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0

        81.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기능성소재 개발에 이용될 수 있는 유용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구아바 잎의 총페놀화합물의 함량, 항산화활성,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1. 구이바잎 추출물의 총페놀화합물은 19.0(g/100g, D.W.)의 함량으로 강한 항산화활성을 보였다(radical 소거활성의 IC50는 102.5μg/ml, SOD 유사활성의 IC50는 49.4μg/ml).) 2. 용매분획물의 radical 소거활상을 측정한 결과, 100μg/ml의 농도에선도 ethylacetate(G-E), butanol(G-B), 물분획(G-W)은 50% 이상의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다 radical 소거 활성은 G-B〉G-E〉G-W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고, 각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소거능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hexane분획(G-H)의 소거활성은 보이지 않았다. 3. 용매분획별 SOD 유사활성에 대한 결과, 100μg/ml의 농도에서 G-E, G-B, G-W는 각각 81.8, 84.7, 65.3%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각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SOD 유사활성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G-H의 활성은 보이지 않았다. 4. 구아바잎의 추출물과 용매분획물의 tyrosinase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추출물 1mg/ml의 농도에서 60.8%의 저해효과을 보였으며, 용매분획은 G-E(65.2%), G-B(62.8%), G-W(51.6%), G-H(28.9%)의 순으로 tyrosinase 저해효과를 보였다.
        83.
        200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새로운 기능성 소재를 탐색하기 위하여, 13종의 식용 및 약용식물의 종자추출물을 조제하여 생리활성물질 함량, 항산화활성 그리고 tyrosinase 억제활성을 분석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주목에서 각각 57.51mg·g-1과 7.98mg·g-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자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머루×'캠벨얼리' 교배종에서 RC50이 0.03mg·ml-1로 가장 높았고,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고음나무 종자에서 RC50이 0.109mg·ml-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Ferric thiocyanate(FTC) 방법으로 linoleic acid에 대한 과산화 억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감나무, 고욤나무, 당후박나무, 쪽동백나무, 머루, 머루×'캠벨얼리' 교배종, 묏대추나무, 대추나무의 종자추출물에서 BHT와 유사한 수준의 억제활성을 보였다. 종자추출물의 tyrosinase 억제활성은 감나무, 고욤나무, 탱자나무, 벚나무, 묏대추나무, 대추나무에서만 나타났으며, 특히 고음나무에서 가장 높았다.
        85.
        2004.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솔잎의 기능성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솔잎발효추출물(PEE)과 에탄올추출물(PE 80, PE 50)로 효소적 저해활성과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Tyrosinase의 저해효과는 솔잎발효 추출물인 PEE가 솔잎 에탄을 추출물 PE 80과 PE 50에 비해 약 5∼38%정도 저해 활성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XOase 저해효과는 PFE가 62.77%, PE 80이 64.90%, PE 50이 55.91%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ACE 저
        86.
        2002.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미자 추출물에 감마선을 조사하여 tyrosinase 저해, xanthine oxidase 저해 및 아질산염 소거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오미자 추출물은 열수, ethanol, methanol 그리고 acetone등을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감마선은 10, 20과 30 kGy로 조사하였다. 오미자 추출물은 모두 tyrosinase 저해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마선 조사 후 오미자 추출물에 대한 tyrosinase는 열수 추출물보다
        87.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약재 174종으로부터 tyrosinase 저해제를 탐색하였다. 한약재는 30일간 methanol에 담가 놓은 후, 그 추출액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Tyrosinase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효소 mushroom Tyrosinase와 기질 L-DOPA, phosphate buffer를 사용하였다. 탐색 결과, 한약재 174종 중 14개종이 tyrosinase를 저해 효과를 보였고, 그중 오배자 추출액이 inhibition activity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88.
        200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물추출물로부터 보다 안전하고 효과있는 새로운 tyrosinase 저해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먼저 기존의 spectrophotometric assay를 개선한 새로운 TLC 검색방법을 사용하여 여러 식물추출물을 검색한 결과 백자인의 메탄올추출물이 강한 tyrosinase 저해활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백자인의 메탄올추출물로부터 tyrosinase 저해제를 분리하기 위하여 먼저 탈지 메탄올추출물을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