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9

        62.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베트남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한류브랜드 지역성이 국가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과 국가 친밀감이 한국 기업, 한국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기존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한류의 관점에서 베트남 소비자가 인식하는 브랜드 지역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최근 한국기 업들은 한국대중문화를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로 높은 인기를 얻고 있는 한류현상을 활용하여 한국 제품과 브랜드를 개발함으로서 한류브랜드를 구축하고 있다. 이에 한류지수가 높게 평가된 베트남 현지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류를 잘 반영하고 있는 한국 화장품을 대표적인 한류브랜드로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인터넷, 모바일 URL을 통한 응답 방법을 사용하여 베트남 현지 소비자 총 212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한 류브랜드 지역성은 국가 친밀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베트남 소비자들이 한국에 대해 긍정적 감정인 친밀감이 형성되면 한국 기업과 제품에 대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소비자태도는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7,700원
        63.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다국적기업들의 해외진출이 활발해지면서 글로벌 브랜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브랜드 글로벌성(PBG, Perceived Brand Globalness)을 재개념화하고 개념의 다차원성에 대한 타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글로벌 브랜드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4개 글로벌 브랜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브랜드 글로벌성은 단일 차원이 아닌 다차원으로 구성된 개념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의 브랜드 평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에 본 연구는 브랜드 글로벌성의 다차원성을 검증함으로써 학문적 및 실무적 관점에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7,800원
        64.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레스토랑 이용객의 서비스 실패 후 감정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실패 귀인 요소, 그리고 고객의 브랜드 관계 품질이 서비스 실패 귀인 지각에 대한 환원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귀인이론은 귀인이론과 귀인적 이론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한 모형에서 귀인이론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신념과 귀인 후의 감정반응 간의 영향관계를 통합적으로 측정하는 연구는 미미하다. 신념(BRQ: Brand Relationship Quality)-귀인-감정 3단계 모형을 구축하고 충돌 감정 반응(분노 VS동정)의 독립성을 같이 검증되었다. 먼저, 감성적BRQ(친밀감 및 사랑)은 통제가능성 귀인에 미치는 환원효과가 있는데 행동적BRQ(상호의존)은 통제가능성 귀인에 미치는 확대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적 관점에서 레스토랑 관리자는 고객의 서비스 실패의 반복 발생 가능성 지각을 낮추고 고객의 동정을 환기해야 한다. 통합적으로 레스토랑 관리자는 고객의 서비스 실패 귀인 지각을 잘 조절하고 고객의 BRQ이 감정반응에게의 영향효과를 환원시켜야 한다. 여러 가지의 서비스 회복 방안을 수립하고 귀 인을 잘 조절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BRQ은 각각 분노 및 동정에 다른 효과(확대VS환충)가 있기 때문 에 고객 BRQ의 특성에 따라 다른 서비스 실패 회복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예를 들면, 이성적 BRQ 고객에게 금전 보상이나 공정성 거래, 친밀감 및 사랑 고객에게 감정배려, 상호의존 고객에게 호혜성 설득 등 방안을 상황에 맞게 개발해야 한다. 본 연구는 서비스 실패 후 귀인의 매개효과를 탐색적으로 검증하 였는데 BRQ-귀인-감정 과정에서의 여러 가지 조절요인을 고려하지 않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추후의 연구에서 서비스 실패 강도의 조절효과를 고려해야 하고 더 완전한 모형을 구축해야 한다.
        4,600원
        65.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oduct replacement (PPL) is used widely in marketing and plays crucial roles but the effects of the PPL attributes on a restaurant brand are not well know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PL attributes on brand awareness and brand credibility.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among brand awareness, brand credibility, and brand loyalty was investigated. The study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PL, such as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affected brand awareness. On the other hand, inconvenience did not have any impact on brand awareness. In addition, information, entertainment, and inconvenience affected brand credibility. Furthermore, brand awareness and credibility influenced brand loyalty significant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PPL can be a very effective way to advertise. Hence, PPL should be done with a sense of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than simply with more frequent exposure to consumers, which that might cause inconvenience.
        4,000원
        66.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type of advertisement, brand extension, and consumer innovativeness on the credibility of fashion advertisements. The factorial design is constructed as a 2(type of fashion advertisement: general vs. cross-media) × 2(consumer innovativeness: high vs. low) × 2(the type of fashion brand extension: similar vs. dissimilar) three-way mixed design in which consumer innovativeness is the between-subjects variabl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210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resid in Seoul and had SNS experiences. Frequency analysis, credibility analysis, three-way ANOVA, and simple interac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0.0 statistics packa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 of fashion advertise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dvertising credibility. Cross-media advertisements had a more positive effect than general advertisements on all of the dependent variables. Also, the type of brand extension and consumer innovativeness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advertising credibility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ype of fashion advertisement and consumer innovativeness was significant. Lastly,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brand extensions on advertising credibil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consumer innovativeness. Thus, a marketing strategy using cross-media advertising is proven to be effective in gaining consumer trust for a fashion brand.
        4,500원
        67.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selected fashion brands claiming to advocate feminism to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and female images. For the study’s data, online foreign feminist fashion brands were sifted from March 2017 to January 2018 and 28 clothing brands were selected. The study’s results show that feminist fashion brands aim at the demassification and individualization of fashion products to be more inclusive of individuals’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diversity. Additionally, feminist brands entice consumption through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in online communities and through the value of social coexistence. The essential female image produced by feminist fashion brands deconstructs a socially idealized female image and expresses a sense of self-body positivity. In turn, the concept of self-body positivity is communicated through natural images of independent women with distinct identities based on differences in race, culture, and sexual orientation. Moreover, feminist fashion brands produce social images featuring independent women using active wear to engage in social activities. Casual wear is also used to reflect active women, while mannish looks and power suits express women’s social status and professional abilities. Ultimately, these offer functionally active and rational images, combined with female images featuring long hair and makeup. Yet another type of female image seeks to create a new vision of women as diverse due to their various cultures, countries of origin, races, and individual tastes. These new images express women’s physical differences, distinct identities, and diversity while simultaneously deconstructing pre-existing forms of clothing.
        4,600원
        68.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urrent study aimed to segment Mongolian female consumers based on luxury consumption values and to compare lifestyl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urchase behavior, and perceived brand personality among the segments.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consumers who had purchased luxury products in Ulaanbaatar, Mongolia. A total of 184 survey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five luxury values: quality value, hedonic value, conspicuous value, social value, and unique value. Using the five luxury values, clustering analysis was conducted, showing that there were four distinct segments: passive shoppers, showoffs, rational value groups, and hedonists. ANOVAs and chi-square analyses revealed that these four segments differed in consumption valu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lifestyle dimensions (including appearance consciousness, leisure orientation, life enjoyment, and achievement orientation), and purchase behavior (including purchase frequency, price of products purchased, and product selection criteria). Moreover, value segments showed differences in five dimensions of luxury brand personality: sincerity, professionalism/attractiveness, excitement, materialism, and sophistic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consumption values serve as a significant basis for segmentation. Furthermore, the current study indicates that value segments can be described as consumers’ perceived brand personality. The study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th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6,000원
        70.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주요 쌀 생산국 브랜드 쌀 및 MMA 쌀 40점의 품질을 조사한 결과, 수분함량은 11.6(인도)~14.2%(중국), 단백질 함량은 5.82(미국)~7.86%(중국), 아밀로스 함량은 16.2(태국)~24.4%(인도), 윤기치는 45.2(인도)~75.7(미국)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2. 국가별 수집된 브랜드 쌀의 형태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중국과 베트남의 브랜드 쌀은 주로 통통한 단립종이었고, 미국 브랜드 쌀은 중간 두께의 중립종이었으며, 태국 브랜드 쌀은 얇은 장립종의 형태를 나타내었다. 호주와 인도는 단립, 중립, 장립의 다양한 형태의 쌀을 확인 할 수 있었다. 3. 국가별 브랜드 쌀의 백미 품위를 살펴본 결과 완전미율은 72.4(인도)~95.2(태국)%의 범위였으며, 베트남 브랜드 쌀은 동할미 비율이 높았으며, 인도 브랜드 쌀은 분상질미 비율이 높은 특징을 나타내었다. 4. RVA를 이용한 호화특성을 분석 한 결과, 인도의 브랜드 쌀이 최고온도가 낮고 치반점도가 높으며 강하점도가 낮아 취반미의 찰기가 낮을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호화개시온도 또한 유의하게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국가별 브랜드 쌀의 식미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수집된 브랜드 쌀의 평균 종합기호도는 미국(-0.59), 중국(-0.76), 호주(-1.23), 베트남(-1.43), 태국(-2.09), 인도(-2.49) 순으로 나타났다.
        4,000원
        71.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the number of SNS(Weibo) users in China is growing rapidly, Chinese fashion brands are heavily dependent on SNSs as a fashion marketing communication tool. For this reason, the characteristics of SNS accounts and their influences on SNS users’ responses need to be studied. Thus,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fashion brands’ SNS accounts(Weibo) on the perceived usefulness of and satisfaction with the SNS acount, and brand loyalty. Data were collected via a questionnaire survey of men and women living in Beijing or Shanghai aged from 18 to 49 with experience of SNSs(Weibo). After a pilot survey of 70 subjects, the preliminary questionnaire was revised and then translated into Chinese. The questionnaire translated into Chinese was back-translated into Korean to ensure the translation was correct. The final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600 subject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reliability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ve factors were extracted for Weibo characteristics: interaction, information provision, information recency, information reliability, and information playfulness. The information reliability, information playfulness, and interaction of SNS accounts(Weibo)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perceived usefulness. The information playfulness, information reliability, and information recency showed significant influences on satisfaction. The perceived usefulness exerted significant influences on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The satisfaction also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s on brand loyalty.
        4,500원
        72.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국 시장에서 소비자 세계주의가 외국 브랜드 구매 행위에 미치는 영향이 브랜드 원산지와 명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검증하는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세계주의 성향이 높은 소비자는 상대적으로 소비자 적대감이 높은 원산지의 브랜드와 문화적 이질성이 높은 원산지의 브랜드를 수용하는 경향이 높은지를 살펴본다. 동시에 소비자 세계주의의 혁신성과 관련하여서도, 세계주의 성향이 높은 소비자는 인지도가 낮은 외국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지도 검증한다.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험 설계를 통한 소비자 세계주의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위의 차별적 효과가 확인되 었다. 흥미로운 점은 세계주의 성향이 높은 소비자는 서양권 브랜드는 선호하나, 문화적으로 유사한 동양권 브랜 드, 특히 유명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는 높지 않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6,400원
        73.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many companies are performing brand management as a marketing strategy to establish long-term relationships with their customers, consumers decide the actual purchasing behavior by understanding the brand attributes of the relevant company based on an evaluation standard of the products. This paper provides th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ffee shop market continuously, and analyzes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between each variable by limiting the brand attributes of the coffee shop and the price fairness factor that would be expected to affect the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as the cause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out of brand attribute factors of the coffee shop, the brand awareness and perceived qual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rice fairness while the influence of the shop image on the price fairness was not verified. In addition, all the brand awareness, shop image, and perceived qual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urchasing behavior whil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price fairness and purchasing behavior was verified. The rationality of the price presented by the coffee shop could be judged depending on the quality perceived by the consumers. Similarly, once consumers classified the propriety of price and then perceived that a suitable price had been set up regarding the quality and service provided by the coffee shop, it was highly possible for them to include it in their actual purchasing behavior, despite the higher price than other brands'. Further research on the psychological variables affecting the purchasing behavior by securing more diverse consumers to understand their purchasing behavior for a wide range of research subjects and the generalization of research results, will provide useful data for establishing marketing measures necessary to form strong relationships between consumers and brand in the currently-saturated coffee shop market.
        4,000원
        74.
        201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스마트미디어를 통해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극복한 방송 콘텐츠의 소비가 동시다발 적으로 이루어지는 다매체 다채널 시대, 방송 시장에서 경쟁의 우위를 차지할 수 있는 방안으로 브랜드 자산 관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이에 지상파와 케이블, 종편 채널 등 방송 유형별로 어떠한 브랜드 자산을 형성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방송 시청 선택 과정을 설명 하는 구조적, 개인적 차원의 브랜드 자산 구성요소(채널 및 프로그램 인지, 프로그램 장르별 품질 평가, 채널 이미지, 채널 및 프로그램 충성도)간 영향 관계를 설명하였다. 또한 브랜드 자산의 순 차적인 형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채널 브랜드 인지 및 장르별 품질 평가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브랜드 이미지가 어떻게 매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방송 유형별 브랜드 자산의 구성요소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특정 채널 및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이용의도로 이어지는지를 파악함으로써 본 연구가 갖는 학술적, 사회적 의의를 강조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지상파와 케이블의 경우 종편 채널에 비해 채널 인지도 및 프로그램 인지도, 채널 이미지, 채널 및 프로그램 충성도와 관련하여 더욱 명확한 인식 혹은 긍정적인 태도를 구축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송 채널 유형별로 차이가 있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선행연구 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방송 브랜드 자산은 특정 채널 및 프로그램에 대해 형성된 방송 시청자의 인식과 태도, 행동의 순차적인 단계를 거쳐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송 유형별로 구축 된 브랜드 자산은 각자의 경로를 통해 특정 채널 및 프로그램에 대한 충성도에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방송 유형별로 브랜드 자산의 구성요소는 상이한 구축 경로를 통해 채널 및 프로그램 지속적인 이용의도가 강화되었다. 이처럼 본 연구는 방송 채널과 프로그 램에 대한 브랜드 자산과 관련한 경험적 연구를 통해 브랜드 자산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전 략적 활용 등을 제안함으로써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하였다.
        8,400원
        75.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nsidering that the effectiveness of ads varies according to the credibility of consumer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ata regarding consumer credibility in relation to online reviews. To conduct a successful study on the marketing strategies of online reviews, it is also necessary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redibility and the various factors that influence the purchase intentions of consumer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trust of on-line reviews, brand preference, ads credibility, and purchase intentions in relation to cosmetic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normative descriptive survey method using stimuli an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onducted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consumer reliance on online reviews of cosmetics influences brand preference, credibility of brand ads and purchase intentions.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consumers’ on-line reviews, brand preference, and trust of brand ads are important factors for increasing the purchase intentions. The mediation effect of brand preference and brands’ ads credibility were found in the process where on-line reviews exercise an influence on the purchase intentions. It was also found that brand preference has a stronger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than credibility of brand ads. It was discovered that the credibility of on-line reviews directly influences purchase intentions more than indirectly influence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grams that encourage customers to post on-line reviews, and strategies to promote brand preference by targeting groups that exhibit high trust in online reviews would be recommended.
        4,900원
        76.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paper is to find which types of pop-up store positively influence consumers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brand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across different fashion pop-up store format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17 respondents in their 20s and 30s and then subjected to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s. The results of the oneway ANOVA test indicated that the 'Pop-up store of alliance with different kinds of industries' is the most effective type for increasing brand preference and brand recognition amongst consumers. Some further insights can be made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pop-up store formats in terms of the cognitive factors influencing brand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Moreov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pop-up store formats in terms of brand attitude factors influencing behavioral inten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fashion companies can determine the best type of pop-up store to open depending on their aim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to fashion marketers, helping them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factors to consider when planning fashion pop-up stores. Academically, this paper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range of research on fashion pop-up retail by studying consumer experiences of different pop-up store types.
        5,200원
        77.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hen purchasing products or services, consumers tend to purchase multiple value attributes through the acquisition of a product rather than physic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relations between consumption valu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customers purchasing fair-trade coffee, by dividing consumption values that would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onsumers’ actual purchase behavior into five levels. Among the consumption value factors of customers purchasing fair-trade coffee, the functional value, social value, emotional value, and rare value all had significant effects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while the influence of situational value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was not verified. These finding are partially concordant with those of preceding studies, and the consumption value of consumers purchasing fair-trade coffee has positive effects on purchase behavior;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for companies selling fair-trade products to understand consumers’ specific values. Moreover,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brand attitude on purchase intention of customers purchasing fair-trade coffee revealed that purchase intention increased when brand attitude was higher. These finding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measures to increase purchase intention by targeting consumer groups with high brand attitude with intensive promotions.
        4,000원
        78.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중국 현대소설, 특히 신감각파(新感覺派)의 작품에 나오는 상품과 광고를 추출 하여 그 표상과 브랜드의 역사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들 작가의 작품엔 수많은 시각 매체와 도시 매체가 출현한다. 그 가운데 현대 상품은 현대인이 갖고 싶어 하는 욕망의 리스트이자 오마주(Hommage)다. 자동차, 보석 등과 같은 고급 사치품에서부터 일상 생활용품에 이르기 까지 현대 상품은 각종 매체를 통해 자신의 가치를 온갖 방법을 동원하여 선전한다. 위의 작 품들을 토대로 현대 상품 목록을 뽑은 결과 크게 몇 가지 범주, 즉 영화나 배우 광고, 담배 광고, 양주 광고, 자동차 광고, 일상용품 광고 등으로 나눌 수 있겠다. 본 연구자는 상품 매체 와 공간 매체를 모두 상품 광고의 범주 속에 넣을 수 있다고 보고 다시 이를 도시 경관 광고, 공인 광고, 기호품 광고, 사치품 광고, 일상용품 광고 등으로 분류하여 논의할 것이다
        4,800원
        79.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소비자가 인식하는 안경원의 브랜드 자산, 외부환경, 내부환경이 고객만족, 신뢰 및 재방 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실증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경기, 충남지역에 거주하는 안경원 이용 경험이 있는 성인 42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 였고, 불성실히 응답한 9부를 제외한 411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신뢰성 분석과 확인적 요인 분석 및 구조 방정식 모델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결과: 브랜드 자산이 외부환경과 내부환경 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브랜드 자산, 내부환경 등 외 생변수가 매개변수인 고객만족을 통해 신뢰에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다시 고객만족과 신뢰를 통해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이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부환경은 고객만족과 신뢰 모두에서 유 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브랜드 자산과 내부환경의 경우에서는 재방문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고객만족과 신뢰를 통해 간접적으로도 유의하게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안경원은 기타 서비스직종과 달리 내부환경 중에서도 안경사특성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특수 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브랜드 자산이 내·외부 환경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 중 내부환경 즉, 상품, 가격 그리고 안경사 특성이 고객만족으로 이어져 신뢰를 거쳐 재방문에 이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브랜드 자산을 높이기 위한 노력과 함께 내부 환경 및 고객과의 신뢰 향상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 하고 이에 대한 관리에 더욱 노력을 기울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4,200원
        80.
        201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국의 밀레니엄 세대를 대상으로 소비자 자민족주의(CET) 가치와 자민족주의 광고가 소비자의 국 내 및 외국 브랜드 구매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CET 선행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CET 가 치가 구매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만 치중하여 온 반면에, 마케팅 자극에 의한 효과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ET 효과와 함께, 자민족주의 광고의 효과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가상 광고를 제작하여 220명 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검증 결과, 우선, CET의 효과가 내국 브랜드와 외국 브랜드에 따라 다르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ET를 독단주의와 애국심 CET로 구분하여 분석하면, 내국 브랜드에 대해서는 독단주의와 애국심 CET 모두 유의한 영 향을 미쳤으나, 외국 브랜드에 대해서는 애국심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연구의 또 다른 결과는 자 민족주의 광고가 내국 브랜드 선택에는 영향이 없으나, 외국 브랜드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그러나, 자민족주의 광고가 CET 가치가 높은 소비자에게는 높게 나타나고, 그렇지 않은 소비자에게는 나타나지 않는 확 증 편향(Sullivan, 2009)은 발견되지 않다.
        6,7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