectively filters out non-symbiotic microbes, thereby preventing contamination of its symbiotic organ. In this study, we identified a pathogenic strain from the genus Burkholderia that lethally affects the bean bug post-invasion of the symbiotic organ. This pathogen employs a strategy of mimicking the motility of native symbionts to infiltrate the symbiont sorting organ and displays a pronounced resistance against antimicrobial agents produced by the host. Upon establishing itself in the symbiotic organ, the pathogen breaches the midgut cells, leading to host mortality, and subsequently disperses into the external environment. Our findings unveil a cunning pathogenic tactic that exploits the mimicry of native symbionts within an insect's symbiotic framework.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