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

        41.
        200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진딧물에 기생하는 한국산 진디벌에 관해서 국내외의 문헌기록을 중심으로 정리하여 10종의 학명은 잘못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재정리한 결과 한국곤충명집에서 41종이었던 진디벌은 총 62종으로 확인되었다. 이들을 속과 종에 따라 알파벳 순으로 정리한 뒤, 각 종에 대해 기주 진딧물을 명시하였고 가능한 경우 기주가 채집된 식물도 정리하였으며, 기주 진딧물별로 기생하는 진디벌을 배열하였다.
        5,400원
        42.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매미나방(Lymantria dispar)에서 추출된 카이로몬을 이용하여 난기생천적인 짚시알깡충좀벌(Ooencyrtus kuvanae)에 대한 유인성을 olfactormeter로 측정하였다. 매미나방알의 인편과 털에서 추출한 카이로몬은 79.9%의 유인성을 나타내어 알에서 추출한 카이로몬의 67.6%보다 높은 유인력을 나타내었다. 짚시알깡충좀벌의 탐색시간은 인편과 털의 추출물에서 115.5초 인편과 털을 제거하지 않은 알에서 113.2초로 유사하였다. 정상적으로 산란된 기주알에 대해서는 91.0%가 유인되어서 난소에서 적출한 미성숙알의 15%보다 크게 높았으며 탐침까지의 시간은 84.2초로 난수에서 적출한 알의 114.0초보다 짧았다. 생식부속샘에서 분비되는 접착물질은 88%로서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고, 탐색시간은 89.2초, 최초탐침시간은 26.8초를 나타냈다. 6종류의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카이로몬을 대상으로 짚시알깡충좀벌의 유인도를 조사한 결과 n-hexane의 추출물에서 가장활발한 반응을 나타냈으며 자연난에서 우화한 것이 인공난에서 우화한것보다 3배이상 높은 반응을 보였다.
        4,000원
        43.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짓딧물 중기생 금좀벌 9종을 보고한다. 이중 Ardiles convexa (Walker, 1833)와 Asaphes vulgris Walker, 1834의 기록은 의문시 된다.
        4,000원
        44.
        199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7년 5월부터 9월 사이에 대전근교의 콩에 기생하고 있는 콩진딧물에서 진디벌에 기생당한 mu-mmy를 채집하여 진디벌과 중기생벌에 관한 생물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진딧물의 진디벌에 대한 기생율, 진디벌과 중기생벌의 기주선택, mummy형성수와 형성 비율, 주요 진디벌과 중기생벌 종의 수명 등을 조사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77개의 채집된 진딧물 mummy 중 진디벌은 27.1%m 중기생벌은 50.3%였다. Aphidius cingulatus, Ephedrus persicae, E. plagiator가 콩진딧물에 기생하고 있는 진디벌의 주요 종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진디벌에 기생하고 있는 중기생벌들 중에 A. vulgaris, A. convexa가 우점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기생벌중 Charios brasicae는 한국 미기록종이었다. E.plagiator가 다른 콩진딧물에 기생하는 진디벌에 비해 중기생벌에 적게 기생되었다. 기생능력은 A. cingulatus 보다 E. plagiator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디벌과 중기생벌의 수명은 중기생벌이 3일~29일, 진디벌은 1일~4일로 추정되었다.
        4,000원
        45.
        199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ce 1975, the studies on in vitro rearing Trichogramma spp., Anastatus japonicus Ashmead, Telenomus dendrolimusi Chu, Dibrachys cavus Walker, Habrobracon hebetor(Say), Bracon greeni Ashmead have been conducted successfully in China. The simulated “host-eggs" are made of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semispherical capsules, containing artificial diets, in which insectan pupal hemolymph is the main component. Manufacture of simulated “host larvae" are made of small rectangular parafilm of cotton-paper bags, containing artificial diets with insectan pupal hemolymph as the main component. Mass production of in vitro reared Trichogramma spp. and Anastatus japonicus and its utilization in the fields showed good effectiveness in controlling cotton bollworm, pine caterpillars, sugarcane borers and litchi stink bug.
        4,000원
        46.
        198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감자, 가지등 가지과 작물을 가해하는 해충인 큰 28점박이 무당벌레를 1983년 1986년까지, 매년 6월부터 9월까지 채집하였고, 이들을 공격하는 기생천적의 종류, 각 기생천적에 따른 기주곤충의 령기별, 월별 기샐률이 조사되었다. Nothoser plus afissae (Watanabe), (벌목:Proctotrupidae), Uga menoni(Kerich)(벌목:수중다리 좀벌과), Pedipbius foveolatus (Crawford), (벌목:좀벌과) 등 3종류의 기생천적이 큰 28점박이 무당벌레를 공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N. afissae는 2령~4령때 채집한 유충에 기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3령때 채집한 기주에서 가장 높은 기생률로 나타났으며, 유충때, 기생해서 번데기때 우화하는 U.mononi의 경우 3령-번데기때 채집한 기주에 기생된 것으로 조사되었고, 번데기 때 재칩한 기주에서 높은 기생률을 나타냈다. N.afiss와 U.mononi는 6월뷰터 9월가지 전 조사기간에 걸쳐서 기주를 공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N.afissde 는 조사된 다른 기생천저등에 보다 기생률이 월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U.mononi의 겨우는 7월에만 높은 기생률을 나타냈다. P.foveolatuss는 다른 두 종류의 기생천적과는 달리 다매발생하는 것으로 남부지방에서는 8월초부터 출현하나, 경기도 지역에서는 9월초에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기생된 큰28점박이 유충 1개체로 부퍼 평균 13.8개체의 성충이 우화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
        47.
        198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필리핀에 있는 국제미작연구소(國際米作硏究所) 논 포장(圃場)에서 이앙(移秧)후 일(日) 된 묘(苗)에서 Scirpophaga incertulas의 난(卵)을 1984년(年) 7월 부터 10월 까지 채집(採集)하여 난기생봉(卵寄生蜂)의 기생율(寄生率) 및 생태(生態)를 조사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ScirpoPhaga incertulas 의 난(卵)에서 나온 벌목 천적(天敵)으로 Tetrasticus schoenobii, Telenomus rowani, Trichogramma japonicum 3종(三種)이 발견(發見)되었고 기생봉(寄生蜂)의 생물적(生物的)인 습성(習性)에 기초(基礎)를 둔 기생율(寄生率) 계산(計算)방법을 소개하였다. 난기생봉(卵寄生蜂) 3종(三種)의 공기생(共寄生) 조합(組合)은 T. rowani+T. japonicum 조합(組合)이 가장 많았고 T. rowani 는 단기생성(單寄生性) 천적(天敵)으로 우화성충(羽化成蟲) 수(數)가 가장 많았지만 3종(三種)의 기생봉중(寄生蜂中) T. schoenobii 는 유충기간(幼蟲期間) 중 Scirpophaga incertulas 의 난(卵)을 개(個) 소모(消耗)시키므로 가장 유용(有用)한 천적(天敵)이었으며 이 천적(天敵)의 1세대기간(世代期間)은 일(日) 이었다.
        3,000원
        48.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 exotic parasitic wasp Anisopteromalus apiovorus of Pteromalidae was newly recorded in Korea. Specimens of this species have been collected in Gimhae of Korea since 2012. External morphology of this species was described in detail and diagnostic differences of this species from the related species and the host insect were also given. The funicle segments of female antennae are 1.2 to 1.5 times longer than those of Anisopteromalus calandrae, an sister species. Body color is gold-glossy black and with dense creamy-white hairs on the surface. This exotic species has been originated from the African continent including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and Cote d'Ivoire, and then intruded into other countries, for instance, Korea. This is the first distribution record of this species except the country of origin after original description as a new species. Although little is known about the life history or ecology of this species, we found that a new host of this small parasitic wasp is Lasioderma serricorne of coleoptera through present study. And this species possibly be a new agent of biological control for economic pests. It was presumed that the invasion of Anisopteromalus apiovorus into Korea was prior to November of 2012.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