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9

        121.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escribes the evaluate adhesion area effects on structural performance of structural sealants. In this experimental, glass panel thickness and initial construction depth of sealant are 12 and 5mm. Principle variable is addition of sealants : 5, 10, 15mm. Prior to add sealant, adhesion part carried out cover with primer. Test method is based on the bending test. Loading method is to put sand on the center of the glass panel in order to the wind load applied to the actual condition. Test results indicated that addition of sealants is not improve the peak load.
        122.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uman serum (HS) has been reported to induce aggregation of human eyelid adipose-derived stem cells (HEACs) during high-density culture in vitro.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role of cell adhesion molecules and gelatinases during HS-induced aggregation of HEACs. HS-induced aggregation occurred between 9-15 days of culture. Cells aggregated by HS medium (HS-agg) showed stronger expression of α2, α2B, αX, and CEACAM1 genes compared to non-aggregated cells in HS medium (HS-ex) or in control FBS-cultured cells. HS-agg were distinctly labeled with antibodies against α2, α2B, and αX proteins. Western blot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two integrin proteins were greatly expressed in HS-agg compared to HS-ex and control FBS-cultured cells. Treatment of HEACs with anti-integrin α2 antibody during culture in HS medium delayed aggregation formation. HS-agg exhibited strong expression of MMP1 and MMP9 compared to HS-ex or FBS-cultured cells. Conditioned media from HS-culture showed remarkable increase of MMP9 gelatinolytic activity in comparison to those from FBS-culture. However, there was no change of TIMP mRNA expression in relation to the HS-induced aggrega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integrin α2, α2B, and αX, and MMP9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HS-induced aggregation of HEACs.
        123.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형 구조물의 보수/보강 및 FRP를 구조부재로 활용한 신설 구조물 시공을 위해서는 일정한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 FRP 부재가 요구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FRP 곡면부재는 수작업 (hand-lay-up) 또는 필라멘트 와인딩 (filament winding) 작업에 의해서만 생산이 가능하였으며, 대량 연속생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인발성형법 (pultrusion method)으로 생산된 FRP 부재가 상대적으로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FRP 부재를 일정곡률을 유지하며 인발로 뽑아낼 수 있는 신개념의 곡면 FRP 부재 인발성형법 제안 및 성형장비를 개발, 곡면 FRP 제품을 생산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곡면 FRP 부재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보강시 야기될 수 있는 FRP와 콘크리트 부착면의 동결융해 영향을 분석하였다.
        124.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Xanthine oxidase(XO)/√hypoxanthine(HX)에 대한 저먼캐모마일(Matricaria chamomile L., German chamomile)추출물에 대한 영향을 인체피부멜라닌세포(SK-MEL-3)를 배양한 후 세포부착율을 비롯한 DPPH-자유기 소거능(DPPH-radical scav-enging activity), 티로시나제의 활성, 총멜라닌량의 정량 및 광학현미경적 관찰에 의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XO/HX는 배양 SK-MEL-3세포에 처리한 농도에 비례하여 유의한 세포부착율의 감소를 나타낸 반면, 저먼캐모마일 추출물은 XO/HX에 의하여 감소된 세포부착율의 유의한 증가와 자유기 소거능을 나타냄으로서 XO/HX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방어효과를 나타냈다. 한편, 배양 SK-MEL-3세포에서 XO/HX에 대한 저먼캐모마일 추출의 멜라닌합성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티로시나제의 활성 및 총멜라닌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80μg·mL-1, 또는 160μg·mL-1의 저먼캐모마일 추출물의 전 처리에서 XO/HX의 처리군에 비하여 유의한 티로시나제활성 감소와 총멜라닌량의 감소를 나타냈다. 한편, 광학현미경적 관찰에 있어서 저먼캐모마일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은 XO/HX만을 처리한 실험군에 비하여 세포수와 세포돌기가 더 많이 증가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XO/HX는 배양 SK-MEL-3세포에 독성효과를 나타냈으며, 저먼캐모마일 추출물은 XO/HX의 세포독성에 대한 방어효과 및 항멜라닌화를 나타냈다.
        125.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활성산소종의 일종인 hydrogen peroxide(H2O2)에 대한 산수유(Cornus fructus, CF)추출물의 영향을 배양 NIH3T3 섬유모세포를 재료로 세포부착능과 항산화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 H2O2는 농도 의존적으로 배양 세포의 세포부착능을 감소하였으며 XTT50값이 100 uM이하로 나타남으로서 Borenfreund와 Puerner(1984)의 독성판정기준에 따라 고독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H2O2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CF추출물의 세포부착능에 대한 영향에 있어서 CF추출물의 처리는 H2O2의 산화적 손상으로 감소된 세포부착능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또한, H2O2의 산화적 손상에 의하여 유발된 지질과산화에 의한 막손상에 대하여 CF추출물의 처리는 H2O2에 의하여 증가된 LDH 활성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CF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활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H2O2와 같은 활성산소종은 배양 NIH3T3 섬유모세포에 대하여 세포독성을 보였으며 또한 CF추출물은 H2O2에 의한 산화적 손상을 방어함으로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126.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구에서는 RC구조물의 접착 보수․보강 재료의 박리와 연관한 변형 거동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응력-변형곡선에서 최대응력 이후 항복을 일으킬 수 있는 변형량은 바탕재인 시멘트 모르터의 경우 2.0×10-3, 콘크리트는 1.3×10-3 전후이고, 접착제인 에폭시수지 0.8×10-3, 폴리머 시멘트 모르터 2.5×10-3이며, 보강재인 강판과 탄소봉은 2.5와 9.1×10-3정도인 것으로 밝혀졌다. 온도변화에 따른 선팽창계수는 바탕재인 시멘트 모르터 및 콘크리트의 경우 10με/℃전후인데 비하여, 접착제인 에폭시 수지는 41~54με/℃, 폴리머 시멘트 모르터는 -0.5~0.7με/℃, 보강재인 강판은 바탕재료와 비슷하지만, 탄소섬유는 -1.7με/℃로 제일 작은 값이었다. 특히 바탕재료인 콘크리트와 에폭시수지 접착제간에는 온도변화에 따른 선팽창계수 차이가 크게 발생하였는데, 에폭시 수지 종류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20~35℃이상의 온도차가 발생하는 조건이면 에폭시수지 접착제는 콘크리트 접착면에서 자연적으로 박리 할 수도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127.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icrobial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two different media for biological treatment were studied using attached diverse microbes onto activated carbon and ceramic. The results in the experiments of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adhesion on two different media with addition of high and low concentrated substrate in the culture were observed that the efficient of adhesion onto F-400 activated carbon was higher over that of ceramic due to the surface area of media. The irradiation treatment by ultrasonication with 400 W power and 3 min retention time on the media without addition substrate conditions and subsequent mixing throughly the culture showed the highest efficiencv of cell detachment on the media. Three different microbes, P. ovalis, A. calcoaceticus, and B. subtillis were used for the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microbial adhesion on the media. P. ovalis showed the highest adhesion capability while B. subtillis showed the lowest capability adhesion onto media either addition of substrate in the culture. The mixed bacterial culture showed 10% lower removal efficiency of DOC in the low concentrated substrate culture compared to the single pure culture. Whileas, i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cultures at high concentrated substrate. It was also observed same population density of microorganism by counting of microbes adhered to microbial media with an ultrasound treatment.
        128.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생식주기 중의 흰쥐 자궁에서 발현되는 유전자들 중 adhesion수용체 유전자들의 발현이 프로게스테론(P)에 의하여 차별적으로 조절되는 실험을 하였다. 첫째 실험군은 난소절제 흰쥐와 배란기 흰쥐를 사용하였고(OVX/estrus), 둘째 실험군은 난소절제 흰쥐와 난소절제 후 P4를 주사한 흰쥐를 사용하였다(OVX/OVX+P). 적출한 자궁조직에서 total RNA를 추출, [P]-dATP로 probe를 제작한 후 Rat Atlas away 1.
        6 7