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7

        101.
        197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품종 동북태, 수원 8003와 Williams를 공시하여 콩의 재식거리 60 15cm나 45 20cm에 파종하고 3주 간격으로 제초시기를 달리 하였을 때 콩과 잡초와의 경합관계를 구명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Williams의 CGR과 LAI는 동북태와 수원 8003보다 적으며 잡초경합에 의하여 감소되는 경향도 현저하였다. 2. 잡초경합에 의하여 Williams 품종은 동북태, 수원 8003와 비교하여 분지수, 협수 및 1000입종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3. 콩의 수량은 재식거리간에 통계적인 유의차를 인정할 수 없었으나 동북태와 수원 8003는 45 20cm에서 그리고 Williams는 60 15cm에서 수량이 높은 경향이었다. 4. 콩수량은 잡초방임구에서 동북태는 14.8%, 수원8003는 11.9% 감소되었으나 잡초에 대한 경합력이 약하였던 Williams는 25.5% 감소되었다.
        102.
        197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두의 엽부위별 각 형질의 평균치, 분산, 유전력을 추정하고 각 형질 상호간의 상관관계를 본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병장, 주소엽엽병장, 주소엽장, 주소엽폭, 주소엽면적, 측소엽장, 측소엽폭, 측소엽면적 등 제형질은 품종에 따라 평균치가 다르며 이들 형질도 품종의 한 특성이 될 수 있었다. 2. 엽형을 구성하는 제형질 중에서 엽병장의 유전력은 낮고. 엽장보다 엽폭의 유전력이 높았으며, 엽면적에 있어서는 주소엽과 측소엽의 엽면적의 유전력은 모두 높았다. 3. 각형질 상호간의 상관관계를 본바 엽병장과 타형질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보이지 않고, 주소엽이나 측소엽에 있어서 엽장과 엽폭 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엽장과 엽면적간, 엽폭과 엽면적간에는 주소엽, 측소엽을 불문하고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보아 대두의 복엽중 1수의 주소엽의 면적과 2수의 측소엽의 면적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고. 엽면적은 엽장과 엽폭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엽면적의 광협, 엽장과 엽폭의 장단은 품종의 특성으로서도 중요하므로, 이들 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수, 유전자의 지배가에 대한 유전연구는 남은 중요과제가 될 수 있다고 믿는다.
        103.
        197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의 최대수량을 올리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 잡초방제기간을 추정할 목적으로 파종후 2주간격으로 10주까지 그리고 전기간육동안 제초하였을 때 중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그 효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실험포장의 우점잡초는 피, 바랭이, 참밤동산이, 여뀌, 쇠비름 쑥, 명아주 등이었다. 2. 잡초방제기간이 길어질수록, LAI, CGR 및 주당래수는 증가되었으나 초장과 주당분지수는 차이가 없었다. 3. 파종후 2주까지만 잡초를 제거해도 콩은 경합에 의하여 새로 발하는 잡초의 생장을 억제할 수 있었으며 수량도 크게 감소되지 않았었다. 그러나 최대수량을 올리기 위해서는 최소 6주이상은 제초를 해 주어야 한다. 4. 콩의 수량과 LAI, CGR 및 주당래수간에는 유의상관을 나타내었고 수량과 초장 및 주당분지수간에는 유의상관이 없었다.
        104.
        197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과 일년생잡초와의 경합시기와 잡초경합에 의한 콩의 수량감소를 추정하기 위하여 파종후 2주간격으로 10주까지 그리고 전생육기간동안 잡초를 제거하지 않고 그 이후 제초하였을 때 콩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실험포장의 우점잡초는 피, 바랭이, 참방동산이, 여뀌, 쇠비름, 쑥, 명아주 등이었다. 2. 잡초와의 경합기간이 길어질수록 콩의 생장이 억제되어 콩의 LAI와 CGR이 크게 감소되었다. 3. 초장, 주당분지수 및 주당협수도 잡초와의 경합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4. 콩의 수량은 파종후4주 이전까지 잡초를 제거하기 시작한 경우 잡초외 경합에 의하여 3∼6% 감소되었으나 8주이후에 서초를 하면 수양감소가 심하였다. 5. 중의 수량과 초장을 제외한 LAI. CGR. 주당협수 및 분지수간에는 유의상관을 나타내었다.
        105.
        197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질소시비를 하지않은 콩에서 개화기이후의 토양수분부족은 충분한 생육을 한 콩보다 생육일수가 3-4일 단축되었다. 2. 엽면적은 발아후 40일경까지는 처리의 영향이 컸다. 3. 경장 경경 분지수 분지장은 파종후 70일경에 거이 완성되었고 초기생육이 불량한 경우 가장 떨어졌다. 4. 질소 증시가 협수를 증가시키지 못했고 개화기의 토양수분부족은 협수를 심히 감소시켰고 이러한 콩은 분지협보다 주경협이 많았으며 또 다입협율이 높았다. 5. 주경절입별 착입수는 3-4절과 10-12절에 많았다. 3-4절에는 충분한 생육을 한 콩에서 많았고 10-12절에는 빈약한 생육을 한 콩에서 많았다. 6. 1주입수가 적은콩이 백입중은 높았다. 7. 단백질함량은 백입중이 낮은콩(N0D4 )에서 가장 낮았고 유지는 1주입수가 적은콩에서 낮았다.
        106.
        197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두의 근계에 관한 연구의 제1보로 3개품종을 상토와 모래의 2개토양에서 각시기별로 재료를 채취하여 몇 개형질에 대한 조사측정을 하고 통계처리를 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직경의 비대는 발육초기 1개월까지는 완만하며 8월하순이후부터 급격하여지고 모래보다 상토에서 그 비대정도가 높았다. 2. Top의 길이의 신장도 발육 1개월이후부터 급격하여지고 모래보다 상토에서 더욱 신장이 잘된다. 3. Top길이보다 Root길이가 발육초기 1개월까지는 길고 Root의 길이는 반대로 상토보다 모래에서 신장이 잘된다. 4. Top무게도 발육초기 1개월까지는 완만히 증가하고 모래보다 상토에서 무겁게 나타나나 Top길이보다 Top무게의 경우에 그 증가의 정도가 완만하다. 5. Top무게보다 Root무게는 발육초기 1개월까지는 무거우며 상토에서 모래보다 무겁게 나타난다. 6. 5개형질 상호간에는 모래, 상토, 전체에 있어서 어느것이나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Root길이와의 관계를 보면 Top무게, Top길이, Root무게, 경직경의 순서로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었다. 7. Root무게와의 관계를 보면 경직경, Top무게, Top길이, Root길이의 순서로 상관계수가 높았다.
        107.
        196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두의 엽면적은 수량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고 그의 간이측정법은 매우 의의 깊은 일이므로 포장에서 생체대로엽면적을 측정할 수 있도록 간이측정법을 고안하였다. 대두의 3개품종 감안, 동산 006, patten을 재료로 절위별로, 규소엽과 측소엽별로 엽면적과 엽장, 최대엽폭과의 관계를 조사, 실험하였으며 총공시엽수는 2246매이었다. 대두의 규소엽의 면적은 (엽장× 최대엽폭)×0.658, 측소엽의 면적은 (엽장 × 최대엽폭)× 0.683에 의해서 구할수 있음을 알았다. 즉, 규소엽장에 최대엽폭을 곱한 적에 수수 0.683를 곱합음로써 전처리구에서 planimeter에 의한 엽면적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이때의 상관계수 r의 평균은 0.994이었다. 그리고 측소엽장에 최대엽폭을 곱한 적에 계수 0.683을 곱함으로써 전처리구에서 planimeter에 의하여 구한 엽면적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또한 상관계수 r의 평균은 0.996이였다. 이방법에 의하면 시간과 노력을 크게 절감시킬수 있을 뿐만아니라 생체대로 쉽게 엽면적을 구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