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5

        41.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proposes a FE model updating strategy based on data fusion of acceleration and angular velocity. The use of acceleration and angular velocity gives richer information than the sole use of acceleration, allowing the enhanced performance particularly in determining the boundary conditions. A numerical simulation is presented to demonstrate the proposed FE model updating approach using the data fusion.
        43.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건축물의 실시간 피드백 진동제어를 위한 기초연구로써, 자체 기술력을 바탕으로 개발된 무선 가속도센서 시스템 및 프로토타입 (Prototype) AMD 시스템을 결합하여 피드백 진동제어 시스템을 구성하고, 모형 건축물을 대상으로 구성된 제어시스템의 기초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우선 MEMS 센서 소자 및 블루투스 통신 모듈 기반의 무선 가속도 센서 유닛, 실시간 가속도 응답획득 및 제어법칙에 근거한 제어출력을 구현하도록 구성한 운영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였다. 또한 AC 서보모터를 이용해 기동되도록 설계한 프로토타입 AMD 및 모터 드라이버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이용해 실시간 피드백 진동제어 시스템을 구성하였고, 2층 모형 건축물을 대상으로 실험실 규모의 진동제어 실험을 수행하여 목적된 구조물의 진동저감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실험의 결과, 모형 구조물의 1차 및 2차 공진주파수 그리고 랜덤주파수 등의 실험조건에서 명확한 진동저감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종국적으로 본 논문에서 개발한 무선 가속도센서 시스템 및 AMD 시스템이 향후 여타 구조물의 진동제어를 위한 효과적인 수단으로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44.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외생균근은 접종 3일 후 뿌리방향으로 이동하여 접종 5일 후 균사가 뿌리 표면에 감염되어 균사 다발이 뭉쳐진 상태를 나타내었다. 균근 감염 6~9일 후에는 균사가 토양 전면에 퍼졌다. 균근 감염 9~14일 후 균사가 뿌리를 감싸기 시작하였다. 균근 감염 15~19일 후 균사는 뿌리의 외피를 감싸고 피층 세포 사이로 침입하여 균근을 형성하였다, 균근이 형성된 후에는 새로운 뿌리가 형성되었으며 균근이 뿌리에 활착되어 Y자형으로 뿌리 끝이 부풀면서 균근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해송의 생장이 촉진되었다. 해송(P. thunbergii)을 파종하여 외생균근 균인 모래밭버섯(P. tinctorius)과 황소비단그물버섯(S. bovinus)을 접종하여 4개월 생장한 결과, 대조구는 줄기 길이가 7.4cm인 반면 외생균근 균인 모래밭버섯(P. tinctorius)을 접종한 것은 11.4cm로 34.2% 생장이 촉진되었고, 외생균근 황소비단그물버섯(S. bovinus)을 접종한 것은 10.5cm로 28.6% 생장이 촉진되었다. 이외에도 줄기와 잎의 개체수가 많아졌다.
        45.
        200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shortening spring barley cultivation into three generations a year under field and unheated (vinyl or glass) greenhouse conditions in Iksan, Korea. Two-rowed spring barley varieties, Jinyangbori and Do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