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5

        81.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멧누에나방(Bombyx mandarina) 난각유전자의 형질발현기구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각형성과정에 있어서 난각단백질의 합성과정을 분석하였다. 난각단백질의 합성과정을 여포세포의 기난관배양에 의한 in vitro합성계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 합성과정은 8단계로 나눌 수 있었으며 SDS-PAGE 분석에 의해 17개 이상의 단백질 band로 분리되었다. 멧누에 난각단백질은 합성시기에 따라 3단계로 구분되며 초기에는 비교적 고분자 성분이, 합성의 중후기에는 비교적 저분자성분이 합성되는 등 난각단백질의 합성은 시기특이적으로 조절되었다.
        4,000원
        82.
        199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을에 파종한 사초용유채(Brassica napus Subsp. oleifera cv. Swiss)의 생육기간 동안의 질소대사와 관련하여 건물수량 및 조단백질의 축적정도를 규명하기 위해. 생육기간중 수량 및 조단백질 함량을 측정하고, 엽내 carbon, nitrogen 및 hydrogen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월동기인 '91년 11월 7일부터 '92년 2월 4일 동안의 생초량 및 건물량의 축적은 매우 적었으며, 엽내 C함량은 건물 1g당 382mg
        4,000원
        83.
        199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의 식물체로 부터 토양으로의 주요 환원경로인 litter의 분해과정에 관해서 조사하였다. 즉 생활형이 다른 Miscanthus sinensis. SaSa palmalta, Artemisia princeps 및 Polygonim thunbergii 군락에 있어서 litter로서 공급되어지는 총 낙엽량과 litter 존재량으로부터 litter의 소실속도를 구하였고, 또한 군락하에 nylon mesh bag 중에 litter를 집어 넣은 litter bag
        4,000원
        84.
        199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cattle compost application on the change of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their relationship to yield performance of selected main forage crops. Maize(CV. Suweon 19) and sorghum hybrids(CV. Pionee
        4,200원
        85.
        199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멧누에(Bomdyx mandarina)chorion 유전자의 형질 발현기구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본 실험을 실시했다. 멧누에의 난각구조를 주사형 전자현마경에 의해 관찰한 결과 매우 특이적인 구조가 인정되었다. 즉 원추상의 불규칙 돌기에 의한 돌기구조층과 이 돌기 구조층을 덮고 있는 한 층의 얇은 덮개 구조층이 그것이다. 2차원 전기영동법에 의해 chorion 단백질을 분석한 결과, 난각을 구성하는 주요 단백질 성분은 등전점 4~6, 분자량 6~30 kd로 밝혀졌다. 특히 특이난각구조와 관련된 특이단백질 성분을 검출하였으며 이들의 대부분은 고cysteine 단백질인 것으로 추정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의해 멧누에 난각의 특이 구조 형성에 따른 유전자발현기구 규명을 위한 기초자료가 얻어졌다.
        4,000원
        86.
        199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three year's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on newly reclaimed tidal saline soils to evaluate the salt tolerance and growht characteristics, and their relationship to dry matter production and nutrient quality of main selected pasture species. Nine te
        4,000원
        87.
        198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examine the effects of light intensity on photosynthesis, corn and sorghum species were grown under shade cloths, which reduced light intensity by 25,50 and 75%. Photosynthetic rates were measured between 10 a.m. to noon on a clear day in early and mid
        4,000원
        88.
        198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ffect of initial PH on the lipid accumula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some species of mold were investigated. The maximum lipid content content produced by Aspergillus niger var. macrosporus was 17.5% at PH 3.5, by Aspergillus fumigatus 23.5% at PH 3.5 by Penicillium spinulosum 12.0% at PH 4.0 and by Penicillium notatum 7.3% at PH 4.0. The major fatty acids were palmitic, stearic, oleic and linoleic acid in all experimental molds. At PH from 4.5 to 6.0, the proportion of linoleic acid was increased and those of palmitic and oleic acid were decreased with rising in PH, therefore, degree of lipid unsaturation was increased in all experimental molds.
        3,000원
        89.
        198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기상환경(氣象環境) 및 예취관리(刈取管理)가 주요(主要) 북방형(北方型) 목초(牧草)의 물질생산성(物質生産性)과 에너지가치(價値)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자 한국(韓國)의 Suweon, Cheju 및 Taekwalyong과 서독(西獨)의 Freising 및 Braunschweing에서 1975~79년간(年間) 동시(同時)에 실시(實施)되었다. 공시초종(供試草種)은 orchardgrassm perennial
        4,000원
        90.
        198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주요북방형(主要北方型) 목초(牧草)에 있어서 기상환경(氣象環境)과 예취방법(刈取方法)이 비구조성(非構造性) 탄수화물(炭水化物)의 합성(合成) 및 축적형태(蓄積形態)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자 한국(韓國)의 Suweon, Cheju 및 Taekwalyong과 서독(西獨)의 Freising 및 Braunschweig에서 1975~'79년간(年間) 실시(實施)되었다. 공시초종(供試草種)은 orchardgrass
        4,000원
        91.
        198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fluence of vitamins on the felt and lipid production of Aspergilus niger var. macrosporus, Aspergillus fumigatus and penicillium notatum were investigated after 10 days of incubation at 30℃ under static culture condition. The felt of molds were lower in the media containing vitamins than control medium. The lipids produced by each strains were highest yields in media containing vitamins. Among of these Aspergillus niger var. macrosporus and Aspergillus fumigatus produced. 4.6g and 5.28g in medium containing inositol 2.5mg/l and 0.5mg/l, respectively; while Penicillium notatum produced 1.51g in a medium containing thiamine 10mg/l. The major fatty acid of lipids were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Aspergillus niger var. macrosporus was lower palmitic acid in media containing vitamins than control medium, While linoleic acid was higher in media containing thiamine and inositol. Aspergillus fumigatus was lower oleic acid in media containing vitamins than control medium, While linoleic acid was higher in media containing vitamins. Peniillium notatum was lower palmitic acid, oleic acid and stearic acid in media containing vitamins but linoleic acid was higher.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 of lipids changed depending on the media containing vitamins but hardly found a certain tendency except linoleic acid which was higher in a media containing thiamines and inositols. The degree of unsaturation of fatty acids in the lipids were comparatively higher in media containing vitamins than control medium.
        4,000원
        92.
        198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생육기간중(生育期間中) 토양수분함량(土壤水分含量)의 차이(差異)가 수수속작물(屬作物)의 건물생산(乾物生産)과 성분함량(成分含量)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공시작물(供試作物) 및 품종(品種)으로 수수의 Pioneer 931, 수수×수단그라스교잡종(交雜種)의 Pioneer 988, 수단그라스의 Piper 및 옥수수의 수원(水原)19호(號)를 공시(供試)하였으며, 토양수분함량(土壤水分含量)은 포장용수량(圃場容水量)의 100, 80, 60
        4,000원
        94.
        198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옥수수 및 sorghum 식물(植物)에 있어서 생육시기(生育時期)와 환경온도(環境溫度)가 cell-wall constituents의 합성(合成) 및 축적형태(蓄積形態)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옥수수의 Blizzard와 sorghum의 Sioux 및 Pioneer 931 품종(品種)을 공시재료(供試材料)로 하여 포장(圃場) 및 Phytotron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Phytotron의 주(晝)/야간(夜間) 실내온도(室內
        4,000원
        95.
        198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sorghum식물(植物)에 있어서 Cyanogenic glycosides의 합성(合成) 및 축적형태(蓄積形態)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sorghum hybrid의 Pioneer과 sorghum X sudangrass hybrid의 Sioux를 공시품종(供試品種)으로 하여 포장(圃場) 및 Phytotron시험(試驗)으로 실시(實施)하였다. Phytotron의 주(晝)/야간(夜間) 온도(溫度)는 30/25, 25/20, 28/18
        4,000원
        96.
        198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4년도(年度) 초지조성(草地造成) 대상지(對象地) 10,077ha에 대한 환경조건(環境條件)과 토양(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여 초지조성(草地造成) 및 시책자료(施策資料)를 제공(提供)코자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신분류체계(新分類體系)에 의한 토양분류단위(土壤分類單位)는 일(日) 4, 아목(亞目) 7, 대군(大群)11, 아군(亞群)28 및 통(統) 105개로 분류(分類)되었다. 2. 초지조성면
        4,000원
        97.
        198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파종기(播種期)를 이동(移動)할 때 수수, 수단그라스, 그리고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交雜種)의 생육(生育), 건물축적(乾物蓄積) 및 성분함량(成分含量)의 변화(變化)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져 1981~'83년(年)에 포장시험(圃場試驗)으로 실시(實施)하였다. 파종기(播種期)는 4월(月) 16일(日)부터 2주일(週日) 간격(間隔)으로 7처리(處理)를 두었던 바 그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수속작
        4,200원
        98.
        198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本試驗은 옥수수 및 Sorghum類에 싫어서 形態的特性과 環境溫度가 Fructosan Mono- 및 Disaccharose의 合成, 移動 및 蓄績形態와 NEL價値이 미치는 影響을 究明코저 옥수수의 Blizzard와 Sorghum의 Sioux 및 Pioneer931을 供試品種으로 하여 圃場 및 Phytotron試驗으로 實施하였다. Phytotron의 晝/夜間 室內溫度는 30/25, 25/20, 28/18및 18/8℃로 하였으며 日照는 3
        4,000원
        99.
        198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추파(秋播)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추계예취시취(秋季刈取時取)가 목초(牧草)의 재생(再生), 탄수화물축적(炭水化物蓄積) 및 건물수량(乾物收量)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수행(遂行)하였으며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건물수량(乾物收量)은 예취시기(刈取時期)가 빠른 구(區)일수록 높았고(P<0.05), 예취시기(刈取時期)가 제일 늦은 구(區)는 무예취구(無刈取區) 보다도 수
        4,000원
        100.
        197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항성유기인계농약인 fenitrothion 유제를 8개품종이 수도체에 살포시용하고, 부착 및 침투된 주성분의 경시적변화와 곡위중의 집적잔류량을 GLC로 분석, 검토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FTD/GLC에 있어서 Silicone DC-200 column으로 nano-gram 이하까지 fenitrothion 주성분의 검출이 가능한 조작조건을 밝혔다. 2) 출수전의 수도체에 fenitrothion을 반당 20l의 농산로 살포한 바, 전엽에 평균 15.32ppm이 부착, 24시간후에 1.67ppm(약 )이 잔존하였고, 살포 24시간후의 침투량은 6.75ppm()으로, 24 시간경과후 2.61ppm(이 잔존하고 그후의 감소는 완만하며, 침투분의 잔존율이 높았다. 3) 엽신과 엽초별 침투량은 엽신이 월등히 높았으나 잔존율은 비등하였고, 침투 3일이내에 급격한 감소(약)를 보이고, 그 후는 완만한 감소로 10일후에는 약 의 잔존율을 유지하였다. 4) 곡위중의 fenitrothion 잔류량은 왕겨에 0.02-0.05ppm(평균 0.04ppm), 현미에 0.01 ppm-0.02ppm(평균 trace)수준으로 왕겨중함량의 약 해당하며, WHO/FAO의 권고잔류허용량 (과채류는 0.1-0.5 ppm, 곡류는 미설정)에 훨씬 미달되는 수치였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