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8

        61.
        200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anges of chemical properties by times of the reclaimed tidal land soils and soil surface water, underground infiltration water with precipitation-runoff on natural meteological condition in the unripened tidal reclaimed paddy fields were investigat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se environment-friendly farm land in the reclaimed tidal lands. The soils used in this study were saline-alkaline soils with the high Na+ and Mg++ content. As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outflow loading of nutriments through outflow water in the unripened tidal reclaimed paddy fields by precipitation during the survey period, nutriments equivalent to T-N 1~2 kg 10a -1 and T-P 0.01~0.02 kg 10a-1 from in the unripened tidal lands were discharged. Besides, the results of comparison losses of cation through outflow water showed Na+> K+> Mg++ > Ca++, and the highest appeared water discharge of Na+. In case of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soils water discharge of cations showed Ca++ 1.3 kg 10a-1, Mg++ 1.6 kg 10a-1, Na+ 17.7 kg 10a-1, and K+ 3.2 kg 10a-1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koheung reclaimed tidal lands soils water discharge of cations showed Ca++ 18.1 kg 10a-1, Mg++ 31.2 kg 10a-1, Na+ 320.8 kg 10a-1 and K+ 51.2 kg 10a-1 respectively.
        63.
        199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ewage sludges and livestock manures, respectively, were composted with sawdust used for control moisture in the static piles system composter. The variations of temperature, pH, moisture, C/N ratio, inorganic content, forms of organic materials and nitrogen, and contents of heavy metal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temperature for composting the sewage sludges reached the highest temperature of 52℃, after 3 days and lasted for 7 days, and then went down 30℃ after 52 days. In the case of composting livestock manures, the temperature reached to 63℃ after 10 days, that lasted for 10 days, and then went down gradually. After upsetting the sewage sludges and livestock manures, the temperature went up but was little changed after 52 days. Thus we decided that the terminal of composting periods would be 52 days. The moisture contents of the sludges and livestock manures for composting were decreased to 30% and 36%,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inorganic matters and heavy metals were changed by the characteristics of raw materials but increased gradually during composting process. The total contents of organic materials in the sewage sludges and livestock manures for composting were decreased to 7% and 9%,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ether extracts, resins, hemicellulose and cellulose were decreased but those of water soluble polysaccharides and lignins were not changed. The total contents of nitrogen in sewage sludges and livestock manures were decreased to 43% and 34%, respectively.
        64.
        199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ericite ore is formed by the hydrothermal alteration of rhyodacitic welded tuff. The alteration zone of the host rock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based on the mineral assemblages ; sericite, quartz-sericite, silicified and propylite zone. The sericite ore mainly occurs as vein types and fault clay along the fault plane in the quartz-sericite zone. Mineral components of the sericite ore are mainly sericite with minor diaspore, corundum and pyrite. The sericitic porcelaineous ore is mainly composed of quartz and sericite. Accessory minerals are muscovite, diaspore, sphene, corundum, pyrite, iron-oxides and etc.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K2O, Al2O3, and ignition loss in the sericite ore increase largely than that of the host rock, while the compositions of SiO2, Na2O and Fe2O3 decrease. XRD patterns of the heat-treated sericite ores show the formation of mullite at 1,200℃. and the diaspore-bearing sericite ore forms mullite and corundum at 1,200℃. The 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of the sericite ores show small endothermic peak at 645~668℃. and the diaspore-bearing sericite ore shows a strong endothermic peak at 517℃. It indicates that the decomposition of diaspore appear at lower temperature than that of sericite. The thermal expansivity of the sericite ores show the similar pattern. The sericite ores show the thermal expansivity of 3.3~4.7% at 900℃ and 0.39~0.75% at 1,200℃, respectively. DTA-TG curves of the sericite ores show closely relations with the thermal expansivity.
        65.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geological occurrence, mineralogical, physico-chem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the sericite ore which located in Chungha area, Kyungsangbuk-do. The geology of this area are composed mainly of hornfels and some felsite porphyry. The sericitic ore is classified into sericite, sericite-quartz and quartz-sericite ore according to mineral assemblages. Mineral components in sericite ore are mainly sericite with minor quartz, apatite, sphene, zircon, ilmenite, bismuthinite, iron oxide and etc. Sericite-quartz ore are mainly composed of sericite and quartz. Accessary minerals are muscovite, epidote, zircon, sphene, iron oxide and etc.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K2O, Al2O3, & Ignition loss in sericite and sericite-quartz ore increase than that of the host rock, while the composition of SiO2, Na2O & Fe2O3 decrease. Sericite and sericite-quartz ore are characterized by the specific gravity of 2.35 and 2.44, the pH of 4.36 cP and 2.36 cP respectively. The result of size analyses of sericite ore is 11.3% in grain volume concentration between 12.9 μm and 11.1μm, and 32.3% between 9.6μm and 12.9μm. The thermal expansivity of sericite and sericite-quartz ore show the similar pattern. The sericite ore shows the thermal expansivity of 0.31% at 500℃, 0.39~0.75% at 600~1,000℃ and 0.74% at 1,100℃. The sericite-quartz ore show the thermal expansivity of 0.29% at 500℃, 0.36~0.72% at 600~1,000% and 0.71% at 1,100℃
        66.
        199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답전전환지 잎담배 수확엽의 적정숙도 판단기준 확립을 위한 기본자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수확기를 달리하였을 때의 성숙정도별 엽중 이화학성 변화와 밭담배와의 성분함량 차이를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엽장과 엽폭의 수축률은 착엽위치에 관계없이 과숙>미숙>적숙>완숙엽 순으로 높았고 논담배 완숙엽은 밭 완숙엽에 비하여 수축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2. 엽중 내용성분에서 니코틴과 전실소는 성숙이 진전될수록 낮았으나 환원당 함량은 반대로 나타났고 동일숙도의 논, 밭담배 간에는 밭담배가 높았다. 3. 건조엽의 부풀성은 성숙이 진전될수록 낮았고, 논, 밭담배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부스러짐성은 미숙>과숙>적숙>완숙엽 순으로 높아 조기 및 만기수확으로 부스러짐성은 증가하였다. 4. 궐련의 화학성분에서 끽연시의 유해인자로 작용하는 CO, TPM, tar성분등이 논담배가 밭담배에 비하여 다소 높았고 연소성도 상대적으로 불량하였다. 5. 비택발성 유기산 함량에서 oxalic, succinic acid 함량은 성숙이 진전될수록 낮아지고, malonic acid는 높아지나 malic, citric acid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논담배는 밭담배에 비해 oxalic, malonic acid 함량에서 다소 낮았다. 6. 지방산 함량은 성숙정도간 차이는 적었고, 성분간에는 linolenic>palmitic>oleic>lnoleic>stearic acid 함량순이었으며, 논, 밭담배 간에도 거의 대등한 함량을 보여 토양조건이나 성숙정도간 반응차는 적었다.
        67.
        198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재배환경이 서로 다른 지역에서 생산된 쌀의 이화적적 특성과 식미의 변이 정도를 밝히고 쌀의 품질평가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형질을 선정할 목적으로 전국 25개 지역에서 4품종의 1986년산 벼종실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벼의 도정특성과 외관, 백미의 아밀로스함량, 알칼리붕괴도 및 아밀로그람특성. 밥을 지었을 때의 수분흡수율, 팽창용적 및 식미특성을 조사하였다. 1. 공시된 품종간 차이가 뚜렷이 나타나는 형질은 정상천입중, 현미의 형태, 투광도 및 심복백정도, 쌀가루의 아밀로그람 특성, 밥 지을 때의 수분흡수율과 밥의 외관이었다. 2. 재배지역간 변이정도가 큰 특성은 현미의 투광도, 백미의 심복백정도, 아밀로그람 특성 중 최저점도, 최종점도, 노화점도, set back 및 break down, 밥 지을 때의 수분흡수율 및 밥의 외관이었다. 3. 밥의 외관, 향기, 씹히는 감각. 찰기 및 맛으로 조사된 식미는 품종별로 지역간 변이정도가 달랐으며 시중의 상품 쌀과 비슷한 정도의 식미를 가진 쌀을 생산한 지역도 품종별로 달랐다. 4. 종합식미가 우수했던 지역과 나빴던 지역의 쌀은 천립중, 현미투광도, 백미심복백정도와 방의 외관에서 차이가 확실히 났다. 5. 자포니카 품종인 추청벼에서는 종합식미가 좋았던 쌀과 나빴던 쌀간에 아밀로그람 특성 중 최저점도, 최종점도, set back 및 break down에서 차이가 확실하였으나 통일형 품종인 태백벼에서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6. 추청벼는 25개 지역 중 6개 지역, 그리고 태백벼는 4개 지역에서 생산된 쌀의 아밀로그람 특성이 및 이외 지역의 쌀과 큰 차이가 났으며 여주, 연천 및 남양의 3개 지역에서 생산된 쌀은 추청벼 및 태백벼에서 모두 아밀로그람 특성이 독특하였다.가용성질소, 콜박지수, 효소력 등이다. 4. 수두형과 직두형 동질유전자계통이 재식밀도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은 형질은 출수기, 수장이며 영향을 받는 형질은 간장, m2 당수수, 1수립수, 천립중, 1 중, 수량, 정립률과 품질관련 형질들이었다. 5. 시비량에 있어서 12-12-9 kg 구가 맥주맥의 품질이 가장 좋으며 수양은 15-12-9kg 가 많았고 재식밀도에 있어서 관행재배보다 협신파재배나 세조파재배를 할수록 다시 말하면 균등배치양식을 할수록 수량이 많아지고 품질이 양호하였다. 6. 수두형이 직두형 동질유전자계통보다 품질관련형질면에서 유리하므로 양질맥주맥 품종육성에 있어서 선발지표로 할 수 있으며 수두형은 직두형보다 간이 연약하여 도복이 우려되므로 선발시 항상 유의해야 한다. 급격히 저하하고 Triticale이 호밀보다 출수기가 늦으므로 4월하순∼5월상순의 청예사료공급은 Triticale이 유리하다. 호밀이나 Triticale 중 한가지 종류만 심는 것 보다 두 종류를 심어 초기에는 호밀을, 다음에는 Triticale을 청예로 이용하면 청예이용기간을 연장할 수 있고 수확량도 크게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들은 진흥과 IR36품종의 중간 영역에 머물고 있었다.mite처리구가 8.6%, 유황첨가구가 5.7~7.4% 증수되었음을 보이었다. 7. 식물체중의 조단백질 함량은 대조구, 5%, 10% 유황첨가구가 3.31~3.50%로서 비슷하였고 15% 유황첨가구는 3.94%, Dolomite첨가구는 5.38%였다. 아미노산도 15%유황첨가구와 Dolomite첨가구가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현미중 조단백질은 15%유황첨가구가 10.14%로서 최고이었으며 10%유황첨가구와
        68.
        198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종실의 품질특성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구명하기 위하여 라맥 품종중 찰성인 요네자와와 메성이며 대립인 백동과 소립인 영산보리를 재료로 질소시용량을 달리하여 수행한 시험에서 얻은 몇가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품질의 변화를 보면 질소증시에 의해 단백질은 증가하며 백동이 배비구(N1 )에서 13.7%로써 가장 높았고 출수후 성숙이 진전됨에 따라 단백질 함량은 출수 직후에 높다가 4주째에 가장 낮은 함량을 보이다가 다시 증가하였다. 단백질의 solubility fraction에서 glutelin 함량이 최고이며 질소시용량이 증가할수록 증대되었다. amino산중 lysine함량은 요네자와와 백동이 영산보리보다 높으며, 질소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공시품종에서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proline은 타 amino산에 비하여 월등하며 질소수준이 증가할수록 증대됨을 알 수 있었다. 질소증시에 의하여 무기성분중 Mg, K는 감소하고 Ca는 증가하였다. 회분은 질소 증시에서 감소하고 성숙이 진전함에 따라서 감소하였다. 질소시용량이 증가할수록 맥입의 경도가 낮아지고 호분층이 연해지기 때문에 도정율을 낮추어야 하며 찰성인 요네자와는 메성인 두 품종보다 적게 도정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도정시간이 길면 가열흡수율이 높으며 도정률 60%로 기준하여 보면 찰성인 요네자와가 메성인 두 품종보다 가열흡수율이 높고 밥의 백도도 찰성인 요네자와가 메성인 두 품종보다 높고 질소시용량이 증가할수록 밥 백도가 백동, 영산보리에서는 낮아졌으나, 찰성 인요네자와에서는 높아졌다. Amylogram의 점성에서 호화온도는 찰성이 46.0℃ 로 메성 58.0℃ 보다 낮고 질소시용량과 큰 관계가 없으며 최고점도는 찰성인 요네자와가 보비구에서 2000BU, 메성인 백동은 무비구(No)에서 1020BU로서 찰성이 메성 보다 높고 질소시용량이 증가될수록 높아졌다. 찰성은 메성보다 호화온도가 낮고 최고점도는 높았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