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9

        81.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troduced route of exotic weeds and the effects of herbicide treatment. Herbicide trial was arranged as a completely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treatment 1(\circled1 Dicamba /ha, \circled2 Mecoprop /ha, \ci
        4,000원
        82.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weed distributions in 6 areas(Suwon, Seonghwan, Seosan, Taekwanryeong, Namwon and Yeongam) and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exotic weeds from 1997 to 1999. Total 44 species in 15 families of exo
        4,000원
        88.
        1999.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초지 및 조사료포장에 자생하여 사료작물의 생육을 저해하고 수량과 품질을 저하시키는 외래잡초의 분포를 조사하여 적정 방제법을 구명하고 유입경로를 차단하여 조사료포장의 생태적 환경을 개선코자 본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새로운 외래잡초로서 가축에 해를 미치거나 뜯지 않아 초지를 부실화시키는 잡초는 도깨비가지, 도꼬마리, 독말풀, 붉은서나물, 개꽃아재비, 방가지똥, 미국자리공 등이었다.(중략)
        90.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jor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survey vegetables, meats, seafoods, processed foods and imported foods for the presence. of Listeria spp. and to prevent listeriosis caused by the contamina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Listeria spp. was isolated from 6.0% of meats, 3.4% of seafoods, and 11.4% of imported foods but was not found in vegetables and processed foods. The optimum growth condition of isolates indentified as Listeria monocytogenes was pH 7.0 and 37℃. The antimicrobial effect of grapefruit seed e×tract (GFSE) was observed in the level of more than 100ppm by disk method. When lml(2.5× 10^6 CFU/ml) of Listeria monocytogenes was inoculated and incubated for 3 days at 30, the total cell number of the organism was 4.5 × 10^9 in the control, 7.2 × 10³ in 100 μg/ml of GFSE medium, and 3.5 μg/ml of GFSE medium. Direct visualization of microbial cells by using bot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howed microbial cell membrane the function of which was destroyed by treating with the dilute solutions of GFSE. It could be confirmed that GFSE completely inhibited the growth of the test strain of Listeria monocytogenes.
        4,000원
        97.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구(大邱)를 중심(中心)으로 한 5개(個) 지역(地域)에 재식(裁植)되어 있는 23과(科) 28속(屬) 32종(種)의 관상식물(觀賞植物)에 대(對)하여 진균(眞菌)에 이병(罹病)된 식물(植物)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Uncinula 속균(屬菌) 등(等) 21속(屬)의 병원진균(病原眞菌)에 의(依)하여 26속(屬) 30(種)의 식물(植物)에서 45종(種)의 병(病)이 발생(發生)하고 있었다. 이들 중(中) 우리나라에서 이제까지 보고(報告)되지 않은 미기록병해(未記錄病害)는 Uncinula속균(屬菌), Phyllosticta속균(屬菌), Discosia속균(屬菌), Macrophoma속균(屬菌), Colletotrichum속균(屬菌), Pestalotia속균(屬菌), Phomopsis속균(屬菌), Gloeosporium속균(屬菌), Alternaria속균(屬菌), Fusicoccum속균(屬菌) 및 Sphaceloma속균(屬菌) 등(等)에 의(依)하여 15속(屬) 16종(種)의 식물(植物)에 22종(種)의 병(病)이 발생(發生)하고 있었다.
        4,000원
        98.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관상식물(觀賞植物)에 병해조사(病害調査) 일환(一環)으로 대구(大邱)와 근교(近郊)의 온실(溫室) 등(等)에 재식(栽植)되어 있는 19과(科) 34속(屬) 34종(種)의 식물(植物)에 대(對)하여 진균(眞菌)에 이병(罹病)된 식물(植物)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Glomerella 속균(屬菌) 등(等) 16속(屬) 병원진균(病原眞菌)에 의(依)하여 32속(屬) 32종(種)의 식물(植物)에서 37종(種)의 병(病)이 발생(發生)하고 있었다. 이들 중 우리나라에서 이제까지 보고(報告)되지 않은 미기록병해(未記錄病害)는 Glomerella속균(屬菌), Colletotrichum속균(屬菌), Ceratocystis속균(屬菌), Pestalotia속균(屬菌), Gloeosporium속균(屬菌), Macrophoma속균(屬菌), Sphaceloma속균(屬菌), Botrytis속균(屬菌), Alternaria속균(屬菌), Phyllosticta속균(屬菌), 및 Phomopsis속균(屬菌) 등(等)에 의(依)하여 19속(屬) 19종(種)의 관상식물(觀賞植物)에 22종(種)의 병(病)이 발생(發生)하고 있음을 확인(確認)하였다.
        4,000원
        99.
        198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영남지방의 보리 보리줄무늬병 분포 및 발생실태를 조사파악하여 보다 효과적인 방제 대책 수립과 저항성 품종 육성 및 재배법개선을 위한 참고자료로 이용하고자 1982년 5월에 경남북 19개 군에서 228개 필지의 농가포장을 대상으로 하여 지역별 품종별 토양환경 및 재배조건별로 구분하며 이병경율을 조사 분석 하였던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영남지역의 보리 줄무늬병 발생실태를 지역별로 보면 경북지역보다 경남지역의 발병율이 높았으며 특히 함안, 미량, 월성, 의창등지에서 발병율이 높은 경향이었다. 2. 보리 품종별로는 밀양 6호는 거의 발병되지 않았으나 올보리 오월보리 등의 이병경율이 높은 경향이었다. 3. 토양조건별로는 배수가 불량할수록 이병경율이 높았으며 유효수분함량이 높은 토양나 식토양 및 식토에서 발병이 심한 편이었고 부분적으로 과습하기 쉬운 곡간지의 보리 재배포장이 평야지 포장보다 심하였으며 포장이 과습 할수 록 이병경율이 높았다. 4. 재배조건별로는 파종기가 빠를수록 발병율이 낮았으며 질소 시비수준별로는 보비 조건보다 다비 및 소비 조건에서 발병이 심한 경향이었다.
        4,000원
        100.
        198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북고냉지 단경기채소단지인 무주, 남원, 진안, 장수지역의 무우, 배추 재배포장에 대한 병해발생, 기상관계, 매개진딧물 밀도등을 조사하였다. 7월부터 9월까지 순별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병상황은 지역적 특이성이 없고 비슷하였다. 배추의 주요병해는 흰빛썩음병, 흰무늬병, 노균병, virus병 검은무늬병 Fusarium에 의한 입고현상등이고, 무우에서는 바이러스명병, 흰녹가루병, 검은빛썩음병, 흰빛썩음병 검은 무늬병, Fusarium에 의한 입고현상등의 피해가 나타나고 있다. 발병상황을 시기적으로 보면 8월 20일경이 최고발병기이였다. 무는 총감염율이 이고, 그후 점차 감소하였으나, 배추는 의 감염상태가 계속 지속된다. 장기별 발병상황은 무우는 비대기 , 수확기 로 후반기에 급증한다. 배추는 초기생장기부터 계속적인 발병증가를 나타내여 결구기수확기 의 총감염율을 나타낸다. 외국에서 보고된 Fusarium이 의한 입고현상과 Aphanomyces에 의한 근부병이 조사지역에 발병되고 있었다. 기상환경은 채소생장기간의 평균최고온도가 정도이나 우기가 겹치고, 냉량다습하여 발병의 유인적환경이였다. 매개진딧물의 분포밀도는 평난지보다 낮으며 총진딧물 대비 매개진딧물은 남원이 로 많고, 무주가 로 제일 낮았다. 매개진딧물중 우점종은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이였다.
        4,2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