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8

        41.
        2003.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inbred 마우스 (C57BL/6J)의 수정란을 이용하여 형질전환마우스를 생산할 때, 수정란이식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C57BL/6J 및 BCF1 마우스로부터 과배란처리 방법에 의해 수정란을 얻고, DNA를 1 세포기 수정란에 미세 주입한 다음, 1세포기 또는 2 세포기의 수정란을 가임신된 마우스의 한쪽 또는 양쪽 난관에 각각 이식하였다. 1세포기의 수정란을 0.75 d.p.c. 가임신된 마우스의 한쪽 난관에 이식했을 때, 임신율이 C57BL/6J는 68.8±7.83%, BCF1은 48.3±14.22% 이었고, 이식한 수정란 당 산자의 발달율은 C57BL/6J가 11.9±5.51%, BCF1은 10.5±8.03%로 성적이 저조하였다. 그러나, 2세포기의 수정란을 0.5 d.p.c. 가임신된 마우스의 양쪽 난관에 이식했을 때, 임신율이 C57BL/6J는 94.4±9.64%, 13CFl은 100±0% 이었고, 이식한 수정란 당 산자의 발달율은 C57BL/6J가 22.1 ±0.4%, BCF1은 21.8±0.38%였다. 따라서 C57BL/6J 마우스의 2세포기 수정란을 0.5 d.p.c. 가임신된 마우스의 양쪽 난관에 이식하는 것이, BCF1마우스와 유사한 성적을 얻어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여러 가지 있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C57BL/6J 마우스의 2세포기 수정란을 0.5 d.p.c.가임신된 마우스의 양쪽 난관에 이식하는 방법이 다른 방법보다 형질전환마우스를 생산하는데 효율성이 더 높은 것으로 본 실험에서 확인되었다.
        4,000원
        42.
        2003.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형질전환 동물의 유선에서 특이적으로 인간 TPO가 발현되도록 고안된 pBT-L 외래유전자가 삽입되어 한 계통으로 확립된 형질전환 생쥐에서 이 유전자가 장기 세대까지 안정적으로 전이되고, 또한 발현 수준도 지속적으로 유지되는지를 조사 하였다 이를 위해 제 5세대의 수컷 pBT-L 형질전환 생쥐를 실험에 공시하였고, 제 10세대까지의 전이율과 인간 TPO의 발현수준을 분석하였다. 제 8세대 생쥐의 계대 번식에 의한 자손 중 51.3±18.98%가 형질전환 생쥐로 판명되었다. 또한 제9세대에서 외래 유전자의 전이율은 43.8±18.98%이었고, 제 10세대에서는 71.4±26.98%의 전이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pBT-L 형질전환 생쥐는 그 외래유전자의 유전적 손상이 없이 장기 세대까지 안정적으로 전이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제 9세대외 10세대의 3마리의 암컷 형질전환 생쥐로 부터 유즙내 인간 TPO의 발현 수준을 분석하였을때, 그 농도는 모두 평균 1.1 mg/ml의 수준에서 측정되었다. 이러한 수준은 제 2세대의 것과 유사한 결과로 pBT-L 형질전환 생쥐에서 인간 TPO 유전자의 발현은 최소한 10세대까지 지속적으로 유지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더 긴 장기 세대까지도 발현 수준이 유지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계통으로 확립된 형질전환동물에 부여된 새로운 유전형질은 장기 세대까지 유전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4,000원
        44.
        2002.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hormone resistin is associated with typeII diabetes mellitus in rodent model. Resistin impairs glucose tolerance and insulin action. A new class of anti-diabetic drugs were called thiazolidinediones (TZDs) downregulates a resistin which is induced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But the connection between increased adiposity and resistin remains unknow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to clone a mouse resistin cDNA and to generate transgenic mice overexpressing mouse resistin gene. The 555 bp of mouse resistin was amplified from mob cDNA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cloned into pCR(R)/ 2.1 TOPO T-vector. Mouse resistin mRNA on the basis of Genbank sequence (acession no. AF323080). Then, the PCR product was cloned into pTargeTTM/ mammalian expression vector that has pCMV promoter and chimeric intron. Restriction enzyme analysis with BamH I and Not I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an orientation of the insert in the vector. The pCMV-mus/resistin gene was prepared from previous recombinant pTargeTTM/-mus/resistin by digestion of Bgl II, and has used for microinjection into pronuclei of one cell embryos. The microinjected embryos were transfered to pseudopregnant foster-mother. Mouse resistin expression was detected in transgenic F1 mice by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Resistin gene expression mouse has heavier body weight which was measured higher level of plasma glucose than that of normal mouse. And in diet-induced experiments, the abdominal fat pads were isolated from each 24h starvation and re-feeding after fasting group mice that were assessed by RT-PCR analysis. In fasting group mice, resistin expression was higher than that of re-feeding group mice.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resistin gene overexpressing mice may be became to obesity and be useful as an animal disease model to be diabetes mellitus caused by insulin resistance of resistin.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