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3

        105.
        198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재래산양(在來山羊)에 있어서 prostaglandin 의 투여(投與)가 황체퇴행(黃體退行)시에 야기되는 호르몬 함량의 변화(變化)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발정주기의 10일에 (Lutalyse) 5mg을 3시간 간격으로 2회 주사(注射)한 다음 경시적(經時的)으로 혈중(血中) 난소(卵巢) 및 뇌하수체(腦下垂體) hormone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재래산양(在來山羊)에 있어서 발정주기(發情週期)의 10일에 를 주사한 결과 혈중(血中) progesterone의 평균농도는 주사직전에 였으며 주사후(注射後) 3시간에 로 약 60% 감소(減少)하였으며 12시간에는 로 감소(減少)하여 72시간까지 1.02ng/ml 이하로 감소(減少)하였다. 혈중(血中) estradiol- 함량은 투여후(投與後) 6시간부터 유의(有意)하게(p < 0.05) 증가(增加)하여 72시간까지 유지되었다. 혈중(血中) LH함량은 주사직전에 였으며 투여후 3~12시간에는 증가(增加)하였으나 그후 24~72시간 사이에는 에서 로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혈중(血中) FSH 함량은 투여전 였으며 투여후(投與後) 3시간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72시간까지 유의차없이 약간 감소(減少)를 나타내었다. 혈중(血中) prolactin의 함량은 유의성(有意性)은 없었으나 투여후 약간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結果)에서 LH함량의 최초 증가는 혈장중(血漿中) progesterone의 감소로 기인된 것이며 성선척극(性腺刺戟) hormone의 분비형태(分泌形態)는 황체(黃體)의 퇴행시에 progesterone 또는 progesterone과 estradiol-의 함량비의 차이로 인하여 상위되었다고 본다.
        4,000원
        106.
        198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nilateral ovariectomy on the embryo survival and changes of plasma progesterone and estradiol concentration. Mature Angora rabbi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Superovulation and unilateral ovariectomy after superovulation). Unilateral ovariectomied rabilts were sub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time of ovariectomy (24 hours and 96 hours after mating).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fter unilateral ovariectomy, survival rate and collecting rate of embryos recovered from contralateral and ipsilateral oviduct and uterus were not different, and were lower than intact rabbits. 2.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 at 93, 99, 102 and 114 hours after HCG injection in superovulated rabbits were 12.9 0.5, 34.8 5.1, 12.2 2.7 and 43.4 5.8ng/ml, respectively. Mean progesterone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99 and 114 hours than at 93 and 102 hours (p <0.05). But plasma estradiol concentration was not different. 3.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 in unilateral ovariectomized rabbits was somewhat decreased after unilateral ovariectomy. Plasma estradiol concentration was not different.
        4,000원
        119.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Ginseng, an important traditional medicinal plant still used in rats with bone fractures or dislocation to promote connective tissue repair and to reduce inflammantion.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ginseng on the proliferation rate of rat bone. Methods and Results :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ginseng extracts on blood biochemical parameters, bone density and bone inorganic components etc. and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In the results of our study, the level of albumin and HDL, Ca, P, Mg, and estradiol in blood, and the content of Ca, P, ash in femur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ginseng treated group than in OVX group, and the level of ALP, AST, ALT, blood glucos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DL, creatinine, osteocalcin, and N-terminal telopeptid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red ginseng treated group than in OVX group (p < 0.01). Conclusion : From these results, we knew that within the normal level, ginseng extracts improved liver and kidney function, component of glucose and lipid in blood, bone densith, bone ash and inorganic components in femur, and index related with bone metabolism.
        120.
        2015.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arly growth response(Egr) family는 전사요소로서 Egr1, Egr2, Egr3, Egr4가 알려져 있다. 전사조절 인자로서의 Egr3는 muscle spindle 형성 및 신경 세포에서의 neurite 생성 등 다양한 target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팀은 Egr3가 생쥐 난자의 방추사에 특이적으로 위치하고, 감수분열 과정 중의 microtubule organizing center(MTOC) 주변에서 관찰되며, 마우스 정소의 spermatocyte에서 발현됨을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식소의 성숙과 Egr3 발현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암컷 및 수컷 생쥐의 난소와 정소를 생후 1주, 2주, 3주, 4주에 적출하여 Egr3 RT-PCR 및 면역형광 염색을 수행하였다. RT-PCR 결과, 생후 3, 4주의 난소에서 Egr3의 발현이 미성숙한 1, 2주의 난소에서 보다 더 높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1, 2주의 난소에서는 하나의 transcript가 관찰되고 3, 4주의 난소에서는 2개의 transcript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정소의 경우에도 Egr3의 발현은 유사한 양상을 보였는데, 생후 1, 2주의 정소보다 생후 3, 4주의 정소에서 더 높게 발현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면역 형광 염색 결과, 난소에서 Egr3의 발현이 난포 내 난자를 둘러싸고 있는 cumulus cell과 granulosa cell에 두드러짐을 확인하였다. RT-PCR 결과와 마찬가지로 미성숙한 1, 2주의 난소보다 3, 4주의 난소에서 Egr3의 발현이 더 강함을 확인하였다. 정소에서 Egr3의 발현 위치는 주령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암컷 및 수컷 생쥐의 생식소가 성숙함에 따라 생식소 내 Egr3의 발현이 증가함을 보여주며, Egr3가 성적 성숙과 관련된 생식소자극호르몬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