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93

        61.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직류전동기(DC motor)와 전기적인 특성은 유사하지만, 수명과 신뢰성이 향상된 BLDC 모터의 제어기법에 대해 언 급하고 있다. BLDC모터는 회전자의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직류전동기의 기계적인 접촉에 의한 정류 장치를 제거함으로써 내구성과 속도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BLDC모터의 권선에 흐르는 전류가 직류전동기의 전기자에 흐르는 구형파 형태의 전 류인 것에 착안하여 직류전동기에 대한 제어기를 설계하고, 설계된 제어기를 3상 BLDC모터에 적용하여 제어기의 유효성을 확인하였 다. 이를 위해 3상 BLDC모터의 전기적인 파라미터 값을 가지는 단상 직류전동기의 모델링을 실시하였고, 도출된 시스템에 대해 근궤 적법을 적용하여 전동기의 속도제어를 위한 PI 제어기를 설계하였다. DC 전동기의 속도제어 시뮬레이션을 시행하여 제어기의 성능을 확인하였고, 동일한 제어기를 MATLAB으로 구현한 3상 BLDC모터의 속도제어에 적용하였다. DC 전동기와 유사한 제어 결과를 3상 BLDC모터에서 얻을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연구에서 제안한 제어기법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62.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대기오염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이고자 국제 산업계의 노력의 일환으로 국제해사기구(IMO)의 규제 발효등으로 이어지 고 있다. IMO는 EEXI,EEDI,CII 등 선박에서 나오는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해 각종 규제를 발효시키고 선박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줄여 에너 지를 절약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선박에서 사용되는 전력의 대부분은 전동기가 차지한다. 선박에 설치된 전동기 중 큰 부하를 차지 하는 기관실 송풍기는 수요와 관계없이 정속운전으로 운전하기 때문에 주파수제어를 통한 에너지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발전기의 과급기에 연소공기를 공급하는 발전기 송풍기의 전동기 주파수를 제어하여 에너지 절감에 대한 실효성을 입증하였다. 송풍기 주파수 입력에 따른 과급기출구 온도의 출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스템을 모델링하고, 과급기 출구온도를 목표값으로 하여 주파수를 제 어하는 PI 제어계를 형성하여 과급기 설계기준 출구온도를 유지하면서 송풍기의 주파수 제어를 통해 연간 15,552kW 전력소모량을 절감하 였다. 송풍기 팬 주파수 제어를 통한 에너지절감액의 유효성은 하계(4월~9월) 및 동계(3월~10월) 기간동안 검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실습 선의 연간 6,091천원의 유류비 절약과 이산화탄소 8.5Ton, SOx 2.4kg, NOx 7.8kg의 대기오염물질 저감을 달성하였다.
        4,000원
        63.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박 발전기의 여자기는 출력 단자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여자전류 제어를 통해 자속을 조정한다. 여자기 내부에 있는 전압제어기는 통상적으로 비례 적분 제어방식이 사용되는데 게인과 시정수에 의해 결정되는 응답 특성은 적절치 못한 설정값에 의 해 원하지 않는 출력을 내며 이로 인해 선내 전력의 품질과 안정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IEEE에서 제공하는 AC4A 타입의 여자기 모델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안정적인 입출력 데이터를 활용하여 신경망 회로를 학습시킨 후 기존의 비례 적분 제어방식의 전압제 어기를 학습된 신경망 회로 제어기로 대체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기존 대비 최대 9.63%까지 오버슈팅이 개선되었으며, 안정적인 응답 특성에 대한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4,000원
        64.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함정의 전투관리체계나 민간의 스마트 시티와 같은 많은 센서와 동작기기가 연결된 체계에서는 주로 미들웨어인 DDS(Data Distribution Service)를 사용하여 대규모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향후 센서나 장비 증가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선박에서 함정의 전투관리체계(Combat Management System, CMS)와 같은 역할을 하는 중요한 제어체계인 통합기관감시제어체계(Engineering Control System, ECS)는 여전히 Server-Client 모델을 기반으로 산업용 프로토콜(Modbus, CAN(Controller Area Network) bus 등)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어 확장성 측면에서 불리하다. 따라서 향후 자동화나 무인화가 진행될 경우에 많은 센서류가 추가될 것이며 이는 많은 프로그램 수정 소요가 발생하게 되며, DDS는 이러한 상황에서 좋은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투관리체계에서 사용 중인 미들웨어인 DDS 중에서 OMG(Object Management Group) 표준을 따르는 OpenDDS를 활용하여 선박의 통합기관감시제어체계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필드장비 시뮬레이터 및 ECS 서버를 구성하여 DDS를 이용한 필드장비 데이터 입출력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개발한 ECS 축소모형은 데이터를 발간-구독하는데 문제가 없으며, DDS가 선박 ECS의 미들웨어로 충분히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66.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22년 캠벨얼리 재배면적은 4,397ha(32.7%)으로 샤인머스켓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재배하는 품종이다. 포도 과원에서 보고된 장님노린재에는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와 초록장님노린재가 있으며, 포도 신초를 가해해 잎 이 자라면서 구멍이 나고, 포도알을 흡즙해 포도알 표피를 코르크화해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애무늬고리장님노 린재는 약충은 3~4mm, 성충은 4~5mm 정도이며, 몸 색깔은 엷은 녹색을 띄고, 다리(설상부) 끝이 검어 초록장님노 린재와 구분된다. 조사지점에서는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만 채집되었으며, 나무당 0~4.8마리가 발견되었다. 4월 하순 상대습도 40% 이상이고, 일평균기온이 13℃ 이상 10일 정도 경과하였을 때 알에서 부화해 신초를 가해 하기 시작했다. 5월 하순부터 성충이 되며, 포도원 살충제 살포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였다가 7월 초경에 초목성 식물에서 포도원으로 들어와 새로 나오는 포도 부초를 가해하였다. 방제시기에 따라 상품과일 무게가 차이가 났는데 잎전개기, 꽃송이분리기, 착과기 3회 방제시 수량감소율이 1%인데 비해 잎전개기에만 방제시 3.5%, 꽃송 이분리기에만 방제시 7.9%, 무처리구에서는 15.6%로 방제 시기에 따라 상품과일 감소량이 차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67.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22년 캠벨얼리 재배면적은 4,397ha(32.7%)으로 샤인머스켓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재배하는 품종이다. 또한 충랑은 2018년에 품종등록된 3배체(캠벨얼리×고처) 포도로 신품종 연구가 필요한 품종이다. 연무늬들명나방 (Syllepte pallidinotalis)은 캠벨얼리와 신품종 충랑에서 잎의 가장자리를 말고 그 속에서 잎을 갉아먹는 해충으로 잎에 피해가 관찰되었다. 연중 포도원에서 연무늬들명나방의 밀도는 7월 중순과 9월 하순에 2번의 peak를 보였 다.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2령이 되면 잎을 말고 안에 숨기 때문에 잎을 말은 이후 약제 살포시 잎 안에 잘 뭏지 않아 방제가가 떨어졌다. 특히 생물농약인 비티제를 이용해 방제를 할 경우 잎을 말기 직전인 6월 중순에 살포 했을 때 93.5%의 방제가를 보였으나, 5월 하순이나 7월 초순 방제할 경우 73.9, 43.6%로 낮은 방제가를 보였다. 따라서 잎을 말기 직전인 6월 중순, 8월 하순에 방제를 하는 것이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68.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마늘은 백합과 알리움속에 속하는 영양체작물로 누대재배시 수확량이 감소하는 특성을 보인다. 마늘의 화경 끝에는 주아가 생성되는데, 주아를 파종하여 2년이상 누대재배시 수확량이 약 15% 이상 증가하기 때문에 주아재 배를 통한 종구 갱신이 필요하다. 마늘 주아를 수확 후 저장시 파총채벌레, 파좀나방 등이 발생하며, 저장 중 주아 는 매년 평균 20% 이상의 부패한다. 주아재배를 원활히 하기 위해 주아 저장 시 해충의 방제를 통해 부패율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주아에서의 해충 발생밀도 및 방제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주아에서 파총채벌레는 7월 3주차, 파좀나방은 7월 2주차에 각각 발생최성기를 보였으며, 약제 침지시 방제가가 90% 이상 관찰되었다. 약제 침지된 주아 파종시 약해는 발생하지 않아, 주아 해충 방제시 침지법을 활용하여 해충의 밀도를 조절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69.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유기농업자재 제조 원료가 되는 주요 식물인 제충국, 고삼, 데리스, 님 등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 으로 제품수급, 효용성 및 안전성 등에 빈번한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자생식물을 추출물 원료로 이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중 마트린이 함유되어 살충제로 이용되고 있는 고삼에 흰가루병, 총채벌레, 줄붉은들명나방, 담배거세미나방, 거품벌레류가 발생하여 피해를 주었다. 특 히 줄붉은들명나방(Uresiphita prunipennis)은 7월 하순부터 9월 중순까지 발생하여 엽육을 갉아먹고 엽맥만 남기는 피해를 주었고, 피해주율은 11% 였다. 이를 방제하기 위해 18종의 유기농업자재의 살충효과를 조사한 결과 주성분이 마늘추출물 80%, 데리스추출물 70% 등인 자재 6종이 80% 이상의 살충률을 나타내었다.
        70.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new eco-friendly control method of B. tabaci using a trap plant treated with systemic insecticide. Due to high preference, tobacco plant was selected as a trap plant among solanaceous plants. Out of all 6 systemic insecticides, dinotefuran WG showed the highest mortality (> 97.3 %) against B. tabaci. The concentrations of dinotefuran in tobacco leaves after systemic treatment showed the sharp increase in the pesticide from 2 hrs until 48 hrs (2 d) and steady increase over 35 d. The mortality of B. tabaci in tobacco leaves was about 80% at 9 hrs after treatment and over 90% at 1, 2, 3, 6, 9, and 35 d after treatment. The number of B. tabaci was counted every week after dinotefuran-treated tobacco pots were placed in the tomato greenhouse cultivation. The density of the insects with 3 tobacco plants was app. 75% lower than the control (w/o tobacco plant).
        7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ecause Scotinophara lurida has the habit of living under the rice plant, an introduction of a method for efficient control when spraying eco-friendly organic materials is need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ensity of S. lurida in drained- and irrigated-paddy field after spraying an organic material containing garlic bulb extracts, which has high insecticidal activity in S. lurida in direct spraying test in glass tube. As a result, an irrigated rice paddy showed a control effect of 66.4% after 3 days of spraying and 86.2% after 7 days, while a drained rice paddy showed a control effect of 33.9% after spraying and 61.9% after 7 day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ffective control can be achieved in irrigated rice fields if organic farming materials are evenly sprayed and reach to the body of S. lurida. It is remained to study how irrigated water do contribute to increase the insecticidal effect in the future.
        7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otanical extracts are employed in management of aphids. Extracts from Tanacetum cineariaiaefolium, Derris elliptica, and Sophora flavescens are widely used to control various insects. In this study, we determined concentrations of active insecticidal compounds (Ais) in commercial botanical extracts of these plants, and we investigated the time and concentration for lethal results with the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The concentrations of Ais, pyrethrins from T. cineariaiaefolium, rotenone from D. elliptica, and matrine and oxymatrine from S. flavescens, were determined after their fractionation by liquid chromatography followed by mass analysis and comparison with standard compounds. The extracts were tested for lethality in a bioassay with green peach aphids. Sprays at defined doses were applied to tobacco leaves infested with aphid nymphs. The lethal concentrations (LC50) were 20.4 ppm for pyrethrins, 34.1 ppm for rotenone, and 29.6 ppm for matrine at 48 h after treatments. At 100 ppm application levels, the lethal time LT50 was 13.4 h for pyrethrin, 15.1 h for rotenone, and 14.4 h for matrine. Kaplan - Meier analysis indicated the lethal times for the three botanical extracts at 100 ppm were significantly faster than application of a chemical insecticide, Sulfoxaflor, applied at the recommended level. These results provide baselines to develop and formulate single or mixed preparations containing botanical extracts to control green peach aphids on commercial crops.
        73.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arasitic rate of A. orientalis was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parasitic rate five years ago, immediately after release, and parasitic rate was also compared according to the distance away from the release point. In addition, haplotype of A. orientalis was confirmed and the association with life cycle characteristics was decided. The survey was conducted in 2022 and 2023. The parasitic rate of release point in Buyeo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3.6% in 18 years to 91.21% in 22. And the parasitic rate by distance from release point is 91.21% (200m), 44.46% (12km), and 65.75% (46km). At all points of survey, only haplotype C and D were found,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aplotype C and D in the parasitic rate and sex ratio.
        74.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생활권 수목이란 주민들이 생활하는 지역에 식재된 수목으로, 가로수, 학교수목, 아파트 수목 등 종류가 다양 하며 도시경관과 생활환경 개선의 이점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생활권 수목의 유지와 관리에 있어서도 인근 주민 에 혐오감이나 피해가 없도록 방제를 수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인 경엽살포의 경우, 약액 비산에 의해 주민들의 활동 제한, 안전사고 및 재산상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무에 약제를 직접 주입하는 나무주사(trunk injection)가 보편적인 생활권 수목 방제법으로 주목 받고 있으며, 이는 주입물질의 손실이 없고, 외부환경에 크게 영향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생활권 수목 전반에 대한 나무주사 처리방법이 명확하지 않아 약효가 일부 가지에서만 나타나는 등 사후 검증 및 관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생활권 수목 병해충 방제 나무주사 제품의 효과제고를 위한 기존 처리방법 개선 및 최적의 약제처리 방법을 검증하였다. 느티나무외줄면충(Colopha moriokaensis)을 대상으로 시험을 진행하였 으며, Acetamiprid을 시험약제로 사용하였다. 느티나무에 대하여 약제처리 위치, 주입량, 천공수, 주사시기에 따른 약효 및 약해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최적의 약제처리 방법을 제시하였다.
        75.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oot-knot nematode (RKN), Meloidogyne incognita, inflicts significant greenhouse crop damage, causing over 40% economic losses. While chemical agents effectively control RKN, they leave harmful residue in soil and crops. To address this issue, we investigated soil-derived entomopathogenic fungi (EPF)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nematicidal impact of ten EPF species through in vivo and in vitro tests. Beauveria bassiana JEF-503 exhibited nematicidal effectiveness exceeding 65% in both experimental settings. In a semi-field test using greenhouse pots, we experimented with the application of B. bassiana JEF-503 suspension during tomato growth, which is an uncommon practice in comparison to chemical treatments due to residue concerns. B. bassiana JEF-503 was applied during transplantation, and the same application was repeated four weeks later. JEF-503 One-time and abamectin treatments were used as control groups. The JEF-503 two-time application notably reduced root damage compared to single JEF-503 or abamectin treatment. In conclusion, JEF-503 offers a promising, residue-fre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lternative to chemical agents for RKN management.
        76.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etranychus kanzawai Kishida (Acari: Tetranychidae) is a major pest on strawberry, reducing both the quality and quantity of fruit production. We compared the virulence of an entomopathogenic fungus Beauveria bassiana (Balsamo) Vuillemin ARP14 with a commercial GHA strain against T. kanzawai. In the laboratory, leaf dipping method was conducted while a one-time spray was carried out on selected planting units in strawberry greenhouse with each fungus strain and Triton X-100 as control. Adult T. kanzawai showed lower LT50 when treated with ARP14 strain compared to GHA in the laboratory. The densities of both adult and nymph mites in the greenhouse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treatment of two fungus strains compared to the control. The mycosis rate of T. kanzawai in greenhouse was 97.9% at 14 days when treated with ARP14 strain while it was 85.5% when treated with GHA strain. The results suggest that B. bassiana ARP14 can be an effective mycoinsecticide against T. kanzawai.
        77.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box tree moth, Cydalima perspectalis (Walker, 1859) (Lepidoptera: Crambidae), is a native species in East Asia specialized in box trees (Buxus sp.) but has recently invaded most European countries. Due to the absence of its natural enemies in Europe, the economic impact is serious in most countries. In order to find parasitoids as biological control agents in Korea, C. perspectalis larvae were collected from ornamental and native box trees from various regions of the country from 2022 to 2023. While rearing them in the insectary, several parasitoids emerged from the larvae. We found at least six larval parasitoids, including five wasp species and one fly species. Molecular diagnosis using the nucleotide sequences of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subunit I (COI) showed that most samples were 90–97% identical to the data in the NCBI database.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determine biological and parasitic characteristics, such as developmental rate, fecundity, host specificity, and parasitic rate, to clarify the suitability of parasitoids as biological control agents.
        78.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경북대학교 친환경농업연구센터에서는 농업인들의 효과적인 천적 활용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2016년부터 경상북도 농민사관학교의 지원을 받아서 친환경천적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천적 자가생산 및 현장적용 기술의 실습교육을 실시하였다. 그동안 토양 포식성 천적인 총채가시응애(Gaeolaelaps aculeifer)와 뿌리이리응애 (Stratiolaelaps scimitus), 그리고 점박이응애의 포식성 천적인 칠레이리응애(Phytoseiulus persimilis)와 사막 이리응애(Neoseiulus californicus)의 간편하고 경제적인 대량생산기술을 개발하고 그 기술을 약 180명의 농업 인에게 전수하였다. 즉, 농업인들이 스스로 천적을 자가생산하여 시설재배지에 적용함으로서 비용절감 및 청정 농산물 생산 효과를 높히는데 기여했다. 또한, 간편한 천적생산기술을 전국적으로 농업기술원, 농업기술센터, 그리고 친환경농업인단체 등 20여개 기관에 전수하였다. 최근, 경북의 농업기술센터(안동, 고령, 경주)에서 농업 인을 대상으로 천적 대량생산 시스템 보급 시범 사업을 실시하면서 뿌리이리응애 및 칠레이리응애 등의 천적 자가생산시설을 구축하고 자체적으로 생산함으로서 지속적인 천적 활용이 가능하게 되고 해충 방제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었다. 즉, 농업인들이 직접 천적을 생산하고 활용하게 함으로서 천적농업의 성공사례가 증가하였 을 뿐만 아니라 국내 천적 공급 시스템이 다양화되어 천적농업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한다고 판단한다.
        79.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iological control in agriculture is an eco-friendly pest management method. Numerous parasitoid wasps have been utilized as natural enemies and biological control agents. However, due to a shortage of fundamental taxonomic information caused by taxonomic impediments, there are challenges in unveiling and developing hymenopteran biological control agents. Braconidae, the second-largest family in Hymenoptera, comprises approximately 25,000 species described and recorded. All known braconids attack only insect hosts, with many members exhibiting high host specificity. Leveraging their unique biology, many braconid species have been tested in biological control research, and some have been developed as commercial products. To create a synergistic effect between biological control and taxonomic research and to discover effective biological control agents, several collaborative research projects have been conducted. In this presentation, these collaborative research projects will highlight the critical role of bridging taxonomic knowledge and biological control expertise, offering potential solutions for more effective and sustainable pest management practices in agriculture.
        80.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Humans have lived in relationship with bees for a very long time. In addition, as essential pollinators, Bee also contribute to biodiversity by promoting the reproduction of various plant species,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global food security. Therefore, strong and thriving bee populations are essential for maintaining healthy ecosystems and sustaining food production systems. However, the population of these bees is currently rapidly decreasing due to various causes such as climate change, abnormal temperatures, infectious diseases, and predators. In this presentation, we will learn about the microorganisms that affect bees, including bacteria and fungi, among the various causes of the decline in the bee population, and study their control.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